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heizen3947의 이미지

이 어셈블러 쓰는 사람 저밖에 없나요?

FASM(Flat Assembler)라고... 아무리 검색해도 한국에서 쓰는 사람이 별로 없는 것 같다는 느낌이...
현재 매뉴얼을 한국어로 번역중인데... 힘들어서...
혹시 쓰시는 분 계시면 같이 번역 좀...

soc의 이미지

우분투 서버 어댑터 2개 동시 사용법?

기가비트 어댑터 포트가 2개 달린 메인보드를 서버로 쓰는데

우분투 서버를 설치하면 어댑터 중 하나를 고르라고 해서 그쪽으로 설치하면
한쪽만 활성화됩니다. 그 후로도 계속 쭉~ 무슨 수를 써도 2개 모두 동시에 사용은 못하고 한쪽만 사용가능 ㅡㅡ

/etc/network/interfaces에 2개 모두 dhcp 받아오게 하면

auto eth1 (기본)
iface eth1 inet dhcp

auto eth0
iface eth0 inet dhcp

이런식으로 하면 eth0쪽만 활성화돼서 사용불가 -_-;;
아나 둘을 도대체 어떻게 쓰는거냐고요.

윈도7은 두개다 핑 때려보면 두 개 다 잘만 응답하는데 아ㅡ나! 리눅스 왜이따구야/../

kby2194의 이미지

프로그래머에게 있어서 알고리즘

대학생 2학년입니다;
제가 학교에서 이산구조를 배우고 있는데요 이게 알고리즘의 매우 기초를 가르친다고해서 수업듣고있습니다.
근데 듣다보면 이게 과연 나중에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필요할까 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뭐 많이 알면 나쁠건 없겠지만 대부분 이론적인 수학내용을 포함하는
이산구조 라던가 알고리즘이

프로그래머에게 있어서 꼭 필요할까요? 필요하다면 어떻게 필요할까요;

pci486의 이미지

네임서버의 변격및 삭제시 정체를 알수 없는 아이피로 연결되는 현상

혹시 설명해주실 고수분 계신가요..

지금 셋팅되어 있는 도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94 ip :
a.com, b.com
89 ip : 없음
여기서 제가 b.com 을 89 서버에 옮기기 위해 89 서버에 네임서버 설정 작업을 하고 옮겼습니다.

일단 작업을 끝낸후 nslookup b.com 으로 조회 해보니
정상적으로 89 가 찍히는 게 있고 전혀 알수 없는 다른 호스팅 업체의 ip로 찍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것의 원인은 무엇이며 어떻게 수정할수 있나요

그냥 시간이 해결해주는 문제인가요?

pci486의 이미지

서브도메인을 없애는 방법이 있다면 정보좀 주세요.

질문 그대로 입니다.
일단 제가 하고 싶은건

httpd://aaa.퍼블릭도메인 으로 사이트에 접근하였을때
주소창에
httpd://aaa.퍼블릭도메인 이 아닌
httpd://퍼블릭도메인 또는
httpd://임의의주소로 보이도록 하고 싶습니다.

httpd.conf에서 어떤놈을 수정하면 되는지 조언좀 해주십시오.

lem9362의 이미지

cacti 사용시 요구되는 하드웨어 사양

현재 회사에서 모니터링툴로 cacti를 사용하고있습니다.

얼마전부터 snmp 연결 오류는 아니지만 일부 호스트의 그래프가 끊겨서 나오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확인해보니 해당 호스트의 rra 데이터가 쌓이지 않고 있더군요.

연결 오류는 아니고 그간 증설된 서버 수가 많으니 사양이 부족한것이 아닌가라는게 제 생각입니다.

(왜냐하면 데이터가 쌓이지 않은 호스트들이 전부 최근에 증설한 호스트입니다.)

모니터링 대상인 호스트는 약 400개 정도 되구요.

가상머신에 ram 1GB정도를 주고 cacti를 올려서 사용중입니다.

그리고 eth0랑 1 트래픽 검사, memory usage, swap usage, cpu 로드에버리지 이정도 체크합니다.

서버 사양을 높이면 될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cloud06의 이미지

포럼 가입 처음인데 검색기능은 없나요?

구글 맞춤검색 말고

포럼내에 자료 검색해서 찾을 수 있는 방법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심플하고 좋은 홈페이지인데 제가 활용하는 방법을 잘 모르겠네요.

질문할만한 포럼위치를 몰라 자유게시판에 글 남깁니다.

세벌의 이미지

gnome.or.kr 어찌 된 거죠?

새소식에
GNOME Korea 홈페이지가 열립니다. 현재 작성 중이며, 곧 찾아뵙겠습니다.
2011. 6. 4. 오전 6:04에 Joone Hur님이 게시

지금은 2013년. 2년이 다 되어 가는데...

emptynote의 이미지

LibreOffice 저만 몰랐나요 우분투랑 윈도우 폰트 일치 시켰을때 동일 화면을 보여주네요.

LibreOffice 저만 몰랐나요.

우분투랑 윈도우 동일 문서가 동일하게 보이네요.

제가 도깨비에 홀린걸까요?

전에는 분명 윈도우랑 우분투랑 달랐거든요.

개인 프로젝트를 우분투, 윈도우 2개 환경에서는 지원을 하고 싶어

어쩔 수 없이 왔다리 갔다리 작업중인데요.

문서의 경우 공유 폴더에 넣고 작업을 하고 싶은데

우분투에서 보는 문서와 윈도우에서 보는 문서가 달랐습니다.

그래서 폰트도 일치를 시켜 보았지만 여전히 차이를 보여서

LibreOffice 가 폰트 엔진을 OS 에 의존하는 기능을 사용 하는가 보다 했습니다.

그런데 오늘 확인을 해 보니 화면이 동일하네요.

언제부터 이렇게 좋은 기능을 ^^;

월래 부터 이랬는데 제가 도깨비에 홀린걸까요.

기분 좋네요 ^^

kjh27814의 이미지

ubuntu 13.04에서 qt creator에 한글 입력이 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제 갓 직딩이 된 개발자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Ubuntu 환경에서 qt를 사용할 일이 생겨서

설치를 했는데 한글 입력이 안됩니다.(소스 작성 창 안에서)

입력기는 nabi를 쓰고 있구요.

구글링해서 나온 해결 방법(환경변수 추가 등등)들을 모두 시도해보았으나 실패했습니다ㅜㅜ

여러분들의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