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jz99의 이미지

ssh 접속하여 remote의 gtk application을 local에 launching 시킬 수 있나요?

internet으로 ssh접속하여

접속한 곳 서버에 있는 gtk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display를 local로 하여 실행 할 수 있나요?

remote는 ubuntu 15.04 server edition
local은 ubuntu 15.04 desktop x64 입니다.

서버는 ubuntu server edition이고, lxde나 xfce 등을 설치할 형편이 되지 못합니다.

가능할까요?

Rubypops의 이미지

개발자의 종착지는 치킨집인가요??

주변에 델파이 개발자로 19년동안 살아오신 개발자 아저씨가 있습니다.

그분이 내년에 치킨집을 차리신다고 하는데. 한국에서는 개발자 하지 말라고
담배 피면서 씁쓸하게 이야기 하시는데 결국 it맨들의 종착지는 치킨집인가요...

multibg의 이미지

커널 모듈(드라이버)을 특정 시스템 포팅에 잠시 도와 주실분을 찾습니다.

커널 모듈(드라이버)을 특정 시스템에 포팅 하고자 합니다.

이미 저희가 개발한 커널 모듈은 우분투,Cento등의 리눅스 데스크탑 형태로 개발이 되어 있고 구동 하고 있습니다.
해당 커널 모듈을 특정 임벤디드 시스템에 포팅 하고자 합니다.

포팅 하고자 하는 시스템은
Linux Kernel 3.14
ARM 64
U-Boot
uImage
형태 입니다.

커널 모듈의 특징은 Device mapper의 일부 기술을 차용 하고 있기 때문에 부팅 단계에 커널 모듈을 로딩 하여야 합니다.
해당 기술에 잠시 도움을 줄수 있는분을 모시 고자 합니다.

multibg2@naver.com으로 연락처를 보내 주시면, 자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수고 하세요.

vivisection의 이미지

mingw 에 boost 설치 질문

mingw64를 사용중인데 boost.org에서 boost 를 다운받아서 컴파일하고 설치를 했는데
boost 라이브러리가 include 가 안되고 에러가 납니다
영어가 짧아서 영어사이트 아무리봐도 모르겠습니다
link option 어떻게 주어야 하는지 알려주세요

mathewpark90의 이미지

우분투 환경에서 너치 크롤링 시 pdf URL 텍스트 파싱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검색 엔진을 흉내내보려고 하는 허접 학부생입니다..

너치 1.10 v 으로 pdf 파일을 seed URL로 잡고 긁어와서 segment 디렉토리를 덤프떴는데

일반적인 웹페이지는 잘 가져오는데 pdf는 깨져있드라구요..

구글해봤더니 티카를 쓰라는데 어떻게 써야할지 잘 모르겠더군요..

어떤식으로 pdf 파싱을 진행해보면 될까요 ㅠㅠ?

whs9400의 이미지

sourcetree ftp 서버? 연동

안녕하세요 제가 지금 ftp서버? 라고 해야할까요? 음.. hfs라는 프로그램을 가지고 팀 서버를 만들었는데요.
여기에 팀 프로젝트 소스를 올려놓고 소스트리에서 불러오고 싶은데 그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혹시 알고 계신분 계시나요?

youngtak79의 이미지

부팅시 checking disk driver 메세지 없애는 방법

부팅시 간혹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나옵니다.
Errors were found while checking the disk drive for / ignore
Press F to attempt to fix the errors, I to ignore, S to skip mounting, or M for manual recovery
I버튼으로 무시하고 넘어가면 되기는 하는데.
무인으로 운영되는 시스템이어서 자동으로 넘어갔으면 하는데 방법이 있을까요?
디스크가 깨져서 or 베드섹터 때문에 나오는 문제인가요?

babbab의 이미지

리눅스를 어떻게 생각하는에 대한 한가지 의견

슬랙웨어와 윈도우를 몇년 써봤더니 어느정도 의견이 생긴것 같습니다.
맥OS X도 써봤는데 유닉스계열이기도 하지만 쉘보단 GUI가 더 강하다는 느낌이 듭니다.

리눅스를 보면 실질적으로 쓰는 OS보단 장난감에 더 가깝다는 생각이 듭니다.
FreeBSD같이 단단하고 안정적이지도 않고 200-300백만원에 파는 질좋은 상업용 유닉스도 아닙니다.
자주 고치고 실험적으로 앞으로 나올 불안정적인 기술들을 미리 해보는, 소스 코드도 자주 고치고
개인용이 아니라 서버용으로 여러사람이 동시에 쓰게끔 디자인됐있는데 컴퓨터에 관심있는사람이라면
개인이 만질수 없는 그런 OS를 만져볼 기회를 주는게 리눅스가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오픈 소스를 떠나서 리눅스는 공짜이고 취미용인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제결론은 리눅스는 취미용이나 장난감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lkh의 이미지

Url에 파라미터로 텍스트 입력하면 그대로 뿌려주는 사이트 없나요?
그러니까 www.xxx.xxx/?a=text 이런 식으로 접속하면 php같은걸로 echo로 그대로 text 뿌려주는 페이지같은거요

sanugi의 이미지

리눅스에서 IP를 통해 hostname을 알아낼 수 있나요?

리눅스에서 다른 서버의 ip 정보만으로 해당 서버의 호스트 네임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