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찌질한 앱등 개발자를 어찌할까요?

삼성에 솔루션파는 업체 개발자란 사람이
자기가 앱등이라고 아이폰 앱부터 만드로 안드로이드는
시간되면 만들어보겠다고 하는데 참 뭐라고 해야하니요?

같이 솔루션제안을 하자면서 고객앞에서 저딴 개발자를
보내서 미팅하는 그 회사 사장은 어찌해야할까요???

이건 무슨 담배회사 영업사원 뽑는데와서는 저는 담배가 몸에 해로와서 안핍니다... 하는 애도 아니고...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아이피 주소를 따낼 수 있다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이랑 이메일을 주고 받을 때나 메신저로 대화할 때 상대방이 자신의 아이피를 딸 수 있다고 알고 있는데요, 혹시 이런 포럼에다 글을 써놔도 운영자 아닌 일반인이 아이피를 알아낼 수 있나요? 트위터로 디엠보내거나 그냥 트윗 날릴 때도 아이피가 노출되나요?

세벌의 이미지

세벌사랑넷 연결 안 됨 -.- 일시적 현상

linuxstudy.pe.kr 연결이 안 되고 있습니다.
sebul.sarang.net도 그 서버를 쓰는 거라서 세벌사랑넷 역시 안 되고 있습니다.
세벌식 정보야 거기 아니라도 많은데, 김프 설명서 번역 파일은 ....
일시적 현상이기를...
전에도 연결 안 되다가 다시 복구 된 적이 여러번 있으니 희망을 가지고 기다리고 있긴 합니다.

다행... 일시적인 현상이었네요. 지금은 잘 되네요.

amekist의 이미지

안녕하세요, 임베디드 취업에 관련하여 여쭤볼게 있어서 글을 올립니다.


먼저 이런 재미없는 글 올리게 되서 죄송하다는 말씀을 먼저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되도록이면 이런 글을 쓰지 않으려고 했는데, 생활이 걸려있는 문제다 보니 염치불구하고 키보드를 만집니다.

저는 지방대 4년(26세) 재학중인 취업 준비생입니다.

임베디드 쪽으로 취업 준비를 하고 있는데, 그러나 생각보다 취업이 녹록치 않아 다른 분야 회사에까지

이력서를 넣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는데요

얼마전 베리폰이라는 회사에서 신입 개발자를 채용하는 글을 보게 되었습니다.
(링크: http://www.jobkorea.co.kr/List_GI/GIB_Read.asp?GI_No=10058569)

일단 지원하고자 하는 마음은 굳혔는데, 채용조건에 정직원이 아닌 "계약직 2년" 후 정직원 전환 검토라는 항목이 있네요.

PrimeMin의 이미지

익명 글좀 막았으면...

거의 눈팅만 하다가 요즘에는 올라온 글에 댓글만 가끔 달고 있습니다만,
익명 게시물 허용으로 인해 근래에 자유 게시판에 멘탈을 자극하는 글이나 개개인의 분노를 표출하는 글이 눈에 띄게 많이 게재되는 듯 합니다.
이런 글이 점유율을 높여가면 근시안적으로는 게시판이 조금 북적거릴 수 있으나,
조금 지나면 그 수위가 높아져 결국 KLDP를 위한 생산적인 글들은 묻히거나 올라오지 않게됩니다.

운영자님! 익명 기고. 이거 좀 생각해 봐야하지 않을까요.

jachin의 이미지

흐음... 밥은 먹고 다니냐?

쓰레기 삼류 스포츠 기사 찌라시 제목 전문가 jachin입니다. 제목은 이렇게 썼지만, 실제 내용과는 관련없으면서도, 묘하게 관련을 갖는 내용이 되겠습니다.

요새 정치, 경제 부분의 글들이 심심치 않게 올라옵니다. 물론 관심을 갖을 만한 이야기이기도 하겠지요. 하지만, 그런건 될 수 있으면 뇌이쁜 분들의 포탈이나, 앞으로 다가올 분들의 포탈 뉴스 서비스에서 답글 달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기술자라서 정치에 무관심하다느니, 경제와 관련이 없겠느니라는 얘기를 듣고 싶은건 아닙니다. 소식은 당연히 듣고, 엄연한 감상을 쓸 수 있겠지요. 상대방의 비방? 네. 전 비방 좋아합니다. 싸우자고 덤벼드시면 무슨 일이 생길지 일부러 쓰지는 않겠습니다.

poplinux의 이미지

patch 의 목적이 무엇일까요?

질문 올리는 것이 쑥스럽습니다.

사내 개발 정책 때문에 의견 충돌이 많이 있어서 조언을 구하고자 글을 올립니다.

예를 들어 open source 인 rtsp.1.0.tar.gz 을 가져다가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제가 지금까지 사용한 개발 방식은 서브 버전에 등록하여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개발을 해왔습니다.

r1 : rtsp.1.0 등록
r2 : tcp.c 수정하여 commit
r3 : udp.c 수정하여 commit
r4 : connect.c 수정하여 commit

새로 작업할 내용이 있으면 r4 를 check-out 해서 계속 이어가면 되겠지요? (이게 일반적인 방법일듯)

새로운 개발 방식을 적용하자는 강력한 의견이 나왔는데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삼레기의 언플은 대단하군요

삼레기의 언플은 글로벌하네요.
http://media.daum.net/digital/view.html?cateid=100031&newsid=20111116115711931&p=seouleconomy
엔가젯이나 기즈모도도 아닌 듣보잡 댓글도 달 수 없는 가트너라는 기사에 묻어서 절묘하게 시장점유율이 높다고 그러네요.
글로벌하게 언론장악하는데는 도가 튼놈들임

freemckang의 이미지

익명사용자의 접근이 필요한건지 궁금하네요.

KLDP에서 주로 눈팅이나 검색만 하는 유저지만.. 요새는 정말 가관도 이런 가관이 없다고 할 정도인 것 같네요.

ID를 걸고 하기 힘든 끝장토론(?)의 경우에나 익명사용자가 유효하겠지만, 그밖에 내용들에 대해서 익명사용자가 유효한 이유가 있을까요?

뭐... 리눅스 관련 어느 community를 가나 느끼는 것이지만, 10여년 전의 KLDP가 그립네요~~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