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rm -rf /

rm -rf /

read mail real fast all..;;

모든 편지를, 진짜 빨리 읽기..;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이구구... 데비안...

486에 데비안 까니까 레뎃보다 더 걸리네요 --;
(Cyrix 486-80 16ram --부르주아 486 사양 ^^;)

어쨋건 대충 깔구 랜카드 석장 잡았습니다.

(isa랜카드 똑같은 거 두장 따루따루 잡느라고 노가다 좀 했죠..히유.)

근데 이놈이 지금 리눅에서 내 윈도컴으로, 혹은 그 반대로

핑이 안날라가는 겁니다...

친구놈은 랜카드 한장 뽑아보라지만... 좀더 해볼랍니다...

이거 아직도 랜카드에 부팅 시 고정 내부ip주는 설정 파일도 뭔지

모르고, 레뎃이랑 기타 등등 설정 파일이 틀려서 막막하군요..

geekforum의 이미지

'웹서핑을 하다보면 가끔씩 "이 사이트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4.0 이상에
서 가장 잘 보실 수 있습니다"와 같은 문구를 접할 때가 있다. 경우에 따
라서는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아니면 아예 접근조차 불가능한 경우도 있
다.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오직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상에서만 작동한다.
넷스케이프를 비롯한 다른 많은 웹브라우저가 유닉스/리눅스, 윈도, 매킨
토시 등 여러 플랫폼을 지원하는 것과는 달리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단 하
나의 플랫폼만을 지원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윈도 사용자가 아닌 경우에
는 이들 사이트 문턱에서 좌절감을 맛보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런 사이
트는 우리가 지금까지 논의한, 다양한 플랫폼 상에서의 공개된 프로그램
에 의한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 또는 곤란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런 사이트가 생기는 이유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만이 지원하는 태그를 사
용하기 때문이다. 사실 이것은 마이크로소프트의 내부 정책과 관련이 있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오늘 데비안 설치 및 dselect 강의는 성황리에...

오늘 데비안 설치 및 dselect 강의는 많은 참석자 여러분들과
준비해주신 많은 분들의 덕분으로 아주 좋은 끝맺음을 했습니다.
제가 몸상태가 안좋은 관계로 좀더 나은 사회진행(?)을
했어야 했는데 지금 몸이 골골하는 바람에...

강사를 맡아주신 뽀스(김재철)님과 흑돌(김기헌)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군요.

또한 오늘 이 강좌를 있게 해준 faq 프로젝트 팀과, 데비안 팁 프로젝트
팀, GNU KOREA 관계분들, I.O. Linux, 유니워크 관계자
분들께도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3D 데스크탑 프로젝트 주소 아시는분?

리눅스에서 3D로 데스크탑을 구성하는 프로젝트 하시는분 있나요?
(없을지도-_-")
리눅스에서도 기본적으로 3D를 구현하면 좋을것 같군요.......
아주 그래픽하고 멎지게~ ^^
윈도에서도 .3D는 개발하고 있다고 들은것 같은데~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허걱!! 12세의 Normal Linuxer 등장???

KLGP 질답 게시판에 있던.. 그 무시무시한 내용입니다...

--
제 이름은 김동훈 (나이12세)입니다.
제가 1주일 후에 리눅스를 설치 하거든요.
다름이 아니고 리눅스에서 게임기 에뮬 게임도 할 수 있다는 말을 들었는
데 혹시 '포케츠토 몬스타'(주머니 괴물)시리즈도 리눅스에서 할 수 있나
요? 참고로 저는 포켓몬과 리눅스를 함께 좋아합니다.
바로 이것!
1)포켓몬 레드
2)포켓몬 그린
3)포켓몬 블루
4)포켓몬 노란 쥐(피카추)
5)포켓몬 루기아(은)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신난당~

크크..
제가 드뎌 프린터기를 사게 되씀니당..
그것두 레이져 프린터기로...캬캬캭
이제 무한대로 리눅스 문서를 뽑아야징...캬캬캬캬캭
우하하하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눈이 하도 나빠져서...

1280 * 1024로 해놨던 것을 1152 * 864로 낮췄음... ^^;

아무래도 내 좋았던 눈이 나빠진건 1280 * 1024가 60Hz인가 였는데
그걸로 몇달동안 봐와서 그런가보다 ^^;
(15인치 때도 그정도로 봤었음...)

지금은 75Hz...

옛날엔 kldp를 스크롤 않해도 한눈에 다 보였는데 ^^;

아쉽군 ^^;

To be continued

역시 모니터는 좋은 걸 써야되..

삼성에서 나온 22인치 모니터가 쓰고 싶다.. ^^;

최고해상도에서도 87.5Hz였던가? 뭐였지...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내가 리눅스를 전문적으로 하기 힘들다고 생각이 들게 된다면...

그때는 윈도우의 블루스크린에 대해 연구를 하겠다...

몇분이상 윈도우를 어떻게 사용하면 블루스크린이 뜨고

어떤 명령이 내려지면 블루스크린이 뜨고

어떤 형태로 블루스크린이 진화했는지를...

몇분께 말했지만 ME에서 레드스크린을 본 후

너무 감동을 받아서 ^^;

To be continued

2000에선 블루 않뜨나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