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thebends의 이미지

비 전공자가 프로그래머가 되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다른 산업에서 나름 만족스런 연봉을 받으면서 일하는 회사원입니다.
나이는 만29세입니다.
직장생활을 한지는 1년 반정도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괜찮다 싶은 일을 하면서 취미생활로 컴퓨터쪽을 공부할 생각으로 회사에 들어왔는데,
하지만 일이 일이다 보니 여유가 없더라구요 야근도 있고 집에오면 쉬고싶고... 회사일은 딱 괜찮겠다 싶은 정도 입니다.

무슨 일을 하든지 일은 일일 뿐이라는것은 잘 알고 있습니다. 그래도 분야라도 하고싶었던 쪽이라면 열정을 가지고 일을 배울수 있을것 같은 생각이 들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C나 자바, 자료구조, 기초수준의 컴퓨터구조에 대한 감은 있는것 같습니다.(컴공전공자를 제외한 타 전공 일반 학생들에 비해서는요...) 하지만 운영체제 네트워크 DB 등의 지식은 전무 합니다.
영어성적은 토익이랑 토익스피킹 같은 입사시 필요한 성적은 고득점이 가능합니다(영어를 잘하는건 아니구요 시험은 잘 보는...)

dltkddyd의 이미지

nmap이란 것이

리눅스에 nmap으로 포트를 스캔하는 프로그램이 있던데요, 이거 핑을 날려서 포트스캔하는 것인지요?

nmap -sS 124.212.102.10

이라고 하면 124.212.102.10의 모든 포트로 핑을 날리는 것 아닌가요? 이런 것도 있다던데요.

nmap -sP -PT135 124.212.102.10

그러면 135 포트로 핑을 날린다고 알고 있습니다. -PT옵션에서 모든 포트를 설정(0~65535)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PT 옵션으로 핑포트를 지정하는 방법이 없다면 다른 방식으로 핑포트를 지정하는 방식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spt48의 이미지

신규서버에 기존 하드디스크 마운트시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서버의 장애로 인해서

새로운 하드디스크에 centos를 설치하고 기존 하드디스크를 연결해서 mount 시켰습니다.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sdc1 * 1 64 512000 83 Linux

Partition 1 does not end on cylinder boundary.

/dev/sdc2 64 2153 16777216 82 Linux swap / Solaris

/dev/sdc3 2153 3458 10485760 83 Linux

/dev/sdc4 3458 60667 459528192 5 Extended

/dev/sdc5 3459 4764 10485760 83 Linux

cleansugar의 이미지

식별자 시각화 프로그램 Identicon 개발한 사람이 한국계인 듯 합니다

Don Park came up with the Identicon idea on January 18, 2007. Don says, "I originally came up with this idea to be used as an easy means of visually distinguishing multiple units of information, anything that can be reduced to bits. It's not just IPs but also people, places, and things. IMHO, too much of the web what we read are textual or numeric information which are not easy to distinguish at a glance when they are jumbled up together. So I think adding visual identifiers will make the user experience much more enjoyable."[1]

gurugio의 이미지

어셈블리는 이제 끝난걸까요?

예전에 어셈블리 사이트를 하나 운영하던 사람입니다.
최근에 홈페이지 정리를 하면서 마지막으로 혹시나 해볼만한 이슈가 없나 싶어서 검색을 해봤습니다.

외국 사이트들도 거의 디버거나 어셈블러 프로젝트 아니면 이슈가 없어보입니다.
스택오버플로우는 어셈블리를 왜 가르치는거냐 어디서 쓰는거냐
국내 개발자들이 생각하는 의문과 똑같은 질문들이 있네요.
또 국내 선배 개발자들이 이야기하는 것과 똑같은 답이 있습니다.
로우레벨을 이해하고 성능을 올리고 드라이버나 커널에서...

10년전 어셈블리를 처음 공부할 때와 달라진 이슈가 하나도 없네요.
이젠 어셈블리 프로그래밍에 관련해서 새로운 이슈가 없을까요?
그냥 예전 문서나 안없어지게 잘 가지고 있으면 될까요..

Tae_Wook의 이미지

전화선에 전원(48v)결선에 관해서 질문합니다.

회로_01 [ {(전화선 1) - (인덕터) - (전원 -극)}, {(전화선 2) - (접지) - (전원 +극)} ]

1. "회로_01"이 맞나요?

2. (전화선 1)와 (전화선 2)의 순서좀 알려주세요. [ {"회로_01"이 맞는경우},
{"회로_01"이 올치 않다면 "2. "질문은 취소합니다.} ]

-> * 전화선 1&2는 전화선 잭{(전화선이 아래로(몸쪽으로) 있고 금속핀 있는쪽을 기준으로), ("rj-16" 맞나요?)}
을 기준으로 커넥터에 물린 전선을 의미합니다.

-> * "회로_01"의 회로중 삽입된 인덕터는 전화선의 통신신호로 부터 전원을 보호하기 위해서 장착했읍니다.
[ (통신선로 기능사 책에 언뜻 희미하게 나와있더라구요.), {확실하지 않아서 여기에 질문합니다.} ]

-> * 전화선에 전원을 삽입(?)용도는 "용용도는 방과 방사이의 전화기 전원공급용" 입니다.

Tae_Wook의 이미지

외장형 모뎀의 마이크/스피커단자의 활성화에 관해서 질문합니다.

외장형 모뎀의 마이크/스피커단자의 활성화에 관해서 질문합니다.

1. 처음 외장형 모뎀을 구입했을때 보통 전화선에 모뎀을 꽂으면(전원도 같이) 스피커 잭에 전화음(또는 전화내용)이 나오나요?
[ 모뎀의 초기 스피커 포트의 활성화 여부를 질문. ]

2. "1. "와 같이 모뎀을 전화선에 연결시 마이크 포트에 마이크와 연결된 잭을 연결하고 마이크에 소리를 녹음시키면 소리정보가
전화선에 실리나요?[ {전화기 2개를 전화선에 병렬연결 시켜놓고 한쪽 전화기 폰(?)을 들어 소리를 녹음(?)하면 다른쪽 전화기의
스피커에 녹음되고 있는 소리가 들리듯이(물론 폰을 들고있는 상태에서) 모뎀의 마이크포트에 음성신호를 보내면 같이
병렬연결된 전화기에서 입력되고 있는 음성신호가 들리는지에 대해서 질문하는것 입니다.}, {처음 구입시 모뎀의 마이크 포트의
활성 여부를 질문하는것 입니다.} ]

Tae_Wook의 이미지

사운드 카드의 하드웨어적인 질문합니다.

- 질문 -
1. 마이크 단자에는 전압이 몇 v까지 입력되나요? (마이크에서 나오는 신호의 전압이 있을것 아니에요. 이러한 신호전압의 최대
전앖갑이 궁금합니다. 아마 uV정도?)

2. 스피커 단자는 최대 출력전압이 몇 v인가요? (음량을 최대로 크게 했을때 이 신호를 오실로 스코프로 측정한 값을 기준합니다.)

3. 입력 직류신호도 처리가 가능한가요? [ {예를들어 실시간으로 마이크포트로 들어오는 음향신호를 화면으로
출력해주는 프로그램을 실행 했을때 정격전압 내의 직류가 입력됬을때 사운드 카드가 신호구분을 할 수 있는지를 물어보는 겁니다.} ]

4. 출력신호가 직류도 [ {0hz 구형파(사각모양 파형)가 녹음/편집된 wav소리파일을 재생시킬때 스피커 포트에 사운드 카드가
정격전압내의 직류를 출력하는지에 대해서 질문합니다.}

Tae_Wook의 이미지

되먹임 소리를 차단하는 음향필터는?

마이크 하고 스피커를 가까이 대면 스피커의 소리가 마이크로 그게 스피커에 마이크로 이런식으로 무한 반복되면서 엄청난
소음이 일어나는 데요 그걸 막을려고 합니다만 스피커 출력을 줄이지 않고 별도의 음향필터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마이크 입력후 최대 10ms이후에도 마이크음이 출력되는 회로이기에 잠시 마이크에 입력된 소리정보를 저장하는 버퍼(?)기능
같은게 되야합니다.

뭐 이걸 구현하는 소프트_웨어[ 이 경우에는 사운드 카드에 마이크포트에 소리를 입력받은다음 소리를 필터 처리후 스피커 출력
으로 내보내 겠죠? ]나 하드웨어는 없나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