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swunk의 이미지

리눅스는 스케쥴링 관련

리눅스에서는 쓰레드또한 task_struct 단위로 할당이 되고 스케쥴링 또한 프로세스와 동일하게 처리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즉, 커널 입장에서는 쓰레드와 프로세스를 구분하지 못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pthread 관련 웹페이지를 읽다가 다음과 같은 문장을 보았습니다.

" PTHREAD_SCOPE_SYSTEM과 PTHREAD_SCOPE_PROCESS 의 2가지 영역중에 선택할수 있다. SYSTEM 영역 쓰레드는 user 모드 쓰레드라고 불리우며, PROCESS 쓰레드는 커널모드 쓰레드라고 불리운다. 리눅스의 경우 유저모드 쓰레드인데, 즉 커널에서 쓰레드를 스케쥴링하는 방식이 아닌 쓰레드 라이브러리를 통해서 쓰레드를 스케쥴링 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광불주먹닷컴의 이미지

리눅스box를 이용한 CCTV연결 방법이 있나요?

몇 일전에 집에 도둑이 들었습니다. ㅜㅡ

집에서 리눅스 서버를 한대 운영중인데...
이것을 이용해서 감시용 카메라를 하나 설치해 두려고 합니다.

리눅스 box에서 감시용 카메라를 설정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ps. 집단속 철저히 합시다.
도선생의 흔적은 사람 정말정말 열받게 합니다.

segenny의 이미지

C++ 클래스 문제 ㅠㅠ

안녕하세요.

폼클래스안에 서 다른 쓰레드를 불러 작업을 하고 있는데요

쓰레드 값을 폼쪽으로 가져와야지 프로그래스바를 설정할 수 있는데

이벤트나 다른 예제가 있는걸 아시는분은 좀 알려주세요.. C++을 공부하면서
하는 터라. 너무 못하네요 ^^

감사합니다.

irene의 이미지

xsupplicant 를 사용해서 네스팟 접속했을 때 CPU사용량이 치솟는 문제..

xsupplicant 를 사용해서 네스팟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MD5인증을 사용해서 접속하고 있고, 이곳의 질문과 답변란을 참고해서 접속 설정파일도 만들어쓰고 있습니다. 설정파일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NESPOT
{
identity = "ID"
type = wireless
allow_types = eap_md5
eap-md5 {
username = "ID"
password = "PASSWORD"

jiee의 이미지

grub를 다시 설치하려 하는데...

리눅스와 윈도우 멀티부팅을 하다가 윈도우를 다시 설치하여 MBR의 grub가 지워졌습니다. 그래서 리눅스 첫번째 cd로 부팅하여 grub를 다시 설치 하려 했습니다.

#grub-install /dev/hda 이렇게 실행했는데
Not found or Not block device 이런 에러메시지가 나오더군요.

예전에는 저렇게 해서 쉽게 재설치했는데 무슨 이유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mrhyunby의 이미지

VHDL 언어 코딩과 시뮬레이션에 관한 질문입니다...

현재 전자공학과 2학년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이번에 VHDL 수업을 듣는데;;

현재 학교에서 flowrian (sipac.org)이라는 프로그램으로 코딩하고
넷버전이라 그걸로 시뮬레이션까지 하고 있어요;;
물론 학교에서 단체로 인증 받아서 사용하고있는데ㅣ;;

솔직히 너무 불편합니다...
수업이 9시인데 ;; 어쩔땐 시뮬레이션이 안되는 날도 있고요;; 접속안되는 날도 있고요.. ETC

등짝을보자의 이미지

여러가지파일에 번호을 매길라면 어떻게하나요?

1.jpg 2.jpg 3.jpg 4.jpg 5.jpg

이 파일 있다고 치면..

001.jpg 002.jpg 003.jpg 004.jpg 005.jpg

이렇게 파일의 이름을 한꺼번에 지정해서 자동으로 변환시켜줄수있는지요?
터미널에서 어떻게 쳐야 하는가요??

망치의 이미지

mysql 때문에 웹서버가 느려지는듯 한데 원인을 못찾겠습니다.

서버가 확 느려지는데 ps 로 확인해보면 시퓨 자원은 남아돌고 있습니다. ping 확인결과 패킷 로스도 없구요. 헌데 mysql 데몬을 재시작하면 다시 정상적으로 돌아오더군요.

웹서버 반응이 느려질때 netstat 으로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은 상태가 돼있습니다.

Active UNIX domain sockets (servers and established)
Proto RefCnt Flags Type State I-Node Path

dalant019의 이미지

pthread_mutex_t는 지금까지는 spin_lock이 아닌 blocking으로 구현되어 있는 게 맞나요?

Examples of possible additional mutex attributes that have been discussed are spin_only, limited_spin, no_spin, recursive, and metered. (To explain what the latter attributes might mean: recursive mutexes would allow for multiple re-locking by the current owner; metered mutexes would transparently keep records of queue length, wait time, and so on.) Since there is not yet wide agreement on the usefulness of these resulting from shared implementation and usage experience, they are not yet specified in this volume of IEEE Std 1003.1-2001. Mutex attributes objects, however, make it possible to test out these concepts for possible standardization at a later time.

parrier의 이미지

ethereal 패킷 덤프 후 . 내용 보기

ethereal 로 덤프 후에 내용물을 보려고 하면,

영어로 된 내용들은 잘 보이는데요. 한글로 보이는 것은 모조리 깨져 보이네요

암호화 되어 있어서 그런 것일까요? 아니면 따른 설정을 해 주어야 하는

것인가요?

자세한 답변 좀 부탁드려요 ;;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