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shint의 이미지

SCTP에 의한 네트웍 성능 향상 (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 Glass Library





 

SCTP에 의한 네트웍 성능 향상 (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http://cafe.naver.com/ongameserver/6887

 

빨라진다는 군요. ㅇ_ㅇ''
회원 가입해야 하는데. 네이버 검색으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bushi의 이미지

Fedora 24 혹은 25 사용하시면서 java(openjdk) 로 개발중인데 어제오늘 사이에 업데이트 하신분들.

android 빌드할 일이 있어서 openjdk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늘 데스크탑 메모리 증설 기념해서 패키지 업데이트까지하고 리부팅한 다음에 괴상해져서 이리저리 알아봤는데,
https://bugzilla.redhat.com/show_bug.cgi?id=1415137

ydhoney의 이미지

요즘 무슨 일 하세요?

"무슨 회사" 말구요.

"무슨 일" 을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최근 Hadoop, BigData Visual Analytics 계열 솔루션(SAS ,Tableau, QGIS etc...) 운영과 기타 레드햇계열 시스템 운영 정도를 하는 중입니다.

다른 분들은 요즘 뭐 좀 살만하신지 궁금하네요.

dkshskldp의 이미지

vim 학습을 더 이상 못하겠습니다

이번에 새프로젝트로 unity3d를 채택하고 어떻게 vim을 알게 됐고
vs code에 vim 플러그인 조합을 추천하길래 그 길로 7일째 학습 중입니다.
일단 vimtutor는 학습했고 기초적인 조작법은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 작업 하는 방식과 몇 부분이 짜증 나는 점이 생깁니다.

예를 들어서 저는 unity3d에서 작업을 하고 다시 에디터로 전환해서 코드를 짜고
다시 unity3d 에디터로 돌아와서 결과물을 하는 과정을 자주 합니다.
이와 더불어서 유사코드가 적힌 다른 에디터나 실시간 메신저로 개발 방향에 대해
채팅을 자주 하며 웹 브라우저에서도 알고리즘에 대한 검색이나 개발 프로젝트 때문에 Trello를 확인해야 하고요.

shint의 이미지

욕심쟁이 오리 아저씨 OP





욕심쟁이 오리 아저씨 OP 

 

요즘은 마영전이 보인다. ㅇ_ㅇ''

꽥꽥꽥꽥 - 드러 눕죠'''
욕심 부려도... - 욕심 부리죠. ㅡ_ㅡ;;
좋아해요. 사랑해요. - 하트 뿅뿅''
모험에 나라. 신비한 나라... ㅡ_ㅡ;; 그렇죠...
뒤뚱뒤뚱 찾아가죠... ㅡ_ㅡ;;
으르렁. 으르렁... 무서운 괴물이 나오죠...
하얀 마음. 착한 마음. 예쁜 둥지... 벤체너에 나무 둥지가 모여있죠... ㅡ_ㅡ;;
수수께끼 여행가죠... NPC 이상한 놈들... ㅡ_ㅡ;;

--------------------------------------

71284390423712492347129의 이미지

[수학공부] 하나하나 깊게 vs 빠르고 넓게

안녕하세요. 이제 중3되는 학생입니다. 얼마 전까지 수포자였는데 요즈음 수학에 관심이 생겨서 수학을 공부하려고 하는데요. 수학에 대해서 우리나라 수능 커리큘럼에만 국한되어서 사고하던 제가 운이 좋게도 Khan Academy라는 사이트를 발견했습니다. 미국 재단에서 개발하는 사이트라고 하는데, 제가 주워들은 걸로는 대학 2학년 정도 수준까지 무료 수학/과학/경제학 강의를 들을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지금 방학이라 잉여 시간이 많아서 그 시간을 때울 겸 ㅋㅋ) 수학을 공부하는 데, 우리나라 수학처럼 하나하나의 개념을 아주 깊게 파고 들어가서 기초를 차근차근 쌓는 식 (예를 들어 정석 10번보기..?)이랑 서양식 수학처럼 개념과 원리를 중요시하고 문제가 쉬운 방식으로 공부를 해서 빠르게 진도를 나가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수학 하고 있을 시간에 대학교 수준의 수학까지 그냥 진도를 나가는 방식?) 중에 어느 게 더 좋은 방법인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아, 물론 학교에서 배우는 수학은 또 따로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ㅎㅎ

Necromancer의 이미지

리눅스를 데스크탑으로 쓴다면

4K 모니터가 더더욱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작업 특성상 작은 터미널들 여럿 띄워놓고 이곳저곳 눈으로 돌아보면서 작업하니 편합니다.

윈도우처럼 여러가지 기능이 담긴 큰 창 하나 띄우고 쓰는경우가 많다면 한눈에 들어오는 Full HD가 더 적절하겠지만. 이클립스같은 기능많은 큰 프로그램이 주용도면 23~24인치가 적절할듯 합니다.

어제 주문한 와xx망x 40인치 와서 설치했고 신세계를 보았습니다.
참고로 그래픽은 인텔 내장입니다 ㅎㅎㅎ 하스웰부터인가는 모르겠지만 스카이레이크는 DP로 4K 60Hz 됩니다.

onion의 이미지

드디어 살았군요!!!!

1등은 제가 먹었습니다 ㅋㅋㅋ

모두들 고생하셨습니다!!! 그리고 새삼 감사를..(꾸벅)

rlaanfyd의 이미지

Server Failover Cluster 구축 교육을 받았으면 합니다.

Windows Server OS 기반 Failover Cluster 구성 과정에서에 대하여 유급으로 교육해 주실 분을 모시려고 합니다.
1. Failover Cluster 구성 개요
2. 가상 머신 기반 Server간 Failover Cluster 구축 예시
교육을 원하는 대략적인 내용 입니다.
가능하신 분은 mrkim@strato-it.co.kr로 문의 바랍니다.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