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Yi Soo An@Google의 이미지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이름 변경 및 라이선스 질문입니다.

이 곳에 작성하는게 맞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개발과 관련있는 것 같아 작성합니다.

현재 GNOME의 GFBGraph 라이브러리를 fork해서 따로 개발중인 상황입니다. (상업용 X)
namespace 및 라이브러리 이름이 같으니 링킹시에 충돌이 발생하는데 이를 해결하려는 방법 중 하나로 라이브러리 이름 변경을 고려중입니다. GFBGraph는 Photos에서 사용중이고 GNOME 기반 데스크탑 운영체제 기본 설치 라이브러리중 하나인 것 같습니다.

소스 공개 여부는 알고 있는데 라이브러리 이름 변경시 원 저작자와 문제가 생길 여지가 있나요? 개인 프로젝트보단 후에 배포용 및 개발용도로 사용할 생각이 있습니다. 다른 곳에서 "가능하지만 선호하지는 않는다"는 답변을 받았는데 좀 더 의견을 듣고 싶어 작성합니다.

감사합니다.

Seunguk Lee@Facebook의 이미지

안녕하세요. 포인터를 쓰다가 어려운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include

void LTC2445_SPI_16bit_command_32bit_data(uint8_t adc_command_high, uint8_t adc_command_low, long* adc_code);

int main()
{
long aa;
char code_high = 1;
char code_low = 1;
uint8_t i;
uint8_t arr_len;

LTC2445_SPI_16bit_command_32bit_data(code_high, code_low, &aa);

printf("%x \n", aa);


}

myiun20의 이미지

jsch 쉘 명령

jsch를 이용하여 자바에서 리눅스로 명령어를 전달하는 작업을 하고있습니다.

touch같은 기본적인 리눅스 명령어를 보내는것은 가능하지만, 쉘을 실행하는 명령어가 듣질 않습니다 ..

리눅스에서는 쉘을 실행하면 제대로 동작하는데 jsch를 통해 쉘실행 명령을 내리면 듣질않습니다..

어떻게 해야하는 건가요?? 환경변수를 추가하라고 하는데 추가하는 방법은 알지만 어떤식으로 해야할지,,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ㅠ

dudtkd4567의 이미지

힙 메모리 max 할당

힙 메모리 할당가능한 총 용량을 측정해보기 위해 무한루프로 힙을 할당했습니다.

근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qw3709의 이미지

리눅스 실행이안됩니다..

vmware로 칼리리눅스를쓰는중인데 apt -y full-upgrade 명령어를치고 기다리는데 좀 오래걸리길래 한 2시간나두고 보니깐 마우스움직이는거 빼고는 아무것도되지않아 그냥 껏다켯는데 지금 로그인창으로 안넘어거가고 계속 검은화면만 나오는데 어떡하죠..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우분투 웹서버 dns 서버 설치 질문

우분투에 웹서버와 dns서버를 설치하고 기본동작을 와이어샤크로 확인을 해야하는데 개초보라서 리눅스도 1도 몰라서 구글링해서 겨우 vmware에 우분투 깔았습니다. 웹서버 dns서버 설치할줄도 모르고 기본동작이 뭔지도 모르는데 도움 좀 얻을수있을까요 ㅠㅠ

lalupo20의 이미지

[해결][debian]mysql 한글 깨짐 현상

Connection id: 2
Current database: test
Current user: root@localhost
SSL: Not in use
Current pager: stdout
Using outfile: ''
Using delimiter: ;
Server version: 5.7.25 MySQL Community Server (GPL)
Protocol version: 10
Connection: Localhost via UNIX socket
Server characterset: latin1
Db characterset: utf8
Client characterset: utf8
Conn. characterset: utf8
UNIX socket: /var/run/mysqld/mysqld.sock
Uptime: 6 min 49 sec

sootoo23의 이미지

리눅스 ext4 이미지 만들때 문제점.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에서 Root filesystem 제작시
ext4를 사용하며 아래와 같이 Script를 구성하여 사용중입니다.

if=/dev/zero of=${OUTPUT} bs=1k count=${PARTCNT}
     mkfs.ext4 -F -m0 ${OUTPUT}
     mount -t ext4 ${OUTPUT} /mnt -o loop
     tar -C ${TARGET} -cf - . | tar -C /mnt -xf -

문제는....
항상 Rootfs ext4 이미지를 만들때 2GB 이미지로 만들어야
2GB Partition의 Rootfs가 생성됩니다.

실제 Rootfs 의 data size는 800MB밖에 안되는데
이걸 2GB로 만들어서 업데이트 해주려니 너무 오래걸립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