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챙의 이미지

제발 도와주세요ㅜㅜ replit에서 결과가 이상하게 떠요..

전체적인 함수를 만들었는데...
메인과 함수1만 잘라서 업로드합니다.. fscanf가 읽히지 않아서

aa 10 20 30 40
bb 23 24 45 65

이라는 내용이 쓰인 input2.txt가 있다고 치면

exe창에서 1 입력하고, input2.txt입력해도 fscanf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p[0].name에 모든 내용물이 들어가버리게 됩ㄴ다... 뭐가 문제일까요ㅜㅜ

yhh68033의 이미지

c언어 스택에서 질문있습니다!

문제 설명부터하자면 push를 입력하면 데이터 입력
pop입력하면 데이터 할당 해제 및 출력
등등인데
여기서 문제는 마지막exit를 치면 세그멘테이션 오류라고 뜨고 끝나요..
다른 코드에는 문제가 없는데 어떤게 문제인걸까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책 추천 좀 해주세요....

large scale c++ 프로그래밍에 관심이 있습니다.

GameEngine Godot 이라던지, Chromium 이라던지,3D Engine Blender 라던지.

이런 큰 규모의 오픈소스 프로그램을 분석하려고 할 때 어려움이 많습니다.

특히 이런 큰 프로젝트는 도대체 디버깅을 어떻게 하는 것인지조차 감이 안옵니다.
함수가 어디서부터 시작하는지, 분명 있을텐데 찾지를 못하겠습니다..ㅎㅎ

개발 문서를 통해 여러 프로세스들과 쓰레드들이 얽혀있다는 것은 알겠는데, 한번도 이런 프로그래밍을 해보지 않아서 감이 안온달까...

large scale c++ 프로그램의 분석 방법과 개발 방법을 다룬 책이 있는지, 혹은 분석을 잘 하려면 어떤 책을 봐야하는지 궁금합니다!!

programmingman의 이미지

제가 만든 웹 사이트 소스 코드 공유합니다. 많이 사용해주세요~

ASP.NET 5 MVC 로 만든 웹 사이트 소스 코드예요 많이 사용해주세요~

https://github.com/IkhyeonJo/IntranetWebSite-ASPNET5MVC

그리고 또한 구직 중에 있습니다.

혹시 흥미가 생기신다면

joeun3518@gmail.com 으로 연락주세요.

vagabond20의 이미지

엉겹결에 풀스택디벨로퍼

예전에 가입한 몇군데 개발자 일자리 구하는 사이트 (indeed.com, glassdoor.com 등) 혹은 링크드인에서 프로파일을 보고 이메일로 연락해 오는것을 보면 개발자 요구 경력 사항에 full stack developer 라는 걸 자주 보게 됩니다.

도대체 뭘 얼마나 해 보면 풀스택디벨로퍼가 되는건지 궁금했었는데, 30 년 넘게 C 언어로 밥벌어 먹고 살던 놈이 갑자기 진로를 바꿔 이 부서에서 일하다보니, 적응속도가 젊은사람들 처럼 빠를리 없고, 헤메고 있으니까 매니저가 면담을 통해 충분한 시간을 주었는데도 못 따라오면 문제라고 경고를 하면서, 이 부서가 풀스택으로다가 일하는데고 각 개발자들에게는 아주 훌륭한 경력을 쌓게 하는데니까 더 열심히 해야겠다고 합디다. 뭐, 자기는 이부서 와서 아무것도 없는데서 전부 새로 배우면서 넉달만에 첫 프로덕트 개발을 끝내서 '납품' 했다고. (라떼는 저 역시 방~방~ 뜬 얘기 해 봐야 나이 '쳐'든거밖에 변명이 안되니 생략...)

YT구눈@Google의 이미지

제 고민 좀 들어주세요

이번주 일요일날 워드프로세서 실기 시험인데 연습하기 너무 기찮은거 잇죠 어떡하죠

읏짜의 이미지

원형 큐 구현

원형 큐 구현할 때 front, rear 변수를 보통 int타입으로 선언해서 인덱스 접근을 하는데 front, rear를 포인터 변수로 선언해서 사용할 수 있나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유저 레벨 프로세스와 커널 레벨 프로세스 차이

안녕하십니까! KLDP에서 항상 많이 배우고 있는 학생 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보고 있는 책에서 궁금한 점이 생겼는데 검색을 해봐도 찾지 못하겠어서 질문 드리게 됬습니다.

"커널 프로세스는 커널 모드에서 생성된 프로세스, 유저 프로세스는 유저 모드에서 생성된 프로세스"

일단 책에서 정의하는 커널, 유저 프로세스는 위와 같습니다.

여기서 추가로 "유저 프로세스는 init 프로세스를 통해, 커널 프로세스는 kthreadd 프로세스를 통해 생성된다" 고 적혀 있는데

여기서 제가 궁금한 것은 커널 모드에서, init을 통해 생성된 프로세스는 뭐냐입니다.

예를 시스템 콜을 통해 제가 미리 작성해둔 드라이버로 연결 되도록 한 뒤

그 드라이버 내에서 kthread_create가 아니라 do_fork를 직접 사용해서 분기를 하게 된다면

이 때 분기된 프로세스 or 스레드는 유저 레벨 이라고 해야 할까요 커널 레벨이라고 해야 할까요?

+) 만약 저렇게 분기된 스레드가 있고 그걸 커널 스레드라고 한다면.

kmjlso의 이미지

우분투 gui 모드가 계속 되지 않습니다 ..

우분투 리눅스 노트북 사용하던 중 제가 파이썬을 업데이트 하고 싶어서 이것저것 검색해서 여러가지를 계속 해보고
재부팅 했더니 바탕화면이 뜨지 않고 바로 텍스트 모드만 뜨더라구요..
gui 모드로 바꿀 수 있다는 온갖 방법을 해도 안뜨길래 그냥 공장 초기화를 하고 처음부터 다시 사용하려고 했습니다!
그래서 공장 초기화 과정을 밟고 재부팅 한 후 startx를 해보았는데
-bash: startx: command not found 라고 뜨면서 넘어가지를 않습니다 ㅠㅠ
도대체 어떻게 해야 초기의 노트북 그대로 돌아갈 수 있을까요 .. 제가 우분투?를 아예 처음 써보는거라
아직도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쓰고 하는게 익숙치 않네요 몇시간째 씨름해도 고쳐지질 않아서 조심스럽게 질문 드려봅니다
이런 질문해도 되는지 모르겠는데 안된다면 죄송합니다 :(

morphism의 이미지

python networkx 한글 그리는 문제

안녕하십니까?
Python에 networkx 패키지가 있는데요
draw_networkx에서 한글을 그리지 못합니다

CentOS 환경입니다

matplotlib 설정을 고쳐줘도 안됩니다

혹시 CentOS에서 draw_networkx가 한글을 그리지 못하는지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