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cleansugar의 이미지

[중요]수학 부호를 미지의 기호로 만들어 계산하는 분야도 있나요?

48÷2(9+3) 논쟁이 한창입니다.

1 _ 2 = 3

_ = +

또,

1 _ 1 = 1

_ = * and ÷

이런 수학 분야도 있나요?

망치의 이미지

사내 공유기 어떤거 쓰세요?

iptime 공유기 쓰다가 트래픽 심해질때 뻗는 경우가 있어서.. 일반 PC 에 윈도를 설치해서 공유기로 사용중이었습니다.
이녀석이 맛이 가려고 하고 있어서 다시한번 교체하려고 하고 있는데요.

이번엔 제가 셋팅하게 될거같아서.. 아예 전용 공유기를 성능 좋은 녀석으로 하나 달던가,
안정적인 하드웨어로 구성해서 우분투서버같은 녀석을 설치해놓고 공유기로 쓸까 하고 있습니다.

그러던 와중에 공유기를 검색해봤는데.. 다나와 검색결과 3com 이나 시스코같은데서 딱히 와 좋다~ 할만한 공유기가 안보이네요. 제품도 몇개 없고..
사내에 PC 수십~수백대 운영하는곳에선 이런 게이트웨이를 어떤식으로 구성하고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단순 공유기는 아닌게 맞는거같기도 하고.. ㅡ.,ㅡ;

kws4679의 이미지

타인의 소스를 살펴볼때 조언 부탁드립니다

우선 잘 알고 있는 구조 하에서는 눈에 확 들어옵니다만

잘 모르는곳에서는 정말 보기 힘들더군요 코드가 잘 짜여졌든 아니던...

어쨋던 저보다는 실력이 더 좋으신 분이 짜신걸로 추정되는 소스를 보는데

생성자나 자동적으로 처리되는부분이 많아서 소스의 흐름을 따라가기 약간 힘들기도 한데

이런 경우 어떤 방식으로 보시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추가적으로 비쥬얼 스튜디오 기능에 대해서 정리되있거나 알수 있는 방법 없나요?

코딩 내용보다도 기타 디버깅이나 단위 테스트등 그런 기능을 좀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싶은데... 도움말을 봐야 하는지 감이 안잡힙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해킹 프로그램 어디서 구하나요?

그런거 왕창 모여있는 사이트 없나요? 하나 추천해주세요. 그리고 해킹하려면 리눅스를 잘해야 한다는데, 왜 그렇죠?

리처드 스톨만, 케빈미트닉에 대해 알아보다가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ㅎㅎㅎ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드래곤볼의 스카우터 만들어 주실 분.

안경쓰면 너무 불편한거 같아요. 안경을 좀 더 실용적으로 만들 수 없을까요? 스마트한 안경이 필요합니다. 즉 스카우터라 할 수 있겠죠.

speed-racer의 이미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프로그래머?)가 미국에서 최고의 직업이라니

커리어캐스트닷컴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미국 최고 직업으로 꼽았습니다.

http://www.careercast.com/jobs-rated/10-best-jobs-2011

순위권에 든 직업들을 보아하니 수학과 프로그래밍이 잘 나가는 것 같네요.

2011년 미 직업순위:

1.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2. 수학자

3. 보험계리사

4. 통계학자

5. 컴퓨터 시스템 전문가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최근에 여기저기 게시판에서 광고되고 있는 경매 사이트 주의하세요

최근에 여기저기 게시판에서 광고되고 있는 짜증나는 경매 사이트들...
굳이 이름을 안밝혀도 이미 충분히 유명해진 몇몇 경매 사이트들 다 아시지요?

아래 신문기사 참고하시고 주의하세요.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10408120403

red10won의 이미지

수학의 암묵적인 룰이라

밑에 예제는 이거랑은 다른거죠 ?

0.9999999999999... = 1

0.33333333... = 1/3이고

1/3 + 1/3 + 1/3 = 0.99999999... =1

0.99999.. 무한반복되는거랑 어떻게 1이 같냐고 하지만
분수화 시켜보면 증명은 되거든요...

kkb110의 이미지

이렇게 중요한 '실해석학'을 왜 대학원까지 와서야 듣게 됬을까요. ㅠㅠ

학부때 수학은 부전공이였고 지금은 수학석사를 하고 있는데요.
그동안 이렇게 '실해석학'이 중요한건지 전혀 모르고 있었습니다. 왜 학부때 안듣고 이제와서야 듣게 됬는지..
제가 들었던 과목중엔, 단연 가장 '수학스러운' 수학 같군요. 모든 수학을 사용하는(이공계생들)에게는 필수과목이여야 하지 않나 싶을정도로요, 아니면 고등학교 이과 교과과정에..

"이건 학부때 절대적으로 들어야 하는 과목이다..." 같은건 또 어떤게 있을까요?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