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qweq852의 이미지

헥스에디터 같은 프로그램은 어떻게 만드는 거에요?

프로그램의 내용이 이진수로 보이게 되는게 너무 신기하네요

koain의 이미지

나빌레라 님의 "도전 임베디드 OS 만들기" 에 관한 질문입니다.

책의 내용은 EZ-X5 보드를 기준으로 진행되는데요

qemu 말고 실제 보드를 이용해보고 싶어서 알아보고 있는데

EX-X5보드와 같은 PXA-255 프로세서를 이용하는 HBE-EMPOS 2 를 이용해도 무리가 없을런지요

책 내용을 따라가기엔 다른 부분이 많을까요?

많이 다르다면 초보자가 HBE-EMPOS 2 메뉴얼을 보며 따라갈 수 있을런지요...

teseonic의 이미지

windbg Page @ too large to be in the dump file. 무슨 문제죠?

윈도우 덤프를 올렸는데 아래처럼 뜨네요.
Page @ too large to be in the dump file.
무슨 문제인가요?

shint의 이미지

[NIPA] SW 개발 산출물 작성 가이드

Forums: 


<웹진 148호: 인사이드 이슈> SW 품질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개발 절차와 인증
http://www.sw-eng.kr/member/customer/Webzine/BoardView.do?boardId=00000000000000031328

질풍노도의 테스터 -- [NIPA] SW 개발 산출물 작성 가이드
http://goodsharp.tistory.com/473

SW 개발 산출물 작성 가이드
https://www.swbank.kr/helper/guide/guideMain.do

HDNua의 이미지

자막 편집기를 만들었습니다.

예엣날에는 자막 편집기로 "자막 한방에~"라는 프로그램을 썼었는데, 지금은 이걸 어떻게 썼지 싶을 정도로 불편하더군요.
처음엔 새 자막 편집기를 찾았지만 그걸 또 익혀야 한다는 생각에 크게 귀찮아져서, 그냥 자막 편집기를 만들었습니다.
요즘은 개발 도구가 워낙 좋아져서 빠른 시간 안에 작성이 끝나더라구요. 좀 놀랐습니다.

한 15년 전에 나왔다면 나름 알려진 프로그램이 됐을지도 모르지만 지금은 훨씬 좋은 프로그램이 더 많이 나왔을텐데, 자막 편집 프로그램을 아는 게 없다보니 그냥저냥 이것도 쓸만하다고 느낍니다.
관심 있으시면 한 번 보셔요. ㅎㅎ

실제 사용 영상입니다.
(참고로 튜토리얼에 사용한 영상은 게임 리뷰 관련 영상인데, 욕설이 좀 포함되어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c49Q0sn9GOw

k1d0bus3의 이미지

하드웨어 가상 머신, 요즘은 뭐가 좋습니까?

기준은..
호스트OS:리눅스(우분투), 게스트OS:윈도우, 가격:무료.
요즘 좋은 제품 뭐가 있나요?

k1d0bus3의 이미지

바이너리파일이 32bit용 인지 64bit용 인지 어떻게 확인하죠?

32bit 시스템에 설치된 부트로더가 32bit용 syslinux인지, 64bit용 syslinux인지 모르겠습니다.
(사실 syslinux가 32bit용, 64bit용 따로 있는지 조차도 모르겠습니다.)

# file ldlinux.sys
ldlinux.sys: SYSLINUX loader (version 3.83)

file 명령어도 안통하는데, 어떻게 확인해야 하죠?
phi의 이미지

c언어 malloc()을 이용한 배열 생성 관련 질문입니다.

c 기초 플러스로 c언어를 공부중입니다.
이 책의 12장에서

double *ptd;
ptd = (double *) malloc(30*sizeof(double));

이렇게 하면 ptd가 double형 값 30개를 가지는 블록을 가리키는 포인터가 아니라,
하나의 double형 값을 가리키는 포인터로 선언 된 것에 주목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후 설명으로 ptd가 블록의 첫번째 원소를 가리키도록 설정되었고, ptd[0]으로 그 블록의 첫번째 원소에 접근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맨 처음 ptd를 double형 포인터로 선언하면 그 ptd에는 그 포인터가 가리킬 메모리의 주소가 대입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double)이걸로 변수의 유형을 임시로 변경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앞에서 언급한 적이 있어서 어느정도 알고는 있는데,
(double *)이렇게 포인터와 관련해서 사용하는건 처음이라 잘 이해가 안되는 것 같습니다.

rxvt-unicode의 이미지

간단한 리눅스 웹브라우저 입니다

짤방을 만들어봤습니다.

via GIPHY

qutebrowser라는 브라우저인데 파이썬으로 써진 브라우저입니다.
굉장히 편합니다.
dwb랑 비슷합니다.

rlj1202의 이미지

64bit dll 인젝팅시 문제점

SetWindowsHookEx함수를 이용해서 프로세스에 dll을 인젝트하는데, 구글 크롬과 스팀(Steam), 스윙 브라우저 등의 프로그램에 인젝트 될 때에 해당 프로그램이 프리징이 되더군요. 또 이클립스랑 프로세스 해커(Process Hacker), 파일 탐색기는 아무런 문제가 없어 공통점이 무얼까 찾아보니 비트수의 차이였습니다. 프리징된 프로그램 모두 32비트 이미지 이고 나머지 정상작동한 프로그램은 64비트 이미지 이였습니다.

그러니까, 32비트로 만든 dll은 32비트 프로세스에서만 작동하고 64비트로 만든 dll은 64비트 프로세스에서만 정상 작동한다는 얘긴데 어떻게 해결해야할지 모르겠네요.

부탁드립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