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dora core 5설치할 때 패키지를 desktop용만 설치한다면 1번에서 몇번까지의 시디가 필요한가요? 설마 다섯장 다 필요하진 않겠죠?
ftp://ftp.kaist.ac.kr/pub/fedora/linux/core/5/i386/iso/ FC-5-i386-disc1.iso FC-5-i386-disc2.iso FC-5-i386-disc3.iso FC-5-i386-disc4.iso FC-5-i386-disc5.iso
증상 : 처음에 리눅스 주문해서 온 5.10 시디로 설치도중 ; 유저셋팅에서 문제 나서 게시판에도 글 남겼음 이후 6.06다운받아서 구워서 파티션 지우고 새로 설치; 설치는 다 됐는데요;;
로그인 화면에서 분명히 ==;; 계정명/ 열쇠글 정확히 썼는데 잘못됐다고 나오네요;;
계정명은 유저셋팅에서 2번째 나오는거 맞죠??
xmms를 설치하려는데..
경고: xmms-1.2.8-3.p.i386.rpm: Header V3 DSA signature: NOKEY, key ID 4f2a6fd2 오류: Failed dependencies: libmikmod.so.2 is needed by xmms-1.2.8-3.p.i386
요런 메세지가 나오거든요..
아. 저 버전이 Core2 버전 xmms예요
혹시 코어 2 rpm을 코어 5에서 인식이 안되나요 -_-;;
xmms사이트에서 받은 최신버전의 rpm은
시그널 핸들러의 실행을 담당하는 쓰레드(프로세스)가 있는 것 같더라고요~ 아래와 같이 프로그램을 짜면
1. 제가 메인 쓰레드와 서브 쓰레드를 만들고 메인 쓰레드에서 시그널을 등록함(Ctrl-C) 2. 시그널 핸들러는 간단히 "hello world\n" 문장을 출력함 3.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Ctrl-C를 누름 4. "hello world"가 두번 출력됨
제가 데비안 테스트 버전을 쓰는데, 최근에 UTF-8로 개종을 했습니다. eucKR로 불편한건 마찬가지니.. ^^ 뭐 두개가 거의 비슷하게 불편한 점이 있지만, 데비안은 다른 패키지에 비해 utf-8로의 전환이 무지 느리더라구요.
아직도 eucKR이 한국어 기본으로 되어 있는듯한 느낌... 마치 페도라 3정도의 패키지에서 eucKR이 기본인데, 약간 선구적인 사용자가 UTF-8로 전환해서 사용하는 그럼 느낌이랄까요.
클럽박스나 아이팝쓸때마다 vmware을 키는게 불편하더라구요.. 혹시 와인같은걸로 아이팝쓰시는분 계시나요?? 메뉴얼같은게 있으면 좋을텐데... ies4linux 을 깔아봤습니다...이걸쓰면 액티브x같은거 될줄알고.. 근데 아이팝클럽 http://club.ipop.co.kr/ganda125 이런사이트는 접속조차 안되더군요....
혹시 성
http://vim.sourceforge.net/scripts/script.php?script_id=213
에서 c.vim하는 스크립트를 다운받아봤습니다.
물론 윈도우용 vim에서는 잘 동작합니다.
하지만 제 Freebsd에서는 \문자가 안먹는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if를 빠르게 입력을 해도 gvim에서는 입력이 잘 되지만 그냥 vim에서는 삽입모드로 되는군요.(Freebsd는 5.2.1, vim은 6.2.383입니다)
anacron을 쓰면 cron.daily cron.weekly cron.monthly 는 빼먹었더라도 다시 챙길 수가 있는데 cron.d 디렉토리의 것들은 한 번 지나가면 땡인 것 같습니다. 어떤 방법을 쓰는 게 cron.d의 것들도 시간이 지났어도 꼭 챙기도록 하는 데에 좋을까요?
부팅디스켓 같은건 리눅스 설치하면 만들어지는데 흠흠
따로 파일을 다운받아서 A디스켓에 넣는 방법을 모르겟네요..
그냥 마운트 시킨다음 mv해서 넣는건지?....
특정 스레드에서 다음과 같이 쓰기 락을 걸어놓은 상태에서..
fl.l_type= F_WRLCK; fl.l_whence = SEEK_SET; fl.l_start = 0; fl.l_len = 0; if ( fcntl(nFD, nMode, &fl) != -1 ) ... 이 하 생 략 ...
임의의 또 다른 쓰레드에서, 위에서 락이 걸린 파일에 대해서 unlink을 할 경우, 실제로 파일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