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Reper의 이미지

os 공부 중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네요.

현재 os를 만들기 위해서 책을 보며 공부하고 있는데요.

lea esp, [pm_start-256]
 
push dword user_data_selector
push esp
push dword 0x200
push dword user_code_selector
lea eax, [user_process]
push eax
iretd

이 부분에서 pm_start가 커널 스택 영역의 주소이고 pm_start-256이 유저 스택 영역의 주소입니다.
esp에 pm_start-256의 주소를 넣음으로써 유저 스택 영역의 주소를 넣었음이 확실한데 ..

저자는 push 되는 부분부터 현재 esp에 커널 스택 주소(pm_start)가 들어있으며
push되는 값들이 모두 커널 스택에 쌓인다고 하네요.

무슨 말인지 납득이 가질 않는데... 혹시 도와주실 수 있으신가요 ?

ucyang의 이미지

[재질문] 갑작스런 "DNS request timed out." 문제로 질문합니다.

이전에 질문한 적이 있습니다만 답변이 없어 내용 정리, 요약 후 다시 질문합니다. 이번에는 누군가 꼭 답변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불과 얼마전까지 정상적으로 동작하던 DNS 네임서버에서 갑자기 외부망 쿼리에 응답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해 질문합니다. 시간이 꽤 흘렀는데 외부 DNS 대행 업체에 임시로 맡겨둔 상태로 해결을 못 하고 있네요.

우선 DNS 네임 서버는 자체 운영 중으로 평범한 아파트에서 공인 IP를 하나 할당받아 운용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몇 주 전부터 발생했는데요. 초기 설정 후 문제를 일으킨 적 없던 DNS 서버가 갑작스레 외부에서의 쿼리에 "DNS request timed out." 문제가 발생합니다. 방화벽과 DNS 설정들을 먼저 확인해봤지만 최근 변경한 적이 없기에 이 문제는 아닐 것입니다. 실제로 점검도 해봤고요.

wnsdud9984의 이미지

공공데이터 포털의 데이터에 필요없는 부분을 어떻게 자르나요?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데이터를 받으면

{
"response": {
"header": {
"resultCode": "00",
"resultMsg": "NORMAL SERVICE."
},
"body": {
"items": {
"item": [

아래처럼 나오고 데이터가 출력되잖아요.

저기 전체 데이터 중에서

item과 실데이터를 제외한

"response", "header", "resultCode", "resultMsg", "body", "items" 를 지우고 싶습니다.

어떻게 하면 지울수 있나요?

아님 구글에 어떻게 검색하면 나오는지 알려주세요.

jaykldp의 이미지

C언어에서 16진수를 사용하는 이유와 의미???

C언어 초보 입니다.

정말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현재 분석 중인 코드를 보면, 어떤 부분에는 10진수를 어떤 부분에는 16진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궁금한 점은...
코딩을 하다... 언제, 왜 16진수를 사용하는지와 16진수를 사용함으로 얻을 수 있는 이점 등등...
c언어 and 16진수에 관해 궁금해 질문 작성해 봅니다.

불쌍한 초보 구원하신다 생각하시고, 자세한 답변 좀 부탁 드리겠습니다.
미리 감사 드립니다.

martiel의 이미지

ASP, JSP와 MS-SQL연동 질문입니다.

모두 무더위에 고생이 많으십니다..

위 제목과 같이 ASP와 MS-SQL연동과 JSP와 MS-SQL을 연동할시 에 관한 질문입니다..

보통 웹 개발을 할때 서버의 OS는 크게 리눅스, 유닉스, 윈도우NT 로 나뉘고

개발 언어는 크게 JAVA, ASP, PHP로 나뉘고

DBMS는 크게 오라클, MS-SQL, MY-SQL이렇게 나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보통 공공기관이나 대기업들은 보통 유닉스-JSP-오라클을 쓴다고 하더군요.....

근데 오라클이 나머지 두개의 DBMS보다 엄청나게 비싸다고 들었습니다.

MS-SQL은 가격대비 성능이 좋고 요즘은 많이 좋아졌다고 들었습니다.

주로 MS-SQL은 MS꺼랑 연동해서 쓰인다고도 하더라고요 ASP와 윈도우서버에서 주로 연결. 다른 것들과도 연동이 되긴 하지만

근데 요즘은 오라클이 너무 비싸서 일반기업들과 대 기업에서도 JSP랑 MS-SQL을 사용하려는 분위기가 나타난다고 하네요.

trymp의 이미지

linux 에서 process RSS 값에 공유메모리 size 도 포함되나요?

linux (64bit) fedora 를 사용하고 있는 유저입니다.

process 가 실제 사용하고 있는 메모리가 RSS 값이라고 하잖아요.

공유메모리를 attach 했을 때 그 공유메모리 사이즈가 RSS 값에 포함되게 되나요?

아니면 이걸 제외한 값이 RSS 가 되는지? RSS 는 증가안하고 VSZ 만 증가하는지 궁금합니다.

고수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dongmy의 이미지

안녕하세요. 초보 개발자입니다. NODE JS LOG 관련되어 질문을 올립니다.

안녕하세요. 초보 개발자입니다.

처음으로 KLDP 사이트에 글을 올려봅니다.

현재 NODE JS로 개발 중인데요.

비동기식 처리라서 그런지 프로그램이 순차적으로 진행하지 않다 보니 로그를 남겨도 화면에 나오거나 파일로 찍은 로그를 보는것이 쉽지가 않습니다.

비동기식 처리식 로그를 남길 때 어떤 노하우들이 있는지 듣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sleeping522의 이미지

php를 이용한 게시판 문제..

계층형 게시판 소스 입니다.

게시글에 뎃글을 달면 기존 게시글 넘버을 이어서뎃글이 달립니다.

뎃글에는 기존 넘버을 이서받지 않고 새로운 넘버로 바꾸고싶은데 수정이 잘안되서 확임좀 부탁드리겠습니다.

ssskim의 이미지

file close시 오랜시간이 걸립니다. 왜 그럴까요?

블록 디바이스의 쓰기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코드를 이용하고 있는데요. 생각보다 속도가 안나와서 보니
close함수에서 많은시간을 소모하고 있었습니다.

시간을 줄일 방법이 없을까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