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rururara429의 이미지

우분투 최소 설치를 하면 x-window 상에서 반응속도가 왜 느릴까요?

우분투 서버를 설치해서

sudo apt-get install xorg openbox
startx

alsa랑 간단한 유틸 깔기도 하지만 암튼
이렇게 접속해서 웹브라우저 설치해서 웹서핑해보면 느립니다!!!
뭔가 끊기는 느낌이요.
일단 여러탭 여러놓은 상태에서 다른탭으로 이동 - 마우스 클릭하면 탭 전환 반응속도가 느릿느릿 멈칫멈칫합니다!!!
openbox 말고 xfce4 도 깔아서 시험해 봤구요. 인텔드라이버 최신 버젼을 깔아봐도 똑같네요.

14.04.2 우분투 서버랑 15.04 우분투 서버 둘 다 그렇더라구요.
혹시나 싶어서 최소설치인 서버버젼 말고 15.04 주분투 iso 파일을 받아서 usb live booting을 해 보았습니다.
그랬더니 정상적으로 (따로 최신 드라이버 설치 같은거 안해주어도) 하드 미설치에 usb 라이브 상태인데도
웹브라우져 반응 속도가 정상적으로 빠릿하게 동작하더군요.

howdark의 이미지

개발자가 되고 싶은 회사원

그동안 눈팅만하다 오늘에야 가입하고 글을 남겨보네요.
제목과 같이 33살 회사 7년차 회사원인데 개발자가 되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네요. 어렸을 때부터 컴퓨터를 만져서 컴퓨터 친밀도도 높고 몇몇 언어들도 독학으로 개념은 익힌 것 같습니다. 대학교 물리학과 졸업하고 회사 들어왔더니 공정개발 부서로 발령이 났으나 통계분석으로 공정 분석을 해보라고 해서 본의 아니게 SAS/R 겉핥기를 5년했고, 현재는 이런저런 설비들 개발(을 시키고)하고 있네요.

사실 어렸을때부터 개발자가 꿈이었는데, 어찌어찌 생각과는 다르게 삶이 흘러가는 것 같습니다. 이직을 하자니 쌓인 개발자 커리어가 없고, 이 회사에 남아있자니 자아를 실현하기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이제부터라도 회사다니면서 개발자로 이직을 준비한다면, 어떤 커리어를 쌓으면 될까요? 오픈소스 활동이나 커뮤니티 활동 같은 것도 하면 좋다던데 kldp 외에 어떤 곳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을까요?

howdark의 이미지

개발자가 되고 싶은 회사원

그동안 눈팅만하다 오늘에야 가입하고 글을 남겨보네요.
제목과 같이 33살 회사 7년차 회사원인데 개발자가 되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네요. 어렸을 때부터 컴퓨터를 만져서 컴퓨터 친밀도도 높고 몇몇 언어들도 독학으로 개념은 익힌 것 같습니다. 대학교 물리학과 졸업하고 회사 들어왔더니 공정개발 부서로 발령이 났으나 통계분석으로 공정 분석을 해보라고 해서 본의 아니게 SAS/R 겉핥기를 5년했고, 현재는 이런저런 설비들 개발(을 시키고)하고 있네요.

사실 어렸을때부터 개발자가 꿈이었는데, 어찌어찌 생각과는 다르게 삶이 흘러가는 것 같습니다. 이직을 하자니 쌓인 개발자 커리어가 없고, 이 회사에 남아있자니 자아를 실현하기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이제부터라도 회사다니면서 개발자로 이직을 준비한다면, 어떤 커리어를 쌓으면 될까요? 오픈소스 활동이나 커뮤니티 활동 같은 것도 하면 좋다던데 kldp 외에 어떤 곳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을까요?

juhyun16의 이미지

nabi 아이콘 및 비밀번호 입력시 * 문자 출력하기입니다.

노트북 윈도 8.1 64bit & 우분투 리눅스 Workstation 11.0 virtual machine(VMware Player 사용중입니다.) os는 우분투 64bit이고, 커널 버전은 3.18.8 버전입니다. 우분투 설치할 때 14.04.2 LTS 버전 이미지 파일 다운받아서 했었습니다.

1. nabi 아이콘(?) 을 시스템 트레이에 넣고자 합니다.
터미널에서 $ gsettings set com.canonical.Unity.Panel systray-whitelist "['JavaEmbeddedFram', 'WIne', 'Update-notifier', 'Nabi']"

입력을 하면 com.canonical.Unity.Panel 스키마가 없습니다.

라고 에러가 납니다. 저도 시스템트레이에 넣어서 깔끔하게 쓰고 싶네요~ ㅠ

2. 터미널에서 비밀번호 입력시 별표문자(*)가 나오게 하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되죠?? 뭔가를 설치해야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제가 까먹었어요..ㅠ

리눅스 초보자입니다. 잘부탁드립니다.

gene1311의 이미지

[리눅스] telnet으로 로그인한 계정에서 따로 vimrc(vim설정파일)를 필요할때만 불러올수 없을까요?

다른 계정을 새로 파서하면 편할 텐데 그럴 수가 없는 상황이여서요

그래서 같은 계정으로 저만의 vimrc 설정 해서 쓰고 싶은데요

계정에 있는 ( ~./.vimrc) 이거 건드리면 다른 사람도 동일하게 적용되잖아요

그래서 접속할 때마다 설정파일 따로 읽어서 vim에 적용되게 하고 싶은 데 그게 가능한가요?

제가 따로 만드니까 오류가 나서요

vi로
syntax=on
colorscheme만 지정해놓고

source로 그 파일 실행하니까
syntax : 명령을 찾을 수 없습니다.
colorscheme : 명령을 찾을 수 없습니다.

이렇게 뜨네요 이 방법 말고도 더 쉽고 편한 방법이 있을 것 같은데 아시는 분 답변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ㅠㅠ

0049okm의 이미지

개발팀에서 급하게 인력이 필요한 경우가 언제가 있을까요?

가령 회사 웹개발팀에서 갑자기 80명~150명 정도라고 표현해야 하나
많은 인원이 급하게 필요한 경우가 언제가 있을까요?

shint의 이미지

프로그래밍 언어는 책을 읽고 이해하여 만드는 수준이면 된다.

결국. 프로그래밍 언어를 구현한다는것은 글을 이해하고. 대화가 가능하다는것을 이야기 한다.

여기에는 몇가지 문제가 있는데. 언어(책)는 다양함을 제공하지만. 사실. 불편한 도구다.

가장 좋은 방법은 종이 1장. 글 한줄로도 설명이 가능해야 한다. 설명이 필요 없다면. 더욱 좋은데. TV와 사전 수준이면 좋다.

하여간. 이런 저런 방식이 있다.

- 책을 보고. 이해하는 수준 (배우는 놈이 따라와라)

- 또는.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의 기술 구현 (만드는 놈이 쉽게 만들어라)

- 책이 어려우면. 설명을 해주자 (학원 선생님)

- 모르겠으면. 다른 책. 검색 해서 알아봐라 (인터넷 사전)

- 그냥. 먼저 만든 사람들 코드. 프로젝트 따라하면서 배워라 (오픈소스)

이것은 교육과 같고. 사회와 산업. 기술. 의료. 방송. 통신. 교통과 더불어 모든 것에 적용 가능하다.

생각의 나래를 펼치다. 라는 말이 있듯이... 꿈과 상상. 이상.을 현실로 풀이 하는 과정이라고도 볼 수 있다.

lkh의 이미지

해킹대회

고등학생인데 해킹 대회에 나가고 싶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 잘 않나오네요... 제가 검색을 잘 못해서...
2015년에 하는 해킹대회 일정같은거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

mrhyunby의 이미지

공유기/스위칭허브 구성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IPTIME 공유기로, 노트북, 나스, 라즈베리파이 x 1대 사용 중입니다.

이번에 PC와 라즈베리 파이를 구매하려고하는데, 첨부 그림처럼 라즈베리파이를 많이 사서 개인 작업을 하려고합니다.

스위칭 허브를 사서, 공유기 아래에 물리면 될 것 같은데, 맞을까요?

WAN 포트가 따로없는 스위치 허브를 공유기에 물리면 자동으로 dhcp가 되는 것인지 궁금합네요.

기가비트 지원 모델로 아래의 제품들을 보고있는데, 비추천 모델이 있나요?
1. 디지털존 WeVo N2400G - 77,000원
2. 이지넷유비쿼터스 NEXT-1016GS - 80,000원
3. Bless ZIO GSB1660SW - 83,000 원

데이터 전달이 엄청 중요한 부분이 아니어서 저가여도 상관없다는 입장이긴 합니다만.. 괜찮을지.. 확인부탁드립니다.

khalisto의 이미지

리눅스 chown 명령 실행권한에 대해..

안녕하세요.

root 계정에서 chown 명령을 별다른 생각없이 쭈욱 사용해오다가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반계정에서는 소유자가 자신으로 되어있는 파일 및 디렉토리의 퍼미션을 chmod 명령어로 변경이 가능한데

어째서 chown 명령어를 통해 소유자 변경이 되지 않는 것일까하는가 하는 의구심이 발생하더군요.

* chown 라는 명령어의 권한을 보니
-------------------------------------------------------------
-rwxr-xr-x 1 root root 17968 Mar 27 11:59 chown
-rwxr-xr-x 1 root root 17924 Mar 27 11:59 chmod
-------------------------------------------------------------
이와 같이 되어 있는데요(OS 초기 설치 이후 설정 그대로 입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