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skyjjogari의 이미지

라즈베리파이 폴더 인식 불가 문제

라즈베리파이에 라즈비안OS올려서 사용중입니다.

전원 인가하고 부팅되고 나서..

폴더를 열려고 하면 먹통이 됩니다.

그... /home/pi 이 폴더는 누르면 시계나오면서 안열리구요

그 외 시스템관련 폴더들은 잘 열립니다.

문제는 pi폴더 안에 작업해야 할 파일들이 있는데 저 폴더가 열리지를 않아요

잘 사용하다가 한번씩 저러던데..

혹시 원인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추가적인 내용이 필요하시면 알려드리도록하겠습닏 ㅏㅠㅠ 도와주세요 ㅠㅠ

ybg7955의 이미지

java 쓰레드 질문

안녕하세요 자바 쓰레드 배운지 얼마안되서 질문드리는데요

예를 들어서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ingleThread T1 = new SingleThread();
SingleThread T2 = new SingleThread();
SingleThread T3 = new SingleThread();
SingleThread T4 = new SingleThread();

T1.start();
T2.start();
T3.start();
T4.start();
}

whobc의 이미지

리눅스 ruid, euid 저장 위치

리눅스에서 프로세스와 ruid, euid에 대해 공부하던 중 턱 막히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먼저 ruid와 euid에 대해 알고 있는 내용은 이렇습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프로세스가 되면 실행자의 id로 그 프로세스의 ruid가 세팅된다.

만약 이 프로그램이 setuid가 설정되어 있었다면 euid는 그 프로그램의 소유자의 id로,

setuid가 설정되어 있지 않았다면 euid는 프로세스 실행자의 id 즉, ruid와 같게 세팅된다.

리눅스 커널은 실행된 프로세스의 euid를 보고 판단하여 그 프로세스가 시스템 내의 특정 자원에 접근해도 되는지 판단하고 이를 허용 또는 불허한다.

또, 실행된 프로세스가 프로세스 내에서 다른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면 리눅스 커널은 실행되어 있는 프로세스의 ruid를 가지고 새로 실행되는 프로세스의 ruid로 설정한다.

여기까지 입니다.

그런데 리눅스 커널이 프로세스의 ruid와 euid를 보고 그 다음 행위를 판단할 수 있다는 얘기는

lkh의 이미지

TCP SYN Flooding

Dos에 대해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TCP SYN Flooding으로 백로그큐를 가득 차게 하면 해당 포트가 처리를 못하고 완전히 뻗는건가요? 아니면 계속 처리하긴 하는데 처리 속도보다 빠르게 들어와서 그러는 건가요?
그리고 꽉 찬 후 다 비워지는데 얼마나 걸리나요?

jaehungim31의 이미지

실수로 vim 디렉토리 삭제

실수로 vim 디렉토리를 삭제했는데요..

# apt-get autoremove --purge vim
# apt-get clean
# apt-get install vim 

을 해보아도 다시 생성되지 않습니다.

이것때문에 시스템을 다시 설치하기에는 백업해야할 자료가 너무 많은데 어떻게 다시 생성할 방법은 없을까요?

park3250의 이미지

FFmpeg 멀티스레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FFmpeg 영상 스플릿, 먹싱하는 라이브러리가 있는데요

이를 멀티스레드에서 개별적으로 라이브러리 객체를 생성해서
스플릿, 먹싱 테스트를 하려고 하는데요

락부분까지 추가되어있는데 멀티스레드로 실행하다보면

heeyam의 이미지

(푸념)모르는게 너무 많아서 답답합니다.

안녕하세요. 컴퓨터공학을 전공하고 정보보호학 석사 과정 진행 중인 학생입니다.

너무 답답한 마음에 여기 계신 선배님들은 어떻게 공부해오셨는지 조언을 얻고 싶어 글을 씁니다.

4년이라는 시간동안 학과 공부를 해왔는데도 불구하고 아직도 기초가 부족한 기분이에요.

벼락치기 공부만 했던 탓인지 제가 가지고 있는 지식에 대한 확신이 없고 백지 상태인 것 같아요.

어느 정도의 수준인건지 아직 파악이 안되네요..

2년이라는 기간동안 능동적으로 제대로 한번 공부해보려고 석사 지원했는데...

공부해야할 것은 많고 어떤 것 부터 해야할지도 모르겠고

다시 프로그래밍 기초부터 시작하기에는 시간이 없을 것 같다는 불안과 초조가 가득합니다.

커널과 보안 프로토콜 공부를 하려고 봐도 용어도 모르는 것 투성이고, 세부적으로 모르는 것이 너무 많아

이해가 잘 안됩니다.

용어 설명을 실컷 봐놓고도 누가 물어보면 얼버무리는 수준이고...

새삼스레 이해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깨닫고 있습니다.

bosoeo의 이미지

.

unuseid의 이미지

NAT를 통한 로컬과 호스팅 서버간의 통신

오픈소스 사물인터넷 프로젝트인 leshan 과 wakaama를 이용해 테스트중 로컬에서는 문제가 없으나
호스팅 서버를 사용해 테스트하자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leshan = 오픈소스 사물인터넷 서버와 이를 조작할수 있는 웹페이지 제공 https://github.com/eclipse/leshan)
(wakaama = 오픈소스 사물인터넷 클라이언트 장비 https://github.com/eclipse/wakaama)

먼저 로컬내에서의 테스트환경입니다.

ubuntu(leshan server) <---> 실제 장비client, ubuntu(client)

그리고 호스팅 후의 테스트 환경입니다

ubuntu(client), 실제 장비 ---------공유기------------ hosting ubuntu(leshan)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