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petor에서 이미 동일한 주소를 바인딩하는게 가능한가요??
글쓴이: 쿠마테츠 / 작성시간: 수, 2019/02/13 - 7:43오후
안녕하세요.
서버 쪽 공부하고 있는 신입입니다 ㅜ
boost::system::error_code ec;
a.open(tcp::v4(), ec);
a.set_option(tcp::acceptor::reuse_address(true), ec);
a.bind({ tcp::v4(), port }, ec);
if (ec != 0)
return false;
위와 같은 코드로 테스트를 해보고 있는데
해당 코드를 두번 실행했을 경우에는 두번째 프로세서에서 bind 시 에러가 발생해야 하지 않나요??
SO_REUSEADDR 옵션을 사용하긴 했지만 해당 옵션이라 해도 윈도우에서 보안상 막아놨다고 들었는데
제가 잘 못 알고 있나요??
File attachments:
첨부 | 파일 크기 |
---|---|
![]() | 1.9 KB |
Forums:
https://docs.microsoft.com/en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desktop/winsock/using-so-reuseaddr-and-so-exclusiveaddruse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4388706/socket-options-so-reuseaddr-and-so-reuseport-how-do-they-differ-do-they-mean-t
부스트의 구현이 어떻게 되어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운영체제의 동작에 대해서는 이걸 한 번 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네요.
요약하면 윈도우에서는 SO_REUSEADDR이 여러 프로세스가 같은 주소에 바인딩할 수 있게 허용하는 옵션입니다.
막힌 것은 첫번째 프로세스가 SO_REUSEADDR 옵션을 사용 안하고, 두번째 프로세스만 사용했을 때에도 무조건 같은 주소에 바인딩 가능했던 것을, 두 프로세스가 같은 사용자일 경우에 한해서만 가능하도록 바뀌었습니다.
같은 주소에 바인딩하는 것을 완전히 막으려면 SO_EXCLUSIVEADDRUSE 옵션을 사용해야 합니다.
같은 옵션이라도 운영체제에 따라 조금씩 의미가 다릅니다. 예를 들어 리눅스의 경우, 대략 리눅스의 SO_REUSEADDR + SO_REUSEPORT == 윈도우의 SO_REUSEADDR 입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러면 한 장치에서 여러대의 서버를 띄울때
만약 같은 포트와 주소를 사용중인지 체크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SO_REUSEADDR를 사용하지 않으면 바로 재시작 시 address already in use라는 에러가 발생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러면 한 장치에서 여러대의 서버를 띄울때
만약 같은 포트와 주소를 사용중인지 체크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SO_REUSEADDR를 사용하지 않으면 바로 재시작 시 address already in use라는 에러가 발생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말씀하시는대로 SO_REUSEADDR을 사용하지
말씀하시는대로 SO_REUSEADDR을 사용하지 않으면, 바인드시에 address already in use 에러가 발생하니 그걸로 확인하는 방법이 있겠죠.
netstat 명령을 사용하면 어떤 포트가 사용중인지 확인 할 수 있고요.
netstat 비슷한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게 목적이시라면, 윈도우에서는 어떤 api가 있는지 저는 잘 모르겠네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