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high385의 이미지

Openmp에서 읽기용 메모리도 datarace가 발생할까요?

쓰기용 메모리는 동시에 특정 메모리에 다른 core가 접근해서

싱글 thread에서 순차적으로 결과를 쓰기 메모리에 접근할때와

멀티 thread에서 병렬로 접근해서 메모리에 쓸때는 다른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

읽기용 메모리는 병렬 처리시 읽기만 하기때문에 최종 결과가 상이하진 않지만

Data race로 인해 성능차이가 발생하는지 궁금합니다

서로 독립된 읽기용 메모리 사용과 공통의 읽기용 메모리를

병렬 thread로 openmp가 동작했을때 속도에 대한 차이가 있을까요?

이에 대한 답변이 나오는 문서나 인터넷 사이트가 있을까요?

bosoeo의 이미지

.

36311의 이미지

우연히 포렌식 관련 책을 봤는데 생각과 많이 다르네요

- 프로그램 변경 이력을 철저히 유지하는 등 형상관리를 제대로 하더라도 사실 아무런 소용이 없다. 악의를 가진 개발자하면 형상관리 중인 소스는 그대로 둔 채 다른 컴퓨터에서 소스를 고쳐 실행 파일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형상관리는 조작 여부를 밝히는데 별 도움이 되지 못한다.
(개발자 분들은 코드 확인을 가장 먼저 할 거 같은데)
- 전화번호 검색을 제공하는 구글 검색을 사용하면 해당 전화번호 사용자의 최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걸로 조사가 불가능하지 않나요?)

- 웹 브라우저 종류가 네 종류가 나왔으므로 최소 네 대 이상의 컴퓨터를 사용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수정 가능한 거 아닌가요?)

- 보고서에는 완곡한 내용만 담고 소명 기회를 노리는 것이 최선이다.

(객관적인 의견을 내야 하지 않을까요;)

ozon1000의 이미지

virtual-box 사용하는분 한번씩만 봐주세요.

몇일전 윈도우 업데이트를 하고 컴퓨터가 강제 재부팅이 되었습니다.

컴퓨터는 거의 켜놓는지라 virtual-box도 켜져있었네요.

ssh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는데.. samba가 아에 먹통이네요.

이리저리 해결방안을 찾아보고 virtual-box를 업그레이드 했다가 다운그레이드 했다가 몇번을 한지 몰라요.

그러다가 우연히 네트워크 연결을 보았는데 저렇게 되어있더군요..

virtualBox Host-Only Network #2 라고 되어있는데 원래는 뒤에 #2라는 표시가 없었거든요.

아마 윈도우 업데이트를 하면서 충돌이 생겨 기존 Host-Only Network는 사라지고 #2가 생긴걸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추측을 하는 이유는 이름을 아무리 바꿔보려해도 첨부한 오류 메시지가 계속 나오더라고요.

그래서 구글에서 오류 메시지를 찾아 검색해본결과, 2가지 해결방안이 나왔습니다.

하나는 cmd 창에서 관리자 권한으로 장치관리자를 켠 다음 숨겨진 네트워크를 삭제하는 것이고요.

poss의 이미지

[판매] CPU/MEM 팝니다.

자유게시판이니까 올려봅니다.

혹시 필요하신 분 있으면 연락 주세요.

CPU : Intel Xeon E5-2430L (6 core, 2.0GHz)
MEM : 8GB 2Rx4 PC3L-12800R ECC Reg.

CPU는 15만원, 메모리는 2만5천원 정도 생각하고 있구요. 중고입니다.

waranddie의 이미지

아시안눅스 2.0 PPC 다운받고싶은데요.

안녕하세요. 글 열어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찾다 포기했어요

bigbaby의 이미지

SCTP 연결 수립 시 INIT 중복 전송

안녕하세요. SCTP 연결 수립 시 문제가 있어 질문드립니다.

최초 소켓 접속 후 SCTP 연결 수립(멀티호밍) 단계에서 INIT 메시지가 PEER 장비가 2번 전송되는 현상이 있습니다.

프로그램 문제인지 확인하기 위해 ncat 명령어를 이용하여 테스트를 해봤는데

동일하게 INIT 메시지가 2번 나가고 있습니다.

참고로 발신측 네트워크 구성은 Bonding(2개의 eth 묶음)으로 되어 있습니다.

혹시 동일한 이슈를 경험하신 경험이나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시스템 정보
OS 버전
RHEL 6.7

커널버전
Linux 2.6.32-573.el6.x86_64 #1 SMP Wed Jul 1 18:23:37 EDT 2015 x86_64 x86_64 x86_64 GNU/Linux

owcred601의 이미지

문제 하나 해결했는데, 이게 정확한 것인지 공유하고 확인하고 싶습니다

외부 라이브러리 A
실행 프로그램 B

B에서 A를 Link 하는 과정에서 undefined reference error 발생

nm 으로 라이브러리 A 확인 결과 해당 함수가 포함된 것 확인.

Include 및 순서 등등을 변경해봐도 해결되지 않음.

------

해결 방법 :

라이브러리 A가 물고 있는 Flag(제 경우 두 개) -g -Wl,--gcsections 를 실행파일의 Flag 에도 추가.
해결 됨....

원래 스태틱 라이브러리나 쉐어드 라이브러리를 실행파일에서 참조할 때,
지금처럼 라이브러리에서 사용하는 Flag도 같이 추가해줘야 되나요??

오전 3시간을 날렸는데, 이걸로 해결되네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