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책 팝니다.

DNS & bind
TCP/IP 네트웍 관리
유닉스 파워 틀

---------(한역판)세가지 모두 거의 새 책입니다.
sunset71@lycos.co.kr론 연락주세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역시 한국 사람들은 대단합니다.

방금 갑자기 든 생각인데요

틀렸을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요즘 게시판을 보면 "냉무" "내용무" "내용없음" 등의 게시물 제목을 많이 봅니다.

그만큼 제목만으로도 모든 것을 압축 요약해서 표현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신 분들이 많다는 뜻이겠죠?

그런데 왜 질문란에는 엉성한(?) 제목들만 있을까... (여기 게시판을 뜻하는건 아닙니다.)

에구~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부팅이 안됩니다.(......starting kswapd v1.8.. 에서 멈춤)

부팅시 다음과 같이 멈춥니다.
한컴 os2.0으로 설치


Linux NET4.0 for Linux 2.4
Based upon Swansea University Computer Society NET3.039
Initializing RT netlink socket
apm BIOS version 1.2 Flags 0x03(Driver version 1.14)
Starting kswapd v1.8

...여기서 멈춤니다.

사양은 6x86 램 64메가, 하드 6.4G
삼성 M520T입니다.
설치는 이상이 없이 된 듯합니다만 재부팅하면 위와 같은 메세지가 나온 후 멈
쳐버리네요.... (컴퓨터 사양이 낮아서 인가요?)
.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nslookup 도메인' 을 쳤더니 그냥 '도메인'을 찾을 수 없다고

bind*.rpm 을 인스톨 했습니다. 그랬더니 3개다 깔리더군요.

cach*.rpm 도 깔고... 근데 깔고 나서, 설정을 다 마치고

'nslookup 도메인' 을 쳤더니 그냥 '도메인'을 찾을 수 없다고 에러

가 나더라구요. 그래서 cat으로 열었더니 온통 깨져있었습니다.

원래 그런건지 아님 제께 문제가 있는건지 님들의 조언을 부탁합니다.

그리고 괜찮으시면 님들의 nslookup 내용을 하나 리플해주세요. 보고

설정해보게. 참고로 /etc/hosts... 등과 같은 설정은 별 문제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짧은 식견을 본 윈도우 XP.

벌써 9월도 반을 향해 달려가고 있네요..... 이러다가 조금 있으면 스무쓰하게 추워 지지요...그러면 겨울이 온 겁니다.
올겨울에는 눈싸움을 해야지.^ㅇ^

오늘 IT관련기사 중 윈도우 XP에 관한 것을 보았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다음달 정도부터 시판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옆에 있는 분께 여쭤봤습니다. 옆에 있는 분은 윈도우ME에 많이 다치신 분이라서^^; 좋은 이야기는 하시지 않으시더라고요.
그래도 윈도우 2000보다 설치가 간편하데네요. 글쎄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하드웨어 추가와 프로그램 제거.

리눅스에서는 설치시 말고 더 필요한게 있어서 하드웨어를 설치했을 때 설정이나 드라이버 설치를 어떻게 하나요?
윈도우와 같이 PnP인가요?
그리고, 사용하다가 필요없는 프로그램이 있을 때 어떻게 제거하나요? 걍 파일만 다 지워버리면 된다고 하던데 정말인가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이번 테러....

테러범들..

테러 하는 김에.. ms 본사도 좀 부쉬지 -_- 않코선 ..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커널컴파일]컴파일후 부팅시 에러에 관해서 좀 알려주세요...

리눅스 2.2.15를 정상적으로 커널 컴파일 하고 리로에 등록한 후에 부팅을 했
는데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뜨면서 부팅이 되지 않습니다.

Partition check
hda hda1 hda2 hda3 < hda5 hda6 >
VFS Mounted root ( ext2 filesystem ) readonly
Freeing unused kernel memory 68k freed
init error while loading shared libraries libc.so.6 cannot load
shared object file Error 14

무엇이 문제인지 좀 아시는 분 알려주십시요...

참고로 제 컴퓨터에서
hda1 = /root/win
hda2 = /boot
hda6 - /
으로 되어 있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내부 네터웍에 있는 리눅스 서버를 외부에서 인식하게 할수 있나


Adsl MyIP -- LinuxServer(Real IP) 192.168.0.1
l
l
허브--
l
l--- Linux2
....

다음과 같은 네트웍구성시에 Linux2에서도 실제 Real IP로 웹,ftp,telnet

서비스를 다이렉트로 할수 있나요??

LinuxServer는 2.2커널이고 Linux2는 2.4 거던요..

IP Masq 하는 방법이 좀 다르던데..

각각을 어떻게 설정해야할까요..

비슷한 질문이 있었든거 같은데..

제가 초보라서 정확하게 잘 몰라서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