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icno의 이미지

1개의 공인아이피에 내부 아이피 설정

안녕하세요.
얼마전 DNS및 Httpd에 대한 도움을 잘 받았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하나의 공인아이피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DNS및 httpd.conf를 설정하여 다른 것들은 문제
없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궁금한 점은 내부에 있는 다른 서버에 사설아이피를
부여하여 외부에서 telnet, ssh등으로 접속을 하고
싶어서 입니다.
물론 현재 내부에서는 서로 문제없이 접속이 됩니다.

아래는 제가 셋팅한 .zone 파일입니다.

------------------------------------------------------
$TTL 86400

rstein의 이미지

여러 서버간의 backup 방식??

여러대의 solaris와 linux 머신이 있습니다.

linux에 24GB tape device가 있어서 linux를 backup server로 하여

solaris와 linux를 backup하려고 합니다.

amanda를 써서 해보려고 했는데, rewinding device라며

안 되더군여...

rdump와 dump를 이용하여 해보려고 했는데, linux(redhat 8.0)에

다른 머신에서 root로 rlogin, rsh등을 사용할 수 없어서 실패 했습니다.

뭔가 좋은 방법이 없을까여??

은영신랑의 이미지

too big for standalone boot from floppy ..Error메세지좀 잡아

커널 컴파일을 하는데 make bzImage 에서

Kernel is too big for standalone boot from floppy 라는 메세지가
나옵니다.
Root device is (3, 6)으로 잡히고요.
Floppy 에서 부탕할것이 아닌데 위와 같은 메세지가 왜 나오는건지
잘 모르겠네요.

OS: Redat 8.0 , 다른것은 건드린것 없고 모듈로 올라가는 것들좀
많이 빼고 컴파일 하는데 그런 메세지가 뜹니다.

Necromancer의 이미지

dmesg 결과물을 공개하겠습니다.

[code:1]
Linux version 2.6.0-test1 (knight@robocop) (gcc version 3.2.2 20030222 (Red Hat
Linux 3.2.2-5)) #1 Tue Jul 15 12:18:01 KST 2003
Video mode to be used for restore is ffff
BIOS-provided physical RAM map:
BIOS-e820: 0000000000000000 - 00000000000a0000 (usable)
BIOS-e820: 00000000000f0000 - 0000000000100000 (reserved)
BIOS-e820: 0000000000100000 - 000000001fff0000 (usable)
BIOS-e820: 000000001fff0000 - 000000001fff3000 (ACPI NVS)
BIOS-e820: 000000001fff3000 - 0000000020000000 (ACPI data)

mastercho의 이미지

관리자 권한이없어서 , boost 라이브러리 설치에 애로사항

boost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은 boost 라이브러리가 들은 boost 폴더를

g++ include 라이브러리쪽 폴더에 카피를 해볼라고 했는데

사용자 권한이 없어서 못 카피 했거든요

[학교 리눅스 서버]

그래서 사용자 폴더쪽에다가 놓고 써야 할거 같은데

g++ 로 컴파일할때 -I 이거로 제지정해도 연관되어 있는 다른 라이브러리 소스는

제지정이 안되는거 같은데

이걸 사용할 방법이 없을지 궁금합니다

dreamer의 이미지

date, clock

/sbin/clock 와 /bin/date를 실행 시키면 모두 시간 및 날자를 출력 합니다.
그런데 이 두개의 정확한 차이는 무엇인가요?

yaongi0620의 이미지

재차 질문] 레드햇의 가장 안정적인 버젼은?

저는 보통 레드햇 7.2를 사용했는데, 이 번에 새로 서버를 증축하게 되면서, 이 버젼을 계속 써도 되나하는 생각이 드네요... 요즘 보니까 레드햇 9.0까지 나왔던데.... 가장 안정적인 버젼은 어떤 건가요?

그리고, 지금까지는 배포판을 깔았는데, 상업용 서버로 다운 받은 배포반을 써도 되는건가요?

yaongi0620의 이미지

서버 설치시, 하드 문제.. ultra 160과 320....

울트라 160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보드에 울트라 320 스카시를 달아도 되나요? 하드웨어 쪽은 무지해서..... 도움 바랍니다.

sisap의 이미지

[질문] 씨디 자동 마운트 되면서 노틸러스가 뜨는데..

안녕하세요?
씨디를 넣으면 노틸러스가 자동으로 실행되면서 뜨잖아요?
전 근데 노틸러스보다 KDE konqueror를 파일 매니저로 쓰는데 자꾸 노틸러스가 뜨니까 좀...

그래서, 그걸 컹커러가 자동으로 뜨게 설정을 바꿔줄수는 없나요?
글구 공씨디를 넣으면 노틸러스에서 곧장 씨디 굽는 모드로 들어가던데
그게 한 두어번 해 봤는데 400메가인가 정도까지만 굽고 말데요...

머, 하여간 노틸러스로는 씨디 안구우니까 별 상관 없지만...
이거 자동으로 뜨는걸 컹커로로 바꿔줄라믄 어떻게 하는지 아시는분 계시면,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