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운형의 이미지

SSH 로그인시 쉘동작 이상

안녕하세요. 장기 눈팅 회원 운형입니다.

최근 사내에 개발 서버를 도입했습니다.
도입후, SSH를 통해 개발 인력들이 개발 서버에 접속하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SSH 접속후, 이상 문제가 있습니다.

증상
1. SSH 접속후 TAB키를 누르면 에디터에서 TAB키 누른 것처럼 커서 위치가 변경됩니다.
( 참고로 su - 를 이용해서, 루트로 변경하고나면 이런 문제는 없습니다. )

2. SSH 접속후 쉘 커맨드 실행한 후, 방향키중 윗쪽 화살표 키를 누르면 이상한 케릭터가 뜹니다.
물론 이상태에서 엔터키를 누르면 shell에서 에러가 나옵니다.
역시, 루트 상태에서는 이런 문제가 없습니다.

참고로 서버의 콘솔에서는 이런 문제 없습니다.

팁좀 주십시오.

감사합니다.

ghks2047의 이미지

ip고정 할당할 경우 ping이나 ssh접근이 불가능해져요

dhcp설정이었던걸 고정할당하기위해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3으로 들어가서
사진대로 할당을 해주려고 했습니다,
현재 #주석처리 된것을 풀고, BOOTPROTO=dhcp를 주석처리하여 실행하면
ssh접근도 안되고 ping 8.8.8.8도 destination host unreachable이라고 나오네요

어떤게 문제인지 잘 모르겠어요
게이트 웨이는 윈도우명령창에 나오는 공유기의 게이트웨이 ip로 주었습니다.

zeros48의 이미지

안녕하세요 C++질문드려요

안녕하세요 C만 하다가 C++이제 넘어왔는데요
비트코인 오픈 소스 보는 중인데
왜 에러가 나나 해서요 초보적인 질문일수도 있겟네요;

#include
using namespace std;

class CBlockHeader
{
public:
string hash;
string hashPrevBlock;
int Nonce;

CBlockHeader()
{
SetNull();
}

void SetNull()
{
hashPrevBlock.SetNull(); // 에러부분
Nonce = 0;
}
};

생성자에서 SetNull();을 정의했으니 밑에서 사용할수 있지 않나요?

ljs0652의 이미지

로그인 방법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로그인 방법이 3가지 정도 있다고 들었는데요

원격로그인, 터미널 로그인, rdp 라는데 이 셋의 차이점이나 특징이 있을까요??

kutest의 이미지

리버싱과 메모리접근

리버싱과 메모리접근은 다른것인가요?
날씨정보 api 프로그램에서 내부 일부 문자열을 가져오고싶었는데, 누군가가 말하길 리버싱하는것은 프로그램을 덤프할때 쓰는것이으로 문자열을 가져오려면 메모리접근해서 문자열을 가져와야한다던데
그러면 c언어로 메모리접근해서 가져온다는것인건가요

doraq의 이미지

spoofing을 src == dst 이렇게 한 경우, 테스트

IP spoofing 에 관해 테스트 중입니다.

환경은 이렇습니다.

1. PC + Ubuntu(virtual box)

2. target board(android 9.0)

target에는 wifi hotspot이 있어서(유선은 없습니다) 켜두고 윈도우PC에서 wifi로 target의 hotspot에
연결하면 Ubuntu와 target 사이에 192.168.5.x 망 으로 연결됩니다.

Ubuntu에서:
hping3 192.168.5.1 -S -a 192.168.5.1
위와같이 src IP를 dst와 같게 spoofing 하여 target(192.168.5.1)으로 쏩니다.

target에서:
iptables -N LOGTEST
iptables -A LOGTEST -j LOG --log-prefix "[firewall]"
iptables -A INPUT -j LOGTEST
(모든 INPUT 패킷을 다 로그에 남겨라) 해놓고,

chlrbtlr30의 이미지

C언어 fwrite() 이진파일 작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실험 도중 일어난 현상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빠르게 질문을 요약하여 올리자면, fwrite() 이진 파일을 만드는 것이, OS의 하드웨어단의 플렛폼에 영향을 받나요??

Intel Xeon CPU에서 저장한 이진 파일을, Odroid XU3(Exynoss 5422) 에서 읽어서 사용하였는데, 둘이 동일한 결과가 나와야 정상인데,

다른 결과값이 나와서 질문드립니다.

좀더 정확히 설명하자면, 서버단(Xeon)에서 훈련된 딥러닝에 훈련된 네트워크를 fwrite를 통하여 저장하고, Inference 과정을 진행,

이를 Odroid로 가져와 동일한 Inference 과정을 거쳤는데, Output값이 다르게 나와 질문드려요.

마찬가지로 반대로 Odroid에서 훈련한 네트워크를 서버단에서 가져와 진행하여도 결과값이 다릅니다.

파일은, 표준화되어 어떤 플렛폼에서 작성하여도 다 동일한것으로 알고있었는데, 제가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있는점이 잘못된건지, 두렵네요.

youn0713의 이미지

c++ 코드를 parsing 할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Linux base a.out에서 C++ Code Parsing 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C++ Code 파일을 Read Parsing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려고 하는데요,
모든 syntax를 인식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고 아래 정도의 요구 동작만 지원하면 될 것 같은데..

Googling을 해 보니, CLang 등의 라이브러리로 Parsing 할수도 있는 것 같은데
한번도 접해본 경험이 없어서.. 혹시 좋은 방법 조언 해 주실 수 있을까요?

- 특정 함수 Code 위치 찾기 ( 함수, 시작과 끝 인식 )
- 함수 호출 Code 인식, ( Callee 함수로 이동하여 Parsing 진행 )
- 주석문 인식

pelomon2의 이미지

멀티 페이지 테이블 (OS) 질문.

OS 멀티페이지 테이블(계층구조) 공부하다가 아리송한게 있어 질문드립니다.

싱글페이지테이블에서는
페이지 크기에서 페이지의 변위(오프셋)을 구하고, 그에맞게 페이지 테이블을 구했는데요

예를들어 16비트 시스템에, 4KB 짜리 페이지 라고하면
4KB의 범위는 2^12가 되니까..
오프셋(변위)은 12비트고.. 16비트중 남은 비트는 4비트만 남으므로..
싱글페이지테이블이 가질 수 있는 엔트리 개수는 2^4 = 16개 엔트리가 생긴다고 봤습니다.
그래서 기존까지는 남은비트를 가지고 테이블을 만든뒤 그걸 기반으로 물리주소를 찾아가는구나.. 이렇게생각했는데요..

멀티페이지에서는 오프셋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을 디렉토리영역/페이지테이블영역으로 나눠서가지더라구요..
그중에서 페이지테이블영역의 엔트리개수를 구할때, "각 페이지 테이블의 사이즈는 페이지의 사이즈에 맞춰야한다" 라는 설명이있던데..
이말이 이해가 안됩니다.

왜 맞춰야되는걸까요?
페이지테이블이 페이지의 사이즈를 넘기거나 더 적으면 안되는건가요?

pch2180의 이미지

pointer 크기 관련해서 좀 헷갈리네요

안녕하세요. 매일 눈팅만하다가 조금 헷갈리는 점이 있어서 첫글을 작성하네요.

64bit OS 기준으로 pointer의 data size 크기가 8bytes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면 pointer - 1 이면 실제 pointer - 0x8과 같지 않나요?
근데 실제 테스트를 해보니 pointer - 0x4와 같네요 ㅠㅠ

pointer가 아니라 int 사이즈로 가는거 같은데 뉴비에게 가르침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