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눈이 오네요~

차량 이동하시는 분들 조심하시길~

gokore의 이미지

OS에 대한 지식없이 Device Driver를 짜는 것이 가능한가요??

교수님께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공부해보라고 권유해주셔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보고있는데요

아무리 봐도 무슨이야기인지 잘모르겠습니다.

그래서 교수님께 제가 OS에 대한 지식이 없어서 잘 이해를 못하고 있다라고 했더니

교수님께서

OS를 몰라도 할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3개월을 공부해본 지금 이게 정말 사실일까라는 의문이 드네요 ;;

다른 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pogusm의 이미지

구글이 조금 이상합니다.

"김태희"라고 검색을 하면
http://www.google.co.kr/search?complete=1&hl=ko&q=김태희
요렇게 되는데

이상태에서

"이미지"를 누르거나
"동영상"을 누르면

"q=김태희" 라는 검색어가 상속?되어지는데

얼마전부터

"뉴스"를 누르면 검색어가 상속되지 않고
구글 뉴스 메인으로 이동합니다.

이거 왜 이런걸까요? 제가 무언가 설정을 잘못 건드린걸까요?
아니면 국내 법때문에 저렇게 된걸까요?
아니면 구글 자체 정책변경때문에 저렇게 된걸까요?

익숙했던게 바뀌니까 은근히 불편합니다.

지리즈의 이미지

디아블로3의 현금거래에 대한 생각

법률상 게임아이템의 현금거래를 금지할 수 있는 근거는 사행성에 관련된 부분이다.
실제, 자신의 음원을 mp3로만 판매하는 것과 게임아이템을 판매하는 행위는 실질적으로는 동일한 행위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음원판매는 허용하면서 게임아이템 판매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는 것은 온라인 도박하고 연결되기 때문이다.
도박을 법률적으로 금지할 수 있다는 것이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지 여부는 사실 내가 언급할 수 있는 문제의 것은 아니다.
다만, 도박에 대한 금지가 합헌일 경우 디아블로3의 아이템 판매 또한 금지되어야 함에 대해서 나 자신은 동의한다.

다이블로3가 사행성 게임일까? 사실 아니다.
그러나 100% 아니라고 할 수 없다. 실제로 사용자가 특정 아이템을 취득하는 과정에서 확률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게임등급위원회가 고민하는 것은 이것이다.

jseongtae76의 이미지

우분투와 페도라 고민이네요ㅎㅎ

Windows랑 멀티 부팅을 하려고 합니다ㅎㅎ
원래 우분투만을 2년 동안 사용하다가 드디어 Windows로 컴백했는데 그래도 리눅스는 버릴 수가 없어서 가상에 돌리고 있는데
이것 참 너무 느리네요ㅠㅅㅠ (SSH밖에 안 쓰지만ㄷㄷ)

그래서 멀티부팅을 하려고 하는데
페도라 16과 우분투 11.10 고민이네요ㅎㅎ

페도라 16은 몇 번 빼고는 사용해보지를 않아서 커맨드도 잘 모르고 설치 후 뭘 셋팅해야하는지도 잘 모르지만
이거 참;; 우분투를 2년간 쓰고 페도라 리뷰를 보니ㅋ 왠지 끌리네요ㅎㅎ (우분투에 살짝 질린지ㅋㅋ)

무엇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요 (페도라는 한글 폰트 가독성이 잘 안 좋은걸로 압니다만ㄷㄷ)(해결 방법이 있기를

그리고 페도라에 대해 조금 더 알 수 있는 사이트랑 페도라 공식 IRC와 페도라 한국 IRC 채널명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ㅎㅎ(Freenode 기준)

여러분이라면 무엇을 선택하시겠습니까ㅎ?

nickcave의 이미지

실생활에 도움이 될만한 프로그래밍 언어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제목처럼 실생활에 도움이 될만한 프로그래밍 언어는 무엇일까요?

회사에서는 거의다 C 로만 작업하고 가끔씩 Java를 사용하는데요,

회사일이 아닌 집에서 재미삼아서 혹은 컴퓨터를 좀더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언어 (스크립트?)는 무엇일까요?

감사합니다.

cleansugar의 이미지

언어학에서 단어의 전파 속도를 구하는 방법이 있습니까?

언어학에서 단어의 전파 속도를 구하는 방법이 있나요?

요즘 빅데이터 시대가 열려서 다량의 문서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걸로 신조어, 유행어, 은어, 외래어가 사용되는 양을 분석할 수 있을텐데요.

예전에 케이엘디피에 잠깐 적었듯이, 시간 정보까지 이용하면 속력, 속도, 가속도, 질량, 충격량 등도 구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반대로 사용되지 않는 낱말도 분석할 수 있고요.

언어학에서 이런 걸 연구한 사람이 있을 법도 한데 실제로 그런가요?

언어물리학이라고 해야 되나요?

oosap의 이미지

클라우드 사용시 파일의 보안 유지 방법이 있을까요?

다음이나 KT ucloud 같은 클라우드를 사용하는데요, 서비스 업체에 제 파일들이 올려진게 왠지 보안위험이 클 것 같습니다.
파일이나 폴더를 암호화 해두면 보안 위험이 덜할 까요?

가상서버나 호스팅 서비스의 경우는 보안 위험이 마찬가지로 높을까요? 고객 허락없이 서비스 업체에서 무단으로 내용을 열람하기도 하는지 궁금합니다.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