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find -exec" 로 파일 복사후 압출 풀기

find 명령의 -exec 옵션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만약 dir1, dir2, dir3에 file1.xx.gz, file2.xx.gz, file3.xx.gz이 각각 들어있다고 하겠습니다.
현 워킹 디렉토리에 dir1, dir2, dir3와 dest 디렉토리가 있다고 할때

find . -name "*.gz" -exec cp {} ./dest \; -exec gunzip {} \;

위와 같이 실행을 할 경우 각 디렉토리의 gz파일을 dest로 복사는 가능합니다.
하지만 복사 전 dir1,2,3내의 파일이 압축해제가 됩니다.

예상하셨겠지만, 제가 원하는 것은 복사한 후 dest폴더 내의 gz 파일을 압축해제 하는 것입니다.

어떻게 가능할까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문자열 배열과 포인터의 초기화에 관한 질문입니다.

Q1. char s[10] ;// 문자열 배열은 초기화 시, 자동으로 끝에 널값 삽입.

문자열배열 맨 끝에는 문자열의 끝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널값이 필요함.

그렇다면

char *ss =“hi”;
// 이런 문자열 포인터가 있다고 했을 때, ss가 가리키는 값의 끝에는 널값이 존재하나요?

Q2. 예를 들어

char a[6];
char *b[6];
for(int i=0; i<5; i++)
a[i]=‘A’;
for(int i=0; i<5; i++)
b[i]=&(a[i]);

이런 코드가 있다고 했을 때, 문자열 배열 포인터인 b값 끝에

널값을 대입해주지 않았으니, 오류인가요?

구글링을 하다가, 문자열 배열 포인터 끝값으로 널값을 넣어주어야 한다고 얼핏 본 듯한데

직접 코딩을 해보니, 오류가 뜨지 않아 헷갈리네요..

세벌의 이미지

GIMP for MS Windows 7 실행하고 파일 저장하려고 하면 죽네요

안녕하세요.
김프 버전 2.10.8.을 데비안에 설치해서 씁니다.
잘 됩니다.

김프를 엠에스 윈도 7에 설치했습니다.
실행 잘 되나 했더니...
저장 하려고 하면 죽습니다.

엠에스 윈도7에서 김프 2.10 쓰시는 분? 잘 되나요?

rintrah의 이미지

Redhat 계열 사용 중인 개발자/시스템 관리자분들께 질문

글쓰기가 어렵네요. ;;;

기본적으로는 수요 혹은 사용 양태 조사입니다.

보통 레드햇 계열(Fedora, Redhat Enterprise, Centos, Oracle Linux 기타 등등)은 yum으로 이미 배포하는 회사/조직에서 빌드한 바이너리를 인스톨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예컨대 yum install -y gcc 라고 하면, 저장소에 있는, 이미 빌드된 gcc를 받아다가 시스템 적절한 위치에 카피하고 설정만 해주는 것으로 압니다. 빌드는 그 배포하는 회사/조직의 빌드 머신에서 이뤄지구요.

이렇게 되면 machine-independent한 최적화는 잘 되어 있긴 해서 성능 차이가 크게 나지는 않지만, machine-dependent한 최적화 (예컨대 -march=corei7-avx)를 넣을 수는 없어서 성능 손해가 있기는 있을 것이구요.

computerbo의 이미지

python opencv(간단한 코드) 에 대해서

안녕하십니까 한창 열심히 공부하던중 모르는것이 생겼습니다.

아무리 헤매봐도 답이 나오질 않네요..

일단 코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코드 실행결과를 보여드려야 하는데 사진이 이상태로 바로 안올라가네요... 첨부로 올려드릴게요

사전처럼 img창을 클릭을 하면 해당 픽셀의 hsv값을 구해서 출력을 하고 어레이 함수를 써서 마스크 이미지를 만든다음 AND시키고 그 값에 해당하는 색만 출력을 하게 만든 코드인데요

아래 코드를 보시는바와 같이 hsv라는 변수가 보이시죠? 저 hsv라는 변수에는 클릭후 픽셀의 hsv값을 불러와 저장시킨 변수입니다 제가 원하는것은 a라는 변수에 hsv변수에 저장된 hsv값을 저장시키고 그 값에 해당하는 마스크이미지를 만들어 출력을 하고 싶습니다.(간단하게 말해서 그림의 파란색을 클릭하면 파란색에 마스크이미지를 씌워 출력을 하고 싶음) 헌데... 이상하게 되질 않네요.... a = hsv 이런식으로 해보았는데 마스크이미지는 전혀 그려지질 않습니다.... 어떤 문제가 있을까요?

why의 이미지

같은 실행파일이 같은 os 다른 하드웨어 위에서 실행될수 있는 이유가 뭔가요?

c/c++ 빌드 과정을 공부하다가 의문이 들어서 질문합니다.

c/c++ 빌드 과정이 컴파일을 통해서 네이티브 코드(기계어)로 이루어진
목적 파일들로 만들어지고 이 목적파일 들이 링킹되어서
현재 탑재된 운영체제의 형식에 맞는 실행파일이 만들어 지는 것
이라고 이해하고있습니다.

즉 실행파일은 cpu가 알아들을 수 있는 네이티브코드이며
현재의 운영체제가 자신의 형식에 맞게 추가의 네이티브 코드들을 삽입한
형태라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 그래서 같은 실행파일이 다른 os에서는 작동되지 않는 것도 이해하고 있습니다 )

그리고 네이티브 코드는 cpu 계열에 따라 달라 질수있다는 것으로
알고 있고 목적 파일을 만들때도 cpu 계열에 맞게 컴파일이 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래서 궁금한 것이 어떻게 특정 cpu 위에서 빌드되어 만들어진 실행파일이
같은 os 다른 cpu에서 작동될수 있는가 입니다.

lalupo20의 이미지

jsoup 라이브러리 관련 질문입니다.

웹을 전혀 몰라서 그런데

select() 함수로 태그명 주고 긁어오려고 했을때

안 읽히면 파싱 못하도록 막아놓은건가요?

seojh1431의 이미지

서버 작업 이력을 파일로 남기고 싶습니다.

#vi .profile

alias sc='script /Log/script_log/abc_'date+%Y%m%d_%H%M%S'.log'

:wq!

#./.profile

#sc

를 입력하면 어떤 명령어를 입력했는지 실행이 돼야 하는데 sc는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라고 뜹니다..

어떻게 수정을 해야할까요?????

seojh1431의 이미지

ssh 접속 한 사용자가 어떤 명령어를 입력했는지 파일로 떨어지게 하려면?

특정 시간에 특정ip로 특정 유저id 가 ssh로 접속하여 어떤 명령어를 입력하였는지

한번 접속할 떄마다 하나의 파일을 생성하여 그 파일 안에 어떤 명령어 입력했는지 남기도록 하고 싶습니다.

어떻게 설정을 해줘야 할까요?

도와주세요

parallels96의 이미지

iotivity 라는 iot 플랫폼 사용해 보신 분이 계신지요,,,

학과 졸업작품으로 iotivity 라는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iotivity cloud 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auth code 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는것 같습니다...

해당 링크를 따라서 진행중이었습니다.
https://wiki.iotivity.org/iotivity_cloud_-_programming_guide

먼저 maven 을 통해 4개의 서버를 설치 후 실행하고 scons을 통해 빌드하는 방식이었습니다.

그리고 scons 를 통해 빌드된 샘플 파일을 돌려보려고 했는데, Oauth2를 통해 auth code를 받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는것 같습니다.

이게 해당 링크에서 설명된 실행 방법입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