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1 통합 비스타로 UEFI 부팅이 안됩니다.
제가 비스타 64를, SP1을 통합해서 UEFI로 설치했습니다. (USB메모리로 설치했습니다.) 그리고 우분투를 설치해서 듀얼부팅으로 사용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듀얼부팅이 안됩니다.
UEFI가 생소해서인지 아직 듀얼부팅에 관한 자료가 적습니다. 방법을 찾던중 easy BCD를 알게 되었습니다. 메뉴는 뜨지만 선택해도 우분투로 부팅을 못합니다. 자세히 살펴보니 우분투의 UEFI부팅 파일이 있는 경로가 올바르지 않다는 점을 발견했습니다. 그래서 easy BCD를 여기저기 뒤지며 경로를 고쳐보려고 시도하다가 시간이 없어서 내일 해보기로하고 종료했습니다.
그런데 다음날 켜보니 부팅이 안됩니다.
비스타를 몇 번이고 재설치했지만 절대로 UEFI로 부팅이 안됩니다. 다행인 점은 MBR로는 부팅이 됩니다. (그래서 질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우분투의 경우 MBR이든 UEFI던 상관없이 잘 됩니다. 오직 비스타만 UEFI로 부팅이 안됩니다. 설치는 잘 됩니다. 그런데 UEFI로 부팅이 안됩니다. 처음 설치시는 잘됩ㄴ다. 이후 나머지 설치를 위해 재부팅할 때 부팅이 안됩니다.
고수 여러분.... 제발 무엇이 문제인지 가르쳐주세요. 한 번 UEFI를 사용해보니 MBR로는 되돌아가고 싶지 않습니다. 왜! 비스타만 UEFI부팅이 안될까요?
참고로 설치가 완전하지 않은 HDD를 봤습니다. c에 설치파일들이 있고 diskpart로 살펴보니 efi, msr 파티션 잡혀있습니다. (그리고 당연하지만 UEFI로 부팅될 때는 바이오스메뉴에 Windows Boot Manager가 보였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없습니다. 우분투는 Ubuntu로 잘 살아있습니다.)
덧붙여 바이오스 메뉴상에서 기본 설정을 한 다음 설치를 해봤는데 역시 안됩니다.
상황이 정확하게 이해가 안되는데, 용어를
상황이 정확하게 이해가 안되는데, 용어를 정리해볼필요가 있겠는데요?
1. BIOS와 UEFI
펌웨어(부팅방법)는 BIOS(legacy BIOS) UEFI으로 나누어집니다.
BIOS부팅은 하드,플로피,odd등의 매체에서, 부트플래그가 설정되있는 파티션을 선택해서 부팅하는것이고,
UEFI부팅은 EFI로 설정되있는 파티션을 알아서 찾아, 거기 특정경로에 있는 부트로더를 찾아 부팅하는것입니다.
UEFI부팅을 하기위해서는 EFI파티션이 필수입니다.
최근에 나온 메인보드의 UEFI펌웨어들은 대부분 CSM(Compatibility Support Module)이라고 해서, BIOS부팅과 UEFI부팅 모두를 지원합니다.
2. MBR과 GPT
MBR과 GPT는 파티셔닝 방법을 가르킵니다.
파티셔닝방법과 펌웨어부팅방법은 서로 연관성이 없습니다.
EFI파티션은 MBR파티션에든, GPT파티션에든 만들 수 있습니다.
제 생각에 하나의 매체에 EFI파티션은 두개이상 될수 없을거 같습니다.
하나의 EFI파티션에 하나의 부트로더를 설치하고, 그 부트로더에서 grub처럼 멀티부팅을 해야하지 않을까요?
3. 질문의 요지?
멀티부팅을 어떻게 구성하고 싶은지요?
UEFI부팅과 BIOS부팅의 차이는 어떤파티션을 찾아가는가에 있다고 봅니다.
찾아간 파티션에는 하나의 부트로더가 설치되어 있겠죠.
그 부트로더가 grub이라면 윈도/우분투 중에서 멀티부팅을 할수있고, 윈도전용부트로더라면 윈도끼리만 멀티부팅이 가능하겠죠.
이런식으로 부트로더를 통한 멀티부팅을 해도되고, 펌웨어메뉴를 통한 멀티부팅을 하셔도 되겠는데요?
4. 궁금한점
저도 윈도는 UEFI부팅은 테스트 해본적이 없는데, 왜 비스타를 UEFI부팅하려고 하시죠? 장점이있나요?
우선 정확하게 가르쳐주셔서 감사합니다.
MBR이 legacy BIOS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었군요. UEFI로 부팅하려면 반드시 GPT선택이 필수라고 해서 그렇게 알고 있었습니다. 여기저기 뒤지며 나름 알아본 것인데 잘못 알고 있었을 줄이야.... 가르쳐주셔서 감사합니다.
부팅방식은 UEFI, 파티셔닝은 GPT로 하고 싶습니다. legacy BIOS처럼 윈도우 비스타와 우분투를 멀티부팅하고 싶습니다. grub 메뉴를 통해 우분투나 윈도우를 선택해서 부팅하고 싶습니다. 2번을 읽어보니 맨처음 우분투를 설치하고 윈도우를 설치한다면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미숙한 저로서는 12.10으로 설치하는 동영상을 보니 마지막에 부팅을 원하는 disk선택시 /boot 파티션으로 선택하니까 잘 되더군요. 이 때는 Windows Boot Manager에서 우분투가 보입니다. 우분투를 선택하면 grub화면이 뜨고...
멀티부팅하는 원리만 안다면 12.04에서도 가능하겠죠? (물론 12.04.2도 가능하겠죠?)
윈도우 비스타로 UEFI부팅을 하려는 이유는 돈없어서... Windows XP PRO를 구입하는 중에 윈도우 비스타 64bit의 다운그레이용을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윈도우 비스타를 원치않게 얻게 되었습니다. 만약 비스타가 32bit라면 UEFI를 생각하지 않았겠지만 64bit이고 새로운 부팅방식이 궁금해서 도전하게 되었습니다. 돈이 있었다면 처음부터 윈도우 7을 구입했겠지만 이미 가지고 있는 걸 활용해보고자 도전했습니다.
그런데 윈도우 비스타는 SP1부터 UEFI를 지원합니다. 몇 번이고 vlite로 통합하면서 많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그리고 많이 실패했습니다. " bootx64.efi "의 정체를 알기 전까지 실패만 했습니다. 드디어 UEFI로 부팅을 성공했고 사용해보니 MBR보다는 부드럽고 빠른 체험을 했습니다. 비록 제가 가진 윈도우 비스타로는 비트락커를 사용하지 못하지만, 보안을 좀 더 신경써준 부분도 있고해서 UEFI로 부팅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질문한 것은 해결했습니다. 단순히 바이오스를 업데이트했더니 부팅하고 설치가 가능해졌습니다. (현재 사용중...) 추측컨데 EEPROM의 기록을 초기화하지 못해서 그런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아니면 제 컴퓨터의 바이오스가 그런 쪽으로 결함이 있었는데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고쳐진 것인지....
(Fix) Fixed an issue where TVSU may hang immediately after start. ---> 이것이 수정된 점인데 상관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