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shint의 이미지

태풍 온다고 합니다.

ㅇ_ㅇ;;
태풍!!

태풍, 6년 만에 한반도 직접 강타.."강해지며 접근"
http://v.media.daum.net/v/20180630203605806

shint의 이미지

GDC 2018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





 

GDC 2018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 정보입니다.
한국 게임도 몇몇 진출했네요. ㅇ_ㅇ;; 검은 사막 / 스마일게이트

한국에는 KGCONF 가 G-Star 와 함께 열리곤 했었는데. 몇년전부터 안하네요. ㅇ_ㅇ;;
 

레이 트레이싱으로 현실감 있는 게임이 등장했습니다.
VR 게임도 많이 등장
아직은 언리얼엔진이 대세 입니다.
크라이엔진도 보입니다.
 

GDC 2018 로 구글 검색한 결과 입니다.

 

lstlove9804의 이미지

Linux C 웹 서버 관련 문의 드립니다.

저는 지금 포트를 두 개 열어서 하는 시스템에서 들어오는 값 처리 , 다른 포트는 http 에서 들어오는 값을 그대로 보내주는 에코 서버를 개발 중에 있습니다.

소스중에 printf 를 찍은 것들은 전부 디버깅 용으로 찍은 함수 입니다.

지금 , h_clnt_sock=accept() -> 하는 부분에서 큰 문제가 발생 하였습니다.

자꾸 클라이언트 소켓에 할당대는 값이 0이 나옵니다.

(0이 표준 입력 , 1이 표준출력 , 2가 표준에러로 알고 있습니다.)

0이 클라이언트 소켓 값으로 할당됨으로써 read/write가 안되고 있습니다.

서버 소켓에 5가 할당되었다면 클라이언트 소켓은 6이 할당되어야 하는게 보통 경우인데..

int fd = open("/dev/null", O_RDONLY); dup2(fd, STDIN_FILENO); close(fd);

를 accept 하기 윗 단에 쓰라고 하던데..

저는 써도 똑같은 오류가 발생해서요.

해당 오류 관련해서 조언 및 해결 방안 부탁 드립니다.

chocokeki의 이미지

heap과 stack의 주소가 거꾸로 입니다

안녕하세요
일단 환경이 리눅스가 아닙니다 그래도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어 질문을 올립니다

ARM Cortex M7 계열이구요 OS 없이 사용중입니다

먼저 link script에 다음과 같은 순서로 설정이 되어있습니다
.heap
.stack

그리고 map 파일을 보면 위와 동일한 순서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RAM 시작(lower memory address)
heap
stack
RAM END(higher memory address)

아래는 map 파일의 일부 입니다.

shint의 이미지

건담 도라에몽 드래곤볼 마영전 VR 시연 동영상





Playing the Gundam Game (360)

 

Dragon Ball VR Gameplay Trailer (VR Zone Shinjuku)

 

Dragon Ball Z en VR !

livey의 이미지

[완료] LTE, 와이파이의 사용가능한 포트번호 궁금합니다.

동네 도서관에서 안드로이드 앱과 노트북 c# 프로그램이 통신하는 간단한 소켓 프로그램을 공부하고있습니다.

네트워크는 올레와이파이, LTE 네트워크, 도서관 와이파이 세가지가 있고
IP와 포트번호를 입력하고 간단한 문자열을 보내봤는데 연결이 안되네요
포트번호를 임의로 18000번 18001번 이나 50000번 60000번 같은걸로 번호를 하나씩 바꿔보고
올레와이파이, LTE, 도서관와이파이 IP로 바꿔가면서 해봤는데 접속이 안되네요

집 공유기는 직접 포트포워딩을 해서 그런지 접속이 잘되는데
통신사 네트워크나 도서관 와이파이는 임의의 포트번호가 서버용으로 사용되는걸 막아놓은건가요?

폰과 노트북이 소켓으로 통신할수 있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emptynote의 이미지

제5회 공개SW 거버넌스 아카데미 참석 후기

제5회 공개SW 거버넌스 아카데미를 다녀왔습니다.

마지막 3번째 세션 강좌는 선(?)으로 알고 있는 FSF 에 대한 다른 시각에서는 악(?)이 될 수 잇다는 것을 접하게 되어 충격 받았습니다.

GNU 라이센스 위반 업체로 부터 합의금을 받았다는 말이

좋게 이야기하면 그 돈은 FSF 발전에 쓰라는 기부금이지만

나쁘게 말함면 삥(?) 뜯어 얻은 돈이라서 참 머리속이 복잡해 지네요.

첫번째 강좌는 저 또한 개인적으로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어 관심이 가장 많은 강좌였습니다.

어떻게 사람을 모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면서 개발해 나갈까 고민중이기때문입니다.

저를 두고 하시는 말은 아니였지만

아무도 소스 공개했다고 관심 없다 마케팅 해라 라고 팩트 폭격하셔서 마케팅 이라는 단어가 가장 기억에 남네요.

두번째 강좌는 리눅스 커널 같은 경우 GNU 라이센스이지만 예외 조항이 있다 하시는데

정말로 라이센스라는 주제는 참 꼬이고 꼬인 법률과 관련된 내용이라 어렵네요.

초쎈님의 이미지

webRTC 우분투 설치관련 문제

https://github.com/mpromonet/webrtc-streamer
위에 github에서 webrtc-streamer를 사용하기 위해 webRTC를 우분투에 build하고 있습니다.

세벌의 이미지

2018 서울 강서구 우장산 신록 축제

All work and no play makes Jack a dull boy
라는 말이 있죠.

너무 열심히 일만 하지 말고 놀기도 하셔요.

2018.7.7.토

자세한 내용은
http://gangseoro.blog.me/221307962554

https://www.gangseo.seoul.kr/site/dept/1008/app/a2/page1_view.jsp?board_id=56&list_id=970&page=1&rboard_id=56

김덕준@Google의 이미지

Segmentation Fault오류(python3, Ubuntu17.10)

윈도우즈에서 실행시에 잘되는데 우분투에서 실행시에 segmentaion 오류가 발생하면서 그냥 죽습니다....
리눅스 메모리 문제인지 뭔지 제가 아직 잘 몰라서...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 조언 부탁 드립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