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Naver의 이미지

Cout이 모호합니다(비주얼스튜디오)(급함)

0과 1000사이의 사이의 정수를(ex)567) 입력하고, 각 자리의 수를 더하는 과제입니다.

#include "pch.h"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0단계: <문제 #2> 띄우기
cout << "<문제 #2> " << endl;

//1단계: 정수 선언하기
int A = 567;
cout << "0과 1000사이의 정수를 입력하세요:" << A << endl;
cin >> A;

//2단계: 정수끼리 더하기
int 각 자리수의 합 = (567 % 10) + (56 % 10) + (56 / 10);
cout << (567 % 10) + (56 % 10) + (56 / 10) << endl;

parksy0109의 이미지

scanf랑 scanf_s 사용시 문제점때문에 질문드립니다.

c언어를 배우고있는 학생입니다.
오류가 발생한건 스크린샷을 첨부해놨습니당!
SDL검사를 아에꺼버리고 scanf를 사용하면 제대로 작동하는데
SDL검사를 킨상태에서 scanf_s를 사용하면 저렇게 오류 메세지가떠서
어떤것이 문제인지 궁금해서 질문남겨봅니당.

vioks의 이미지

전지전능하신 지식인님들 살려주십시요

회사 테스트서버에서 root 계정에서
webotb프로그램을 깔다가
strings: '/lib/libc.so.6': No such fileroot
이와같이 나와 해결을 하려고 했지만 여러가지 건들다보니
root 계정 홈에 libc.so6 파일이 있길래 위에 같은 오류가인가 싶어서 /lib64 폴더에 넣었습니다.

하지만 그후부터
su: error while loading shared libraries: libc.so.6: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cd 를 제외한 대부분의 명령어가 먹지를 않습니다. 심지어 putty로 접속도 할 수가 없습니다. 제가 마지막으로 켜둔 터미널만 남아있습니다.

정보를 찾다

https://kldp.org/node/99655 여기에 글쓰신분과 비슷한 상황인거같습니다.

도대체 어떻게 해야될지를 모르겠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윈도우즈 설치 후 bios 설정 변경 그리고 리눅스 설치후 윈도우즈 부팅 문제

우선 최근에 구매한 델 랩탑에 윈도우즈 10을 클린설치하였습니다.

그리고 나서 데비안을 설치하기 위해 부팅 usb를 만들고 설치를 시작했는데, 파티션을 나누는 부분에서 제 하드가 안보이더군요.

그래서 검색해보니 bios에서 SATA option을 변경 (RAID 에서 HT뭐시기)로 변경해야 한다는 글이 있더군요.

사실 그게 무슨 의미인지 모르고 그리 했는데, 리눅스 설치후 윈도우로 부팅을 해보니 블루스크린...... 부팅이 안되네요.

리눅스로는 잘 됩니다.

이 상황에서 윈도우즈 재설치가 답인가요?

그리고 또하나, 윈도우즈에서 확인한 무선랜은 Intel(R) wireless-AC 9560입니다.

검색을 해보니

Device Kernels Firmware
Intel® Wireless-AC 9560 4.14+ iwlwifi-9000-pu-b0-jf-b0-34.618819.0.tgz

이라고 나오는데, 리눅스 설치를 완료한 후 에 따로 펌웨어를 설치해야 하는 건가요?

sangjun11316의 이미지

Python3 에서 나타나는 'TypeError: must be str, not bytes' 에러

안녕하세요, python에 대해 아주 기초만 알고 있는 학생입니다.

최근에 한 코드를 받았는데 코드돌리는 과정에서 생긴 문제점이 있는데 원인을 알고싶어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

최대한 설명드리기 위해 첨부파일에 '질문1~3' 파일에 해당 스크린샷을 넣어두었습니다.

코드 자체는 c언어로 짜여 있으며, 그 위에 setup.py 파이썬 파일을 실행하며 깔끔한 linux 기반 UI를 구성하며 input 파일들을 아주 멋지게 자동적으로 생성하게 되어있는데요,

예를들어 '질문 1' 스크린샷과 같이 'User-defined Parameters' 의 개수를 지정해주면 (스크린샷에서는 3으로 지정하여 세팅할 변수 3개가 화면에 띄워진 상태입니다) default 값으로 지정되어있는 'USER_PAR_01~03'을 원하는 값으로 바꿔서 input파일의 세팅을 지정해줄 수 있습니다. (스크린샷은 그 중 첫 번째 'USER_PAR_01'을 'P_IN'으로 변경한 상태입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C언어 프롬프트 사용 질문드립니다.

Visual Studio 2017 사용하고 있습니다.

프롬포트에서 exe파일을 실행해 메모장 내용을 읽는 프로그램 이구요,

프롬포트에서 해당 exe파일 경로 지정 후 text.txt파일을 폴더에 직접 생성한 뒤

프로그램.exe text.txt 실행하면 메모장을 읽어야 하는데 읽지를 못하네요...

아시는분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yohda의 이미지

확장자 mbn

임베디드에서 종사하는 newbie입니다.

낸드 부팅 파티션 관련 업무를 맡고 있는데, 확장자 .mbn인 파일이 감이 잘 안잡히네요 ㅠ.ㅠ

partition.mbn, mibib.mbn, sbl.mbn 등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s_eul의 이미지

대량 데이터 파일 파일 open

파일 자체의 파일을 크지 않으나
많은 파일들을 사용해야합니다.
예를들어
for i in range(1000):
a=open(input_file1)
for r in range(1000):
b=open(input_fil2)

이런식으로 돌아가다 보니 계속 파일들을 열고 닫기를 반복해야해서 굉장히 메모리를 많이 먹는데요..ㅜㅜ 혹시 좀 더메모리에 덜 부담가는 방법이 있을까요?

rajakym의 이미지

Linux kernel stack size 가 8Mb 인가요 8Kb 인가요?


안녕하세요

Linux kernel stack size 를 보고 있는데
이곳 저곳 다른 말을 하고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일반적인 kernel stack size 는 8MB 다 8KB 이다 갈리던데
어떤게 맞는 건가요?

프로세스별 stack size 가 8KB 이고 kernel total stack size 가 8Mb 인건가요?
(그럼 프로세스 스택이 가득찼다고 가정시 1000개의 프로세스만 구동 가능한가요?)

아니면 User stack size 가 8Mb 이고 kernel stack size 는 8Kb 인지....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