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ndgndg91의 이미지

윈도우 10 과 우분투 16.04 lts 를 듀얼부팅하려는데 우분투 설치후 os선택화면없이 윈도우로 바로 부팅되어버리네요..도와주세요

우선 제 노트북 모델은
acer aspire v5-591g 입니다.
uefi 모드 이고
bios 는 incyde Corp. V1.12
OS 는 윈도우 10 Pro

빠른부팅윈도우에서 끄고, bios에서 안전부팅도 끄고
usb에 iso refus로 해서
아래처럼 설치까지 다하고

윈도우 10을 kingston ssd 128기가에 사용하다가
sda1 복구 450MB
sda2 efi 100MB window boot manager
sda3 ntfs 103.70GB
sda4 복구 15MB

추가적으로 우분투를 설치하여 듀얼로 쓰고 싶어서
tosiba hdd500g기가를 달아서 거기다가 설치하려고 썼는데
sdb1 / 37.25GB
sdb2 /home 37.25GB
sdb3 swap 14.90GB
남은공간 376.35GB

shint의 이미지

KLDP 에 iframe 유투브 동영상 올리는 방법





src 에 동영상 주소를 넣으시면 됩니다.

미리보기에서는 안보이는데요. 글을 등록하면 보입니다.



FULL HTML 로 하셔야 합니다.



김정균의 이미지

MySQL utf8mb4 를 사용해야 할까요? (KLDP drupal 7 업그레이드..)

KLDP의 drupal 6이 올해 2월부로 EOL 되어서 업그레이드 계획을 잡고 있습니다. Drupal 8로 업그레이드를 하려다가, 문서상의 Major version 간의 업그레이드가 완전치 않은 듯 하고, drupal 6에서 사용하는 모듈이 너무 지원이 안되서 일단 7로 업그레이드를 할 계획을 잡고 있습니다.

일단, VPN 망 안에서만 접근 가능한 곳에서, Drupal 7로의 migration 테스트는 완료된 상태입니다. drupal 6 -> 7 의 업그레이드 소감은, 설정이 다 풀어져서 닥질을 해야 한다는 것 이네요. 기존의 KLDP 같이 설정을 새로 하는데만 2일 정도 소요가 되었네요. (뭐 한번 했으니 시간은 좀 더 줄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다만 아직 결정을 못한 것이 mysql의 utf8mb4 charset을 사용해야 하느냐의 문제 입니다. 기존의 utf8은 3byte로 fix가 되어져 있어 imoji 같은 문자를 넣을 수 없습니다. 대부분의 Emoji 문자들은 4byte 영역에 있기 때문인데요.

zerohch0의 이미지

풀스택 자바스크립트 홈페이지

안녕하세요. 오늘 가입한 자바스크립트 전문으로 하는 학생입니다!
자바스크립트가 나날이 발전하는 모습에 매료되어 자바스크립트를 주로 하고 있는데요.
이 참에 풀스택 자바스크립트(노드, 몽고디비)를 사용하는 홈페이지를 만들었습니다. https://zerocho.herokuapp.com

내용은 자바스크립트 강좌를 주로 하고 있고요. 한 번 놀러와 주세요!

owcred601의 이미지

Header 파일의 Feature 부분 변경 시 에러가 발생하네요.

[컴파일 에러가 나는데 버전 문제 같습니다.] 글을 올린 질문자 입니다.
우선, 이전에 답변해주신 라스코니님, qiiiiiiiip 님 정말로 감사합니다.

현재 크로스 컴파일을 진행 중입니다.

일반 리눅스 환경에서의 빌드는 모두 성공된 것을 확인했고, 타겟의 라이브러리를 통해서 컴파일을 하던 도중에 지속적으로 에러가 발생하더군요.

1. 타겟의 라이브러리 경로와 호스트의 라이브러리 경로가 다른 경우
2. 타겟의 라이브러리의 여러 Flag 들로 인해서 함수 자체가 컴파일 단계에서 불러오지 못하는 경우
3. 기타 이상한 것들

등등 이었습니다.

이번에 크로스 컴파일로 포팅하는 작업을 처음 맡게되었는데, 현재 제가 나아가고 있는 방향이 옳은 것인지 조차 구분을 할 수 없어서, 다시 한 번 선배님들께 여쭤보고자 합니다.

제가 진행한 방향은 아래와 같아요.

misohouse의 이미지

(해결) 시놀로지 NAS 시작할 때 원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립트를 짜려고 합니다.

톰캣 서버 실행 파일 (startup.sh)의 경로와 시작 시 메시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RackStation> cd /volume1/@appstore/Tomcat7/src/bin/
RackStation> ./startup.sh
Using CATALINA_BASE: /volume1/@appstore/Tomcat7/src
Using CATALINA_HOME: /volume1/@appstore/Tomcat7/src
Using CATALINA_TMPDIR: /volume1/@appstore/Tomcat7/src/temp
Using JRE_HOME: /var/packages/JavaManager/target/Java/jre
Using CLASSPATH: /volume1/@appstore/Tomcat7/src/bin/bootstrap.jar:/volume1 /@appstore/Tomcat7/src/bin/tomcat-juli.jar
Tomcat started.

cylee의 이미지

MFC CImage 사용 시 stretchblt 부분 Debug assertion failed 오류

제목 그대로 컴파일 해보면 debug assertion failed 오류가 뜨는데

Expression에는 hBitmap == m_hBitmap 부분에 문제가 있다고 뜨네요ㅠㅠ

순서대로 디버그 해보면 stretchblt 부분 지나면서 저렇게 뜨는데 무슨 문제일까요ㅠㅠ

shint의 이미지

북한 개인 인터넷 허용

북한 개인 인터넷 허용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5thsun/220759574698

36311의 이미지

Firefox 48부터는 WebExtensions API로 확장기능을 만들어야 하나 보네요

* 오늘 업데이트된 Firefox 48부터는 WebExtensions API가 확장기능 제작 표준이라고 합니다.

* 거의 나혼자 쓰지만 만들어놓은 확장기능들 새로 만들어서 업데이트를 하긴 해야할거 같고
신기술에 대한 기대보다는 새로운 삽질에 대한 귀찮음이 힘들게 느껴지네요

* 얼마전까지 표준으로 쓸거같이 하던 Add-on SDK 엎어버린것에 배신감 같은 것도 느껴지고요.
안쓰던 npm을 설치해야 되서 이것도 귀찮네요.

* WebExtensions의 마케팅 포인트는 Firefox에서 한번 만들면 Chrome과 Opera에서도 쓸수 있다는 건데
그닥 가슴에 와닿지는 않네요. 아니 대단한건데 못 느끼고 있는건가?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