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로 소켓으로 보낼 경우 헤더가?
안녕하세요. KLDP에서 많은걸 배우고 가는 초보자입니다.
UDP 파일 및 트래픽 전송을 담당할 서버를 만드는데요
리눅스 서비스 데몬 프로세스 형태로 동작해야 한다...
이게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hal 을 안쓴다면 xorg.conf 에
Section "ServerFlags" Option "AllowEmptyInput" "False" EndSection
를 반드시 적어줘야 탈이 없습니다. kbd, mouse 가 있음에도 일단 disable 되고, 답이 안나옵니다.
먼저 상황을 설명드리면, 하드디스크 두개를 연결해 놓고, 하나는 리눅스(이미 설치되어 있는)로, 하나는 윈도우즈 서버로 활용할 생각이었습니다.
현재 접속한 계정의 그룹확인
screen 을 쓰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서 여쭙습니다.
screen xxx 와 같이 명령을 수행하면 스크린이 새로 생기고 xxx가 실행되는데 꽤 유용하게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프로그램이 종료하자마자 screen이 kill 되므로 결과를 볼 수가 없는데, man 페이지에서는 이것이 default라고 되어 있습니다.
사전적 의미는 "즐거운 수요일 보내라" 정도라는데
구글이미지 검색하니 왼 야한 사진이 잔뜩뜨네요 --;
다른 의미의 속뜻이 혹 있는건가요?
VMware로 fedora를 사용하고 있는 유저입니다. 제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시리얼 포트로만 사용가능하게 되어 있어서. 드라이버를 설치하던중에 약간의 문제가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파일의 압축을 풀고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컴파일하려고 했으나 아래 첨부한 그림과 같이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1. gdb가 없는 개발환경에서 printf 문으로 디버깅을 하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듭니다. 1) 변수명을 문자로 받아서 printf문으로 찍을 수 없을까? 예) int i,j,..... ......... pintf("i=%d\n",i); 이것을... fscanf(stdin, "%c", &cval); ... 뭔가 cval의 문자를 i,j,...
키보드 마우스 등등은 쉬운데 acpi 이벤트 관련해서는 너무 어렵네요. X 에서 usb 에 능동적이 되려면 아무래도 hal 로 갈아타야 하겠는데, acpi 를 내맘대로 주무르지 못해서 아직 못옮기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