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dayliver의 이미지

윈도우용 애플리케이션 제작을 위한 언어 선택 관련 질문

안녕하십니까?

저는 프로그래밍 비전공자로 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엑셀 VBA를 하기 시작하면서 프로그래밍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PHP로 다양한 교육용, 교무업무용 웹사이트를 개발한 경력이 있습니다.

이번 방학을 이용해서 윈도우용 학교시간표 프로그램을 제작하려고 합니다.

윈도우용 응용프로그램은 만들어본 적이 없어서 언어 선택에 고민이 많습니다.
다음의 조건을 충족하는 언어를 추천해주신다면 아마추어 프로그래머에게 큰 힘이 될 것 같습니다.

조건 1. 윈도우에서 UI 구현이 용이한 것
조건 2. 많은 연산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것 (요즘의 학교시간표라는 것이 굉장히 복잡해져서 좋은 시간표를 만들려면 수많은 경우의 수를 따지는 연산이 필요합니다.)
조건 3. (가능하다면) 배우기 쉬운 것 .. (너무 욕심이 과한가요? ㅠㅠ)

zenaka의 이미지

sys_fork(), sys_clone() 에대해 질문있어요!

안녕하세요

공부를 하는중에
사용자 lib인
fork(), clone(), pthread_create() 들이 모두 system call중에 clone()을 호출 하는 것이더군요.
sys_clone()을 호출하여 do_fork()로 넘어갑니다. 실제 코드에서도요.
그러면 sys_fork()는 언제쓰이고 무슨일을 하나요?
어떤 글들에서는 fork() -> sys_fork() -> do_fork() 라고 하시는데 코드확인 결과 fork() 후에는 sys_clone()이 맞는 것 같습니다.
sys_fork()는 return do_fork(SIGCHLD, regs.esp, &regs, 0); 라는 코드로 이루어져 있던데
저렇게 하면 do_fork가 무슨일을 하게되나요?

한마디로 sys_fork()가 어떨때 쓰이고 무슨일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tmdrbs9021의 이미지

UML 관련 질문입니다.

프로젝트를 진항하기전에 UML 설계 프로그램을 study하고 있습니다.

한가지 궁금한점이 있는데요.

starUML과 비슷한 모든 UML 프로그램에서는

클래스 안의 함수 선언(함수 body라고도 하죠?)까지만 가능한건가요?

함수내부의 로직 예를 들면 함수 안의 로직(for문이나 if문) 등등은 UML에서 설계가 불가능한가요?????

혹시나 로직이 구현 가능하다면 관련 정보를 부탁드립니다. ~~

kuroneko의 이미지

자바 관련해서 초보적인 질문입니다.

이 중에서 showArea 메소드의 변수들을 private으로 놓으면 illegal modifier for parameter이라면서 only final is permitted라고 합니다. 왜 문제가 되는 것이지요? 다른 클래스에서 showArea 메소드를 활용하기 때문에 showArea는 default라지만 변수들은 private이어도 괜찮지 않나요?

pr0gr4m의 이미지

리눅스 시스템 프로그래밍 입문하려고 합니다.

파일 시스템과 커널을 공부하고 싶어서 리눅스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입문하려고 합니다.

아직 이쪽 계열에 접하여 공부한지 오래되지는 않았지만

C프로그래밍 자체는 무난한 콘솔게임들은 만들 수 있을정도로 익숙해졌고

자료구조와 알고리즘도 어느정도 공부해봤습니다.

리눅스 환경 자체 또한 간단한 커맨드나 서버구축정도는 익히고 있습니다.

지금 공부하고있는것들을 마무리한 후에 이제 시스템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려고 하는데

아래 세 책중에 무엇을 볼지 추천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처음에 말씀드린것처럼 주 관심분야는 '파일 시스템'과 '커널'입니다.

Beginning Linux Programming
(http://www.yes24.com/24/goods/2999640?scode=032&OzSrank=1)

twinwings의 이미지

[완료] C++11 std::thread, 강제종료 할 수 없는건가요?

#include <iostream>
#include <thread>
 
class hello
{
public:
	void run()
	{
		tid = std::thread(std::bind(&hello::forever, this));
	}
private:
	void forever()
	{
		while(1)
		{
			std::cout << "hello" << std::endl;
			std::this_thread::sleep_for(std::chrono::seconds(1));			
		}
	}
private:
	std::thread tid;
};
 
int main()
{
	hello h;
	h.run();
 
	std::this_thread::sleep_for(std::chrono::seconds(10));
	return 0;
}

main에서 빠져나오면서 hello의 소멸자가 호출되고,

glay1234의 이미지

파이썬 Django에서 멀티 테이블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되나요?

안녕하세요!

django를 배우고 있는 중입니다.

ORM이라는 쉬우면서도 쉽지가 않네요;;

제가 해볼려고 하는 것은 주식 분별 데이터를 저장하여 웹에서 처리 할려고 하는데

분별 데이터를 Model로 만들면

't_min_stock' 테이블 하나만 생성되어서 여기 주식 전 종목데이터를

집어 넣는데 테이블 크기가 너무 방대해 질것 같아서

't_min_000300_stock' 이런식으로 종목코드별로 데이터를 넣고 Model을 사용하고 싶은데...

여쭤 볼데가 없네요...

구글링에서 one model mutiple table 이런식으로

검색해서 봤는데

아직 초보라 이해가 잘 안되네요...

Django 잘 아시는 분 질문이 어리숙하더라도 조언 부탁드립니다.

C만 주구장창하니 python도 어렵네요;;;

happyKYS의 이미지

32bit 와 64bit architecture 에 대한 소소한 궁금증.

안녕하세요~ 매번 여러 개발자 분들 답변에 잘 배워갑니다.

ARMv7 에서 ARMv8 으로 제품군들이 넘어가는 현재 시점에서.. 그냥 아키텍쳐에 대한 소소한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려봅니다. 가볍게 봐주세요~

제 생각에 우선 banked register가 없어지고 동시에 가용가능한 general purpose register가 늘었느니 아키텍쳐 파이프 라이닝을 어떻게 늘렸느니 이런 관점은 둘째치고 단순히 32bit -> 64bit로 bus bandwidth, register bandwidth가 늘었을때의 장점이 통상 우리가 생각하기에 idle하게 성능 증가가 된다에 대한 의문인데요.

일반 사람들이 보통 "와 니 컴퓨터 64비트 컴퓨터네~ 내꺼 32비트 컴퓨터인데 니께 내꺼보다 2배는 빠르겠다" 이런소리도 하곤 하죠.. 단순한 수치상 비교에 따른 생각입니다만, 어쨌든 저런식으로 사고하시는 분들도 많죠.

근데 정말 성능증가의 포인트가 어느부분에 있느냐가 의문이 듭니다.

jic5760의 이미지

NFS 심각하게 느립니다...

CentOS 6.6에서 NFS서버를 구축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N54L)
그런데... 심각하게 NFS write하는것이 느립니다.
(READ는 속도가 나오는거 같습니다.)
정말 심각하게... 서버자체에서는 수십MB/s가 나오는 것이 NFS클라이언트에서 Write하면 1MB/s도 안나옵니다;;;
네트워크 문제는 아닙니다. (iperf으로 테스트 해 보면 720Mbps가 나옵니다)
NFS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write을 하면 iowait가 50% (CPU하나 100%을 잡아먹네요...)가 되버립니다.
왜이런 걸까요??

참고로 서버쪽 exportfs 에 옵션은 rw,sync,no_subtree_check 이정도 입니다...
(sync을 async로 하면 빠르긴 한데... sync으로 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안정성 때문에...)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