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hypnosis의 이미지

mmap() 과 memcpy()의 대한 질문드립니다.

mmap() 으로 파일을 메모리매핑 시켜 매핑된 메모리를 변수에 memcpy() 시키는 함수를 만들었습니다.

헌데, 물리적인 서버(pc) 리눅스(redhat 계열)에서 실행 하면 /sys/devices/pci0000:xx 하위 파일 중에
resource0 ~ 4 들이 매핑후 copy 하게 되면 kernel panic 과 같은 현상이 나타납니다. (검은 화면으로 변하거나 REBOOT)

resource 명을 가진 파일들은 물리적인 서버에서 확인해보면 입출력에러(errno 5) 나오는 파일들입니다.

mmap 으로 해당 파일들을 매핑시, map_failed 가 떨어지지 않고, 넘어가는것도 이해가 안됩니다.
읽어들일수 없는 파일이면 매핑도 안되야되는게 정상일 것 같은데..

yohda의 이미지

NAND 일반적인 파티션 구조

임베디드에서 NAND에는 왜 반드시 부트 로더, 운영체제 커널, 파일 시스템 이 3가지는 포함되는 건가요??

저 3개의 프로그램들이 서로 어떤 상관 관계 때문에 반드시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yohda의 이미지

NAND의 주소 체계와 레지스터 크기

제가 NAND를 공부하면서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왜 NAND는 바이트 단위 혹은 워드 단위의 데이터 버스를 지원하지 않는걸까요??

RAM or ROM처럼 다이렉트로 XIP(Excute In Place)로 실행되면 안되는 건가요??

그리고 또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NAND가 페이지 단위의 읽기/쓰기를 지원하고 CPU는 레지스터에 저장된 32비트 혹은 64비트 명령어 or 데이터를 처리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결국 데이터 과정은 반드시 레지스터로 데이터가 와야 되는거 같은데, 레지스터를 낸드의 페이지 단위로 크게 해서 낸드에서 받은 데이터를 레지스터로 한번에 옮겨서 처리할 수는 없을까요?

즉, 레지스터의 크기를 낸드의 페이지 단위만큼 크게 할 수는 없을까요??!! 이게 제 두번째 질문입니다!

레지스터는 비싸기 때문에 용량을 늘릴기 힘들다는 답변을 제외한 다른 답변을 듣고 싶습니다!!

dao_3651의 이미지

malloc/free 도중 deadlock 걸리는 현상 (Centos 6.5 / glibc 2.12)

malloc/free 도중 deadlock이 걸리는 현상이 발생 합니다.

반기에 한번 정도..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gcore로 덤프를 내려서 보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seopy의 이미지

파이썬 배열 관련 질문

다음과 같이 2x3 형태의 배열이 있습니다.

[0][0] [0][1] [0][2]
[1][0] [1][1] [1][2]

0 0 0 부터 1 1 1 까지 총 2^6 (=64개) 의 경우를 출력한 후,
0 0 0 1 1 1

[0][0], [0][1], [0][2] 와 [1][0], [1][1], [1][2] 위치에 0,1,0 이거나 1,0,1 인 경우를
제외하고 보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경우를 빼고 싶다는 것입니다.
0 1 0 ---- 1 0 1 ---- 0 1 1 ---- 1 1 0 ............
1 1 1 ---- 0 0 0 ---- 0 1 0 ---- 1 0 1

**띄어쓰기 대신에 '-' 표시로 대체했습니다.

전체 경우의 수를 출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코딩은 해보았습니다.

akayong의 이미지

(C++) win10 타이틀 바 글자 색상 변경 방법 , 리본, MFC

C++(Visual Studio) 을 이용해서 개발 된 프로그램이구요
리본 UI를 쓰고 있습니다.

프로그램 전체 타이틀바에 파일을 오픈 한 경로가 나오는데요

이해를 돕기 위해 스크린샷에 중요한 부분은 모두 삭제하거나 모자이크 처리 하였습니다.

첨부 (작은화면.png)를 보시면
모자이크 처리 된 부분(타이틀바에 텍스트) 의 글자 색이 검정색인데

이걸 전체화면으로 표시 하면
해당 타이틀바의 글자가 흰색으로 변경 되면서
보이지가 않고 있습니다.
(첨부 : 전체화면.png)

혹시 해당 현상과 유사한 현상을 겪으신 분 있으실까요?
아니면, mfc 혹은 리본으로 타이틀바 색상을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을 아시는 분도
답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주 기초적인 내용도 좋으니 생각 되는 내용이 있으면
주저말고 작성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참고로,

seungdam의 이미지

api 에서 ellipse 사용할때 원 회전시키려면 어떻게해야하나요?

중심좌표로 그리는게 아니라서 어떻게 회전시켜야할지 감이안잡히네요

revail의 이미지

리눅스 쉘프로그래밍 입문하는데 처음에 인수로 받는 변수는 값 변경이 안되는건가요?

abc.sh 인수1 인수2

이렇게 시작을했을때

$1
$2 에 각각 저장이 된다고 알고있는데요

여기에 처음에 저장된 값을 바꿀수는 없는건가요?

$1 = 인수3 이런식으로요

revail의 이미지

리눅스 쉘프로그래밍 입문하는데 처음에 인수로 받는 변수는 값 변경이 안되는건가요?

abc.sh 인수1 인수2

이렇게 시작을했을때

$1
$2 에 각각 저장이 된다고 알고있는데요

여기에 처음에 저장된 값을 바꿀수는 없는건가요?

$1 = 인수3 이런식으로요

dlffjddlek00의 이미지

C에서 static variable과 static function의 차이를 알고싶습니다.

명확하게 질문하자면, static variable의 경우 해당 variable의 pointer를 써도 다른 file에서는 access할 수 없지만
static function의 경우 function pointer를 통해 다른 file에서도 접근할 수 있다고 배웠습니다.
도대체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variable과 function이 memory 상에서 어떻게 다르게 저장되기 때문에 이런 일이 발생하는지 궁금합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