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alwaysN00b의 이미지

ext4 블록사이즈에 따른 슈퍼블록 크기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요즘 ext4 구조를 책도 보고 소스보면서 덤프도 떠보고 하는데

block size 를 1k로 하면 슈퍼블록의 시작위치가 0x400 입니다. 처음 1k는 비어있으니 당연히 0x400에 나오고
block의 크기가 1k이니 슈퍼블록다음 그룹 디스크립터가 0x800에 나타납니다. 당연히 정상인데...

block size를 4k로 하면 슈퍼블록의 시작위치는 0x400 이고 그룹디스크립터가 0x1000 에서 나타납니다.
0x1400에서 나타나야 될것 같은데, 이렇게 되면 첫번째 슈퍼블록이 3K가 됩니다.

이상해서 2k로 해봤더니 0x800에서 그룹 디스크립터가 나타나는군요.

그럼... 결론은... 1k 일때는 처음 1k의 예약영역와 1k의 슈퍼블록다음 그룹 디스크립터가 나오고
2k,4k일때는 처음 1k를 포함해서 2k, 4k 다음에 블록디스크립터가 나옵니다.

그럼, 슈퍼블록의 크기가 가변적인가요? 그럴리는 없을테고요..

ibmgbs의 이미지

자료구조 운영체제 책 추천부탁드립니다

비전공자라서 꼭 언어로 구현하는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개념부터 다시 잡아보려고합니다 자료구조수업은 들어봤는데 운영체제는 들어본적이없어요
쉬운책 추천부탁드립니다

damon0210의 이미지

CentOS vsftp 구축후 문제점 질문

집에서 놀고있는 넷북으로 CentOS 6.4 설치후 APM 과 vsftp를 구축하였습니다

FTP구축후 계정생성을 했고 셋팅도 문제없이 진행한거 같은데

다른 데스크탑에서 윈도우 알ftp로 접속시

접속은 됬다고 뜨는데 어떠한 디렉토리도 뜨질 않습니다 (그냥 백지..)

selinux 와 방화벽은 전부 중지 시킨 상태에서 구축했기 때문에

이부분은 문제가 아닌거 같고 /etc/passwd 에는 /home/사용자계정 으로 저장이되있는데 모르겠습니다..

데스크탑과 넷북은 공유기로 공유해서 사용중인데 이부분에 문제가 있는걸까요..?

또 익스플로러에서 ftp://아이피로 접속시에는 접속이 안돼는데 이건 정상인가요??

혼자서 서버 공부 해보겠다고 시작하자마자 멘붕이네요..ㅠㅠ

=========================================================

shint의 이미지

프로그램의 언어 순화 하기


언제 부턴가 프로그래머들은 살인적인 용어'를 남용하고 있습니다.
쓸데없고 관리하기 어렵고 배우기도 어려운 프로그램을 만들기도 합니다.

일단. 프로그램의 언어 순화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데요.

- 쓰레드 -> 스레드
- 프로세스 죽이기 -> 프로세스 종료
- 좀비 프로세스 -> ?? 이건 뭐로 해야 할지 ㅇ_ㅇ.. 모르겠네요.

언어 순화가 필요한 용어'가 있으면 지적 해 주세요.

wataka의 이미지

arm 프로세서에 관해서 공부해보려는 학부생입니다.

안녕하세요 arm공부를 막 시작한 지방대 컴공 3학년 학부생입니다.

처음에는 안드로이드 app제작에 관심을 두고 앱을 만들며 지내다가

타과(전자과)에서 수업하는 컴퓨터 구조 수업을 들으며

verilog로 mips 멀티사이클과 파이프라인 시피유 제작을 하면서 ARM프로세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ARM development guide와 Cortex-M3 완전정복 이런 책을 보며 독학 하고있습니다.

추후 망고보드도 구매하여 실습도 해보려고 합니다만...

제가 하고싶은건 arm이나 atmega128같은 것 을 이용해서 공모전에 출품할 작품을 만드는게 아닌

ARM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개발한 보드에 리눅스나 안드로이드를 포팅해보면서

부트로더가 무슨역할을 하며 OS는 어떤 방식으로 구동되는지

OS에서 CPU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공부해보고 싶습니다.

더불어서 올해말 삼성 소프트웨어 멤버십에도 지원할 예정입니다.

asleea의 이미지

이클립스 라이브러리 헤더파일 추가 관련

리눅스 환경에서 GUI 프로그램을 작성해야 할 일이 있어서 GTK+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를 만들어서 프로젝트 Properties에 들어가 헤더파일 경로와 라이브러리를 추가해주었는데

추가해야 하는 것들이 한 두개가 아니더군요

만약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어서 GTK를 다시 사용할 일이 생기면 이전에 만들어놨더 프로젝트의 셋팅을 카피할수 없을까요?

다시 하나하나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손 쉬운 방법이 없는지

sunsong09의 이미지

홈페이지를 하나 만들려고 하는데

html이나 javascript 등 웹관련 언어를 잘은~ 몰라서

오픈 빌더들 중 드루팔을 설치해봤는데

와우... 뭔가 내맘대로 고칠려고 하니 드루팔을 공부해야하는 상황이 되었네요

드루팔이 나쁜건 아니지만 (개인적으로 너무 마음에 들어요) 제가 수정하기는 좀 어려워서요

좀 웹을 잘모르는 개발자가 접근하기 쉬운 빌더가 있을까요? 언어는 상관없습니다.

단 제로보드같은 우리나라 빌더는 빼고요..

kyh325422의 이미지

이동통신 기지국 시험 및 디버깅 엔지니어 구합니다.

주요 업무 내용:
LTE 기지국 시험 및 디버깅
향후 개발 계획도 있음.

특기 사항
하는 일: LTE 기지국 시험
. PHY/MAC/RLC 기능/성능 시험
. 패킷 스케쥴러 기능/성능 시험
. 모뎀 관련 시험
. 용량 시험

인력의 필요 조건
. OFDM/FDMA 송수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 통신이론 용어 이해
. C coding 가능자
. DSP coding 경험자 우대
. 이동통신(L1/L2) 경험자 우대

rider7979의 이미지

PUSH 시스템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카톡이라던지 많은 스마트폰 어플에서 푸시 서버를 활용한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는데요
잘 이해는 부분들이 있어 문의를 드립니다

저는 WCDMA 모듈을 이용해서 정보를 송수신 하는 M2M 장비를 개발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대략적으로 WCDMA 모듈을 망에 Attach하고 서버에 연결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순으로 연결이 진행되는데
모듈이 망에 Attach 되고 서버에 연결되면 소모되는 전력량이 200mAh 가량 되더더군...적지 않은 양이죠...

moozan의 이미지

SP1 통합 비스타로 UEFI 부팅이 안됩니다.

제가 비스타 64를, SP1을 통합해서 UEFI로 설치했습니다. (USB메모리로 설치했습니다.) 그리고 우분투를 설치해서 듀얼부팅으로 사용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듀얼부팅이 안됩니다.

UEFI가 생소해서인지 아직 듀얼부팅에 관한 자료가 적습니다. 방법을 찾던중 easy BCD를 알게 되었습니다. 메뉴는 뜨지만 선택해도 우분투로 부팅을 못합니다. 자세히 살펴보니 우분투의 UEFI부팅 파일이 있는 경로가 올바르지 않다는 점을 발견했습니다. 그래서 easy BCD를 여기저기 뒤지며 경로를 고쳐보려고 시도하다가 시간이 없어서 내일 해보기로하고 종료했습니다.

그런데 다음날 켜보니 부팅이 안됩니다.

비스타를 몇 번이고 재설치했지만 절대로 UEFI로 부팅이 안됩니다. 다행인 점은 MBR로는 부팅이 됩니다. (그래서 질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우분투의 경우 MBR이든 UEFI던 상관없이 잘 됩니다. 오직 비스타만 UEFI로 부팅이 안됩니다. 설치는 잘 됩니다. 그런데 UEFI로 부팅이 안됩니다. 처음 설치시는 잘됩ㄴ다. 이후 나머지 설치를 위해 재부팅할 때 부팅이 안됩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