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khj의 이미지

debian 9.1 firmware 설치 문제입니다.

커널은 4.9.0 이며 저장소는 데비안 공식 non-free 사용 중입니다.

firmware-misc-nonfree, firmware-atheros, firmware-realtek 설치 후 로그를 확인 해보니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파이썬으로 만든 크롤러에 정지 기능을 만들고 싶습니다.

파이썬으로 웹 데이터를 수집하는 크롤러를 GUI로 만들었습니다.

시작하는 버튼을 클릭하면 크롤링을 시작하는데, 정지하는 기능을 만들고 싶습니다.

단순히 변수를 활용해서 정지를 시키려다보니까 여간 문제가 많은게 아니더군요...ㅠㅠ

제대로 정지가 안되는 곳도 있고, 여러모로 멘붕인 상태입니다.

크롤링하는 동안에는 GUI가 멈추기때문에 쓰레드를 하나 만들어서 크롤링 중인데요.

어떻게 해야 작업을 단순히 멈추는 기능을 만들 수 있을까요?(일시정지)

하루종일 붙잡고있는데 해결이 안되고있습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DSR구조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DSR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고있는 중인데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 올려봅니다.

온라인에서 몇몇의 글을 봤을 때, DSR 구조에서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들어온 패킷을 L4를 통해서 서버가 받

게 되고 서버는 L4를 거치지 않고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하는 구조인데, 이 때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에게 보내는 패킷은 src ip를 L4의 VIP로 (NAT를 통해?) 변환을 시켜줘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렇지 않게되면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패킷을 보낼때 사용했던 L4의 VIP(L4의 공인 IP)가 아닌 서버의 사설ip 혹은 공인IP가 날라와서 이상한 응답으로 간주하고 패킷을 버린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오늘 다른사람이 하는 이야기를 들어봤는데, 클라이언트가 패킷을 보낼때는 L4의 공인아이피(VIP)를 보고 들어 오지만 서버에서 응답을 할 때는 서버의 공인 IP로 패킷이 나간다는 말을 들었는데, 이게 가능한 구조인가 해서,..... 저는 잘 이해가 안가서 질문 올립니다.

trymp의 이미지

C언어 snprintf 질문 드려요..ㅠㅠㅠ

제가 가장 안전하다고 믿었던 snprintf 에서 알 수 없는 오류가 생기네요..ㅠㅠ
offset 길이에 따라서 overrun 이 생길 수 도 있고 안생길 수도 있습니다.
아래 코드를 보시면 n(문자열길이) 가 buffer 길이와 어떻게 매치되냐에 따라
magic 값이 깨지기도 하고 안깨지기도 하네요..ㅠㅠ

case 2 에서도 두번째에서 안 깨지고 왜 세번째에서 깨지죠?
고수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자바 clone 보충 질문입니다

clone 메소드를 오버라이딩 해야하는 이유에 대해서 공부중인데요.

소스파일 : InstanceCloning.java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자바 clone 도무지 이해가 안갑니다 부탁드립니다

1. Clone 은 prootected이기 때문에 오버 라이딩 해애 한다.
ㅡ 그런데 같은패키지리면 상관없지않나요? 즉 디폴트 패키지인 상황에서 한클래스에서 굳이 public으로 왜 재정의를 해야하나요?

2.클래스 public object ...안에서 재정의된 public clone 매서드 에서
return super.clone()에서 super는 이클래스가 상속하는 클래스이므로 object 를 의미하는 것인가요?

3. 2번내용에서 return은 object형을 반환 하는데 이 매서드를 호출한 내용을보면
rec a
rec b
b=(rec)a.clone()
이렇게 되어있는데 의문인게 object형을 리턴하는데 이를 이를 오류없이 그냥 다운캐스팅 이 되나요? 다운캐스팅 조건이 참조값이 자식형을가지고있어야만 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비켜색햐@Naver의 이미지

win32 api 프로그래밍 질문입니다.

#include
#include
#include"resource.h"
#define T _T
LRESULT CALLBACK WndProc(HWND hwnd, UINT iMsg, WPARAM wParam, LPARAM lParam) {
int answer;
switch (iMsg) {
case WM_DESTROY:
PostQuitMessage(0);
break;
case WM_COMMAND:
switch (LOWORD(wParam)) {
case ID_FILENEW:
MessageBox(hwnd, T("새 파일 열겠습니까?"), T("새파일 선택"), MB_OKCANCEL);
break;
case ID_EXIT:
answer = MessageBox(hwnd, T("끝냅니다"), T("종료"), MB_YESNOCANCEL);
if (answer == IDYES)
PostQuitMessage(0);

시로명운@Naver의 이미지

처음으로 다녔던 직장이야기.

저는 지금은 백수인 2개월경력차의 웹프로그래머 였었습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 중소업체에 게임프로그래머로 들어가서, 2개월간 웹프로그래밍만 하다가 때려치고 이직을 했었죠.

거기서 얻은 교훈은 많았습니다.

저는 최저임금 시급 6,470원일때, 월급100만원(이마저도 식대가 10만원 붙어서 100만원이라고 하더군요.)에 하루 7시간씩만 일하기로(업무량은 7시간만에 못하는 양이지만.)했습니다.

저는 처음 들어갔을 때, 처음잡은 프로젝트에서 메인프로그래머가 되었습니다.
모든 분들이 믿지 않을 수도 있지만, 거기 회사는 신입이 메인프로그래머가 되고, 경력진은 서브로 도움만 주거나, 외부에 파견만 나가있는게 기본적이었습니다.
이 현상을 지들은 '교육'이라는 으리으리한 이름으로 떠받치는 것 같더군요.

1월 11일에 처음으로 들어간 그 회사는 제가 생각한 것보다 특이했습니다.
회사는 대학교 내부에 있었으며, 제가 생각한 개발 회사랑은 모습이 다르게 오히려 짱구는 못말려에 나오는 상사같은 이미지였거든요.

cwk1412의 이미지

안녕하세요 디바이스 권한 관련 질문입니다.

리눅스 관해 생소해서 질문 드립니다.

ioctl 을 사용하여 디바이스에 접근 하는 코드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코드를 실행할 때, 유저 권한으로 실행 해주는 방법이 없을까요?

디바이스 파일에 권한을 4777로 주었는데, ioctl 부분에서 permission error 가 발생하네요,

유저권한으로 ioctl 관련 코드를 실행했을 때 디바이스에 접근이 가능한가요?

시스템쪽 코딩에 미숙하여 선배들께 질문을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skps2000의 이미지

안녕하세요 서버실 장비 이전에 관하여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공공기관 유지보수 담당중인 초보 개발자입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고객측에서 서버 장비 위치를 옮겨달라고 해서요...

소프트웨어 개발자이다 보니 이런상황이 좀 막막하네요..

초보개발자인데 PM이 3일뒤에 그만둔다고 한달전부터 휴가가있는 상태입니다.. ( 사실상 제가 고객 응대하고 대응하고 모든걸 해줘야 하는 상황... )

문제는 이렇습니다.

현재 서버실 내에 1번부터 5번까지 5개의 랙이 있습니다.

5개의 랙은 각각 서버들이 꽂혀져 있는 상태구요

고객은 2번랙의 서버를 1번랙으로 옮기고 비워진 2번랙은 다른이에게 내주고 싶다고 하시네요

옮길 서버에 연결되어 있는 L3, L4장비의 연결여부는 다른 L3,L4로 연결한다거나 하는 변화는 없을거라 생각됩니다.

여기서 궁금한점은

1. 2번 랙에 붙어있는 서버를 1번랙에 옮길 때 서버 전원을 끄고 선들을 뽑고 옮길텐데(맞겠죠?)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