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akayong의 이미지

hdd password 삭제 하는 방법?

ssd를 하나 새로 구입 해서
장착을 하고, cmos 암호를 설정한다는걸
실수로 HDD 암호를 세팅 해 버렸습니다.

근데 그 암호가 입력되면서 오타가 있던것인지

아무리 입력해도.. Invalid Password란 말만 나오네요..

혹시 hdd 암호 삭제 하는 방법 아시는 분 있나요?

새로 구입해서 아직 아무것도 들어 있지 않은
ssd 하나 날려 먹게 생겼네요 -_-;;

혹시 HDD password 삭제하는 방법 아시는 분은
공유 부탁 드립니다 ㅠㅠ

rlj1202의 이미지

c 언어에서 구조체 포인터 변수의 맴버 접근에 대해서...

일반적인 포인터 변수같으면 Test라는 구조체가 있을때 Test * test; 라는 변수가 있다고 하면 맴버를 접근할 때 test->맴버 로 접근하고, 이는 곧 (*test).맴버 와 같잖아요?
그런데 제가 jni 에서 JavaVM* vm 이라는 포인터에서 함수를 접근할때

(**vm).함수명;

으로 접근해야 실행할 수 있더군요.
분명 vm은 이중으로 포인터를 사용하고 있는것 같지 않은데...

그래서 생각해 보건데, 다음과 같은 일이 가능한가요?

int a = 123;
int *b = &a;

int c = b;

printf("%d", *c);

이런식으로 일반 변수에 주소값을 담고 그 변수에 주소값 참조명령을 사용할 수 있는건가요?

자바를 하다가 c언어를 하니 포인터가 제일 어렵네요.

kbs1439의 이미지

임베디드 리눅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디버깅 중 실행파일 끄고 삭제 시 몇분간 삭제가 안되는 문제 관련해서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십니까.

임베디드 리눅스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 제작하고 있습니다.

헌데 어플리케이션 디버깅 중에

보드에서 실행파일을 실행하고 SIGINT 신호로 종료 하고 해당 파일을 삭제하려고 하면 몇분간 삭제가 안되고 블록되는 현상이 있습니다.

정확한 원인을 모르겠네요.

메모리 문제인지 어떤 코드가 잘못된게 아닌가 싶은데요.

실행파일은 nfs로 보드에서 리눅스 PC로 접속하여 실행하였고, SIGINT로 종료 후 리눅스 PC에서 make clean이나 rm으로 실행파일을 삭제하려면 몇 분간 삭제가 되지 않습니다.

도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ylee의 이미지

mfc에서 비트맵 출력하는 거 질문이요!ㅠㅠ

제가 mfc 이용해서 비트맵 파일이랑 헤더정보까지 같이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짜고 있는데

비트맵 출력부터 막히네요ㅠㅠㅠ흑

일단 콤보박스이용해서 사진 선택한 후 버튼 클릭하면
새로운 창에 비트맵 이미지가 올라오도록 하려고 하는데

CWnd *pWnd = (CWnd*)GetDlgItem(IDC_PIC);
CDC *dc = pWnd->GetDC();
CStatic *staticSize = (CStatic *)GetDlgItem(IDC_PIC);
CRect rect;

staticSize->GetClientRect (rect);
m_lmg.Load("C:\\Users\\LEE\\Desktop\\GSPS_MeasureLine2D.bmp");
m_lmg.Draw(dc->m_hDC,0,0,m_lmg.GetWidth(),m_lmg.GetHeight());
이렇게 했더니 새로운 창도 안뜨고 원래 있던 창에 사진 일부만 뜨네요ㅠㅠㅠ 아이건 어찌저찌하다가 static 컨트롤 이용해서 비트맵 출력한 겁니다!

lhw3110의 이미지

스킵리스트 구현중인데 오류가 자꾸 납니다.

현재 스킵리스트를 구현중입니다. 구현하다가 노드 포인터를 만들어서

그 노드가 list의 head를 가르키게 만들고 싶은데 cur에 자꾸 아무 값도 들어가지 않습니다.

아래 제 코드인데 고수님들 부탁드립니다.

nixon4545의 이미지

리눅스에서 open 함수에 대한 질문입니다...

리눅스에서 open 함수에 대한 정확한 정의구현 부분을 보고 싶은데

fctnl.h를 뒤져보니 extern 형태로 선언되어 있네요...

확실하게 정의가 되어있는 곳을 보려면 어디를 찾아가야 할까요?

starkying의 이미지

알고리즘과 자료구조

안녕하세요.
대학생이고 컴공을 복수전공으로 배우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이번 방학때 박컴학원이라는 곳에서 자료구조를 배울 계획이었습니다.
그 학원에서 발간하는 교재 시리즈가 있는데
알고리즘에 해당하는 부분을 교재로 먼저 독학하고, 뒤에 이어지는 자료구조 부분을 학원에서 수강하는 계획인데요.

고민인게 제가 복수전공을 하고있고 학교에도 당연히 알고리즘과 자료구조 수업은 있지만(아직 안들은 상태)
알고리즘, 자료구조가 워낙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고 박컴학원이 좋다는 평이 많아서 들어보고 싶은거거든요.
근데 학원수업을 듣게 된다면 알고리즘을 듣는게 좋을지 자료구조를 듣는게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학원 교육과정 상으로는 알고리즘 - 자료구조 순서이고
학교 커리큘럼은 자료구조 - 알고리즘 순서에요.
박컴이 얼마나 괜찮은 학원인지 잘 모르기도 하고 아직 입문자이다보니 결정이 어렵네요.

Thehouse1234의 이미지

?

.

ozon1000의 이미지

Haskell compiler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technical overview를 살펴보면 Haskell은

Haskell code -> core language -> STG language -> abstract c 이런 순서로

중간코드가 생성되던데요.. (자세하고 확실하지는 않습니다.)

이렇게 여러개의 언어로 번역되고 실행되면 장점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사실 아직 core language랑 STG language가 무엇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너무너무 어렵네요)

질문은 그것입니다.

여러개의 중간코드로 생성되어 최종 목적코드로 실행되면 다른 C 혹은 C++ 등의 언어(절차형)
와 비교해서 장점이 무엇이 있을까요?

eper의 이미지

ProgreSQL SELECT절 에러

INSERT INTO COUPON_USER_LIST (REAL_NUM)
SELECT (a.MAX_NUM + ROWNUM) AS REAL_MAX_NUM
FROM
(
SELECT MAX(NUM) AS MAX_NUM
FROM COUPON_USER_LIST
)a;

여기서 2번째줄 '+' 부분에서 에러 발생하였는데 어떻게 수정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