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whkim02의 이미지

fedora 에서 `smbfs`가 unknown filesystem type 이리고 나옵니다.

리눅스(fedora 5)서버에서
윈도우클라이언트의 디렉토리 : //peace/work 를 마운트 하려고
# mount -t smbfs //peace/work /mnt/samba 하고 엔터첬더니
mount : unknown filesystem type `smbfs` 라고 나옵니다.

리눅스 9.x에서는 그대로 잘 됬었는데 fedora core 5에서는
왜 저런 오류가 뜰까요?
고수님들 해결책 좀 부탁합니다.

puaxx의 이미지

웜이나 바이러스 소스는 어디서 구하죠?

순전히 공부차원이구요..악용은 하지 않습니다.

근데 어디서 소스를 구해야 되는지 이거야원...

hohory의 이미지

특정 tcp/udp 포트를 점유하고 있는 프로세스 정보를 알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특정 tcp/udp 포트를 점유하고 있는 프로세스 정보를 알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고수님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mold76의 이미지

동시접속자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수고들 많으십니다. 다름이 아니고 동시접속자가 대략 300 명 정도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공하는 서비스는 평균 약 10M 정도의 플래쉬 입니다. 플래쉬는 사용자측 컴터로 다 다운로드를 받은후에 플레이가 된다고 하더라구요. 이정도 상황이면 요즘 서버사양을 상당히 좋게 하고 네트웤도 좋게 한다면 가능할까요? 여기서 가능이라는 것은

macros의 이미지

'삽입정렬'과 '버블정렬'의 차이

삽입과 버블의 차이가 느낌으로 안오네요... -_-
쉽게 설명 부탁드릴께요..

whkim02의 이미지

sniffit를 사용해 보신분들 조언 부탁드립니다.

리눅스(fedora 5) 서버 eth0 -> IP: 58.142.153.3
eth1 -> IP: 192.168.0.1
윈도우98 클라이언트 -> IP:192.168.0.2

리눅스 서버에서 # ./sniffit -i 엔터처서 그래픽모드로 들어간후
Source IP 에 192.168.0.1을 입력하고 엔터친후
윈도우 클라이언트에서 telnet 192.168.0.1로 서버에 접속하면
푸른화면에 "192.168.0.1 23 -> 192.168.0.2 XXXX" 와 같이

cleol의 이미지

ps, top 에서 메모리 사용량 MB 로 보는 방법...

리눅스를 맨날 데스크탑으로만 쓰다가 잘 알지도 못하는 커맨드 라인으로 서버 작업을 하려니 이거 어렵네요. ps 명령이나 top 명령으로 각 프로세스가 메모리를 얼마나 잡고 있는지 알 수 있잖아요? 그런데 그 값이 %로 나오는것 같습니다. 그냥 수치로 몇 kb, 또는 몇 mb 로 나오게 할 수는 없을까요? 맨페이지를 들여다봐도 잘 모르겠습니다.

guru245의 이미지

클래스와 클래스와 관계를 설정할 때 그 데이터멤버는 private에 가야할까요?

설계를 해서 각 클래스와 클래스간의 관계를 설정짓습니다.

클래스 A와 B가
A ---> B 이러한 관계라면

class A {
.
.
.

B* b;
};

이와 같이 해서 관계를 짓습니다. 여기서 궁금한 점은 저 b를 public으로 넣는게 맞을까요? private에 넣는게 맞을까요? 오픈소스를 뒤져봐도 저런 관계를 설정짓는 데이터멤버는 public에도 private에도 있습니다.

a287848의 이미지

PC 에서 Nand flash memory 에뮬레이터를 사용하려고합니다.

Yaffs 나 jffs2 와 같은 플래시 파일 시스템을 제 pc에서 사용하려고 합니다.

플래시 메모리 대신 Ram 을 이용하는 emulator 가 커널에 있는데

혹시 이것을 사용하는것에 대한 자료를 구할수 있나 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yuni의 이미지

pdf 파일 결합 하기

안녕하십니까?
페이지별로 분할되어 저정된 pdf파일들을 하나로 순서대로 묶어서 pdf파일로 만드는 방법은 없을까요?
문서의 파일이름은 133.pdf 134.pdf ... 155.pdf 이런 순서로 되어 있습니다.
혹시 방법이 없을까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