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wisdomtuya의 이미지

windows 에서 kldp 접속 안되는 문제

아구 아구~

저희 집 컴퓨터에서 http://www.kldp.org 에 접속을 할수 없습니다.
이유가 뭘까요?

신비로 샤크에서 dhcp로 dns와 ip를 얻어오는데 전화해보니 문제 없답니다.
수동으로 dns 주소를 잡아 줬는데 그래도 안됩니다.

3주 전까지는 됬는데... 제가 컴퓨터로 뭔가를 했나봅니다.
왜 안될까요? 프록시 설정도 잘 되어 있고... 뭔가 있나본데 답답합니다.

penance의 이미지

dapper에서 hlatex

hlatex 다 좋은데 xdvi에서 한글 폰트가 깨져 보입니다.

sudous@pionnier:/media/hda5/fieldwork$ xdvi ethnography.dvi
perl: warning: Setting locale failed.
perl: warning: Please check that your locale settings:
LANGUAGE = "ko_KR:ko:en_GB:en",
LC_ALL = (unset),
LANG = "ko_KR.UTF-8"
are supported and installed on your system.
perl: warning: Falling back to the standard locale ("C").

trip2me의 이미지

vncviewer 에서 붙여넣기 복사가 잘 되나요?

아래 글타래 중에 http://kldp.org/node/43878
의 vncviewer_ko.zip (155.44 KB) http://kldp.org/files/vncviewer_ko_119.zip 를 사용 중입니다.
그런데 이건 붙여넣기가 잘 안되는 것 같은데 잘 되는가요?

제가 원하는 기능은 한영키가 Shift-space로 되고 Alt-tab이 리눅스머쉰 에서 프로그램 전환이 되고 하는것인데... 이게 제일 원하는 사항을 잘 지원합니다.

trip2me의 이미지

새로 업그레이드 된 samba 3.0.23 에서 윈도우 Active Directory에 소속된 컴이 리눅스 공유드라이브에 연결을 못합니다.

윈도우 2003 서버 Active Directory 도메인에 소속된 컴퓨터에서
삼바서버를 운영하는 fedora core 4 리눅스 머신의
공유 드라이브에 연결해 쓰고 있었는데
이번 samba 업데이트 이후 연결이 안됩니다.

public으로 guest가 접근 가능한 삼바 공유는 접근이 되나
user별 연결을 위한 [homes]는 기존 암호와 아이디를 치면

송효진의 이미지

질문]ucspi-tcp resolv.conf domain (없는 도메인 ping 할때)

resolv.conf 에 domain 항목이 있으면,
ping 등 도메인에서 ip 를 쿼리할 때,
ping oaisjdoifajd 하면,
oaisjdoifajd.내도메인 으로 자동으로 뒤에 붙어버립니다.
그래서 domain 항목을 삭제하니,
tcpserver (ucspi-tcp) 가 동작하지 않습니다.
tcpserver 에 domain 을 참조 안하게 하는 방법이 있으면 알려주십시오.
감사합니다.

오호라의 이미지

[버그리포팅] OpenCV Beta 5 WIn32 version.

[error message]

...

:\Program Files\OpenCV\cvaux\src\cvbgfg_acmmm2003.cpp(405) : error C2039: 'foreground_regions' : is not a member of 'CvFGDStatModel'
../include\cvaux.h(1240) : see declaration of 'CvFGDStatModel'
C:\Program Files\OpenCV\cvaux\src\cvbgfg_acmmm2003.cpp(411) : error C2039: 'foreground_regions' : is not a member of 'CvFGDStatModel'
../include\cvaux.h(1240) : see declaration of 'CvFGDStatModel'

lacovnk의 이미지

아파치,AddDefaultCharset 옵션의 디폴트 값이 배포판 별로 어떻습니까? 왜 Off가 아닐까요?

AddDefaultCharset       Off

ubuntu의 경우 아예 주석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다른 배포판은 어떤지 궁금하군요.

meta에 euc-kr이라고 박아놨는데 브라우저에서 계속 잘못 잡는 현상으로 고생을 했는데, Off로 해주니 해결됩니다.

apache의 charset 정보가 meta보다 먼저 인식이 되는 경우도 있어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g00g1ej04의 이미지

우분투 6.06을 새 하드로 옮기고 싶은데요

우분투 6.06을 13기가 하드에다 깔아서 쓰다가 용량이 모잘라서 30기가 하드로 옮길려고 하는데요.

그동안 설정해 놓은 것과 깔고 쓴게 아까워서 그냥 복사만 해다가 옮기고 싶습니다.

방법을 알려주시는 분께 미리 감사...

그리고 리눅스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에 좀 자세하고 쉽게 알려주시면 더

bon1305의 이미지

페도라 코어 5에서 시스템 기본 폰트 변경에 관해서

페도라 코어 5를 사용중입니다.
윈도우용 굴림체를 가져다가 /usr/share/fonts/에 복사해서
fc-cache를 해서 gnome환경에서 굴림체가 잘 나오고 있습니다.

근데 유독 파이어폭스(인터넷창이 아니라 메뉴나 설정화면 등등 내부 폰트)와 썬더버드 등에서는
여전히 백묵 굴림 글꼴이 사용되고 있네요
뿐만 아니라 부팅될때 나오는 화면에서도 백묵글꼴이 나오는데 이거를 윈도우용 글꼴로 변경하려면

pamisu1의 이미지

리눅스에서 휠마우스로 자동 복사되는 기능 좀 어떻게 끄는지 알려 주세요.

이게 리눅스상에서 알고 보면 상당히 편리한 기능인데, 전 웹서핑하다 보면 이게 정말 사람 귀찮게 구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무슨 얘기냐 하면, 어떤 파일이나 플레이리스트의 주소, 또는 웹주소를 복사해서 자기 프로그램 주소창에 붙여 넣거나 아니면 게시판의 이미지주소 칸에 붙여 넣었을 때, 또는 검색창에 몇몇 단어나 문장을 붙여 넣어서 검색을 하고 나서 다른 웹페이지를 다니다가 마우스휠로 스크롤을 하느라 위아래로 굴리다 보면,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