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pci486의 이미지

고수님~~ 서버에 로드 에버리지가 139까지 치솟습니다..

서버에 로드 에버리지가 139까지 치솟다가
다시 떨어지곤 합니다.

지금 돌아가는 데몬이라곤 httpd, postfix 이놈인데
잠깐 저렇게 올라갔다가 다시 정상으로 돌아오곤 합니다.

혹시나 메일쪽 문제인가 싶어서 큐쪽도 살펴 보았지만 거긴 깨끝했습니다.

저거 어디서 부터 점검을 해나가야 잡을수 있을가요...

HacktivistSH9903의 이미지

리눅스 버전 마다 명령어 질문이요

제가 리눅스를 설치하려고 하는데 혹시 우분투,데비안 등등 리눅스 마다 명령어가 다른가요 전 우분투 중심으로 공부할 예정이여서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hoochoona의 이미지

cache 지원할 물리 디바이스들을 lvm으로 묶어서 ssd로 cache지원하려는데요...

상황이 지금 해야되는 상황인지라...

SSD Caching Using dm-cache Tutorial

를 보면서 하고있었는데요.
제가 못하는건지~
하나의 물리장치로만 cache가 되더라구요. lvm으로 여러 물리 디바이스를 묶어서는 안되구요.
혹, 다른 방법이 있다면 고수님들의 조언 듣고싶습니다.

몇주 째 찾고는 있는데 시야가 좁은지 보이질 않네요... ㅜㅡㅜ
고수님들 도와주세요...

kbj4567의 이미지

리눅스 커널디버거 kgdb사용해보신분?

연결이 잘안되서 질문 올립니다..

qemu로 구성한 가상머신 환경에서는 gdb와 연결이 잘 되고 제어가 잘 넘어옵니다.

그런데, 문제가

host: PC ubuntu 12.04

guest: PC ubuntu 12.04

이렇게 구성하고 시리얼포트로 연결한상황입니다.

grub.cfg 에서 kgdbwait을 넣어주고 브레이크포인트에 잘 멈추며 연결까지는 문제없이 됩니다.

그런데 continue하여 shell까지 부팅이 된 상태에서

echo g > /proc/sysrq-trigger

이렇게 입력하면 커널만 블록되고 제어가 gdb로 넘어오지 않습니다.

특정 systemcall에 브레이크포인트를 잡아놓고 실행되게 하여도 똑같이 블럭되고 제어는 넘어오지않습니다.

이런 경우 경험해보신 분 있으면 조언부탁드립니다.

nomail의 이미지

[완료] GnuPG에서 공개키에 대해 sign-key, trust 차이점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GnuPG 사용 중에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 질문 좀 드립니다.
다른 사람의 공개키를 import했을 때 신뢰하는 의미로 trust를 해주는데요.
그런데 import 작업 후,
edit-key 메뉴에서 trust하는 것이랑 --sign-key로 서명하는 거랑 어떤 차이점 있는지요?
gnupg 매뉴얼도 읽어보고 여러블로그 글들을 읽어봤지만 명확하게 설명된 내용이 없더라구요.
초보를 위해 좀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__)

tsabes의 이미지

windows에서 armcc 사용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windows에서 armcc 컴파일러로 빌드작업을 하고 있는데

armcc 설치 후 환경변수 등록도 다 되서

cmd 창에서 어느 경로든 armcc 커맨드가 동작을 하는 상태인데요

gmake 구문에서 armcc를 호출하면 정의되지 않는 명령어라는 문구가 나오며

컴파일이 중단되는데

혹시 이런 문제와 비슷한 경험을 갖고계신분은 도움말씀 부탁드립니다.

xoduddk123의 이미지

initctl log-priority 의 설정사항을 재부팅후에도 저장하도록 하고싶은데 방법이 있나요?

#initctl log-priority debug 로 설정해놓고

다시 재부팅을해서 부팅과정에서 upstart job의 상태를 디버깅하고자하고하는데요

다시 재부팅을 해서 #initctl log-priortiy 로 현재상태를 보면 default 상태인 message상태로 다시바껴져있더라고요

재부팅시에도 debug로 설정사항이 저장되어져있도록 하는방법이 있을 까요?

positoy의 이미지

외국에서 일하고 싶습니다.

2013년 한 해 어학연수 겸 캐나다에 다녀왔는데 외국에서 일하고 싶단 생각이 커졌어요.
작년 말에 귀국했는데 감사하게도 2014년 삼성에서 한 해동안 인턴하고 정직원으로 일 할 기회가 생겼습니다.

일단 취직문제가 어느정도 해결될 것으로 보여서 꿈을 쫓아보려고 합니다.
요즘 유튜브에서 인텔광고에 나오는 송호준님 처럼 미디어아트 같이 예술적이면서도 도전적인 일을 하고 싶은데 할 줄 아는 것은 별로 없어요.. 일단 한해동안 1년동안 임베디드를 공부하면서 HCI 관련 대학원을 알아보려 하고 있습니다.

포럼에서 선배 개발자님들 말씀하시는 것 보면 영어공부 말씀 많이하시고 의외로 해외 출장기회도 많다고 하시는데 분야에 없이 해외 활동 기회가 흔한 건지요?
출장가시는 분들은 보통 어떤일로 다녀오시나요?

그리고 대학원을 졸업하면 조금 더 해외에서 활동할 기회가 많아질까요?

haha8909의 이미지

우분투 12.04에 리눅스 2.6버전 커널 컴파일

현재 제가 설치한 우분투 버전이 12.04버전에 리눅스 버전이 Linux ubuntu 3.8.0-29-generic 인데요

이걸 여기에 리눅스 2.6버전을 커널 컴파일해서 쓸수있는 방법이 있나요??

이리저리 찾아보고 시도도 몇일째 해봤는데 도무지 모르겠네요 ㅠ

혹시 참고할만한 사이트라던가 조언 좀 부탁드릴께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