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cleansugar의 이미지

은행이나 카드, 보험, 증권사가 API를 제공하면 혁명적인 변화가 일어날 겁니다

은행에서 API를 제공하면 결제 대행사를 거치지 않고 결제가 될텐데 하는 아쉬움이 많이 듭니다.

은행이 API를 제공하면 누구나 작은 은행을 설립한다거나,

모여서 소규모 은행을 설립할 수도 있습니다.

그 은행에서 송금하면 수수료도 절약됩니다.

여신 업무도 다채롭게 될테고 금리도 다양해질 겁니다.

다만, API 수수료를 걷지 않는다면요.

상상할 수 없을만큼 다양한 금융 서비스가 생길 겁니다.

은행, 카드, 보험사의 너무나 복잡한 상품들도 소비자 입장에서 자동으로 이익을 분석해서 이른바 "금융회사가 당신에게 알려주지 않는 진실" 시리즈류의 사기가 줄어들 수도 있겠죠.

요즘 DRM이 각광받고 있지만 미래의 DRM은 금융계 소프트웨어 규제에도 관여해서 헤게모니를 유지하는데 기여할 겁니다.

GNU의 장기적 목표 중 하나가 금융 시스템입니다.

금융, 경제와 오픈소스에 해박한 사람이 미래에 나올법한 이런 서비스를 구체적으로 예견하는 책을 내줬으면 좋겠습니다.

cleansugar의 이미지

힘바족은 색을 인식하는 방법이 우리와 다르다고 합니다

"우리가 모르는 색의 진실"이라는 해외 다큐를 보니까 힘바족이라고 색 인식하는 방법이 우리와 다른 부족이 나옵니다.

힘바족은 아래의 색 중에 다른 색을 인지할 수 있습니다.

RGB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boingboing.net/wp-content/uploads/2011/08/ring1-RGB.jpg

http://boingboing.net/2011/08/12/how-language-affects-color-perception.html

shint의 이미지

[구직] 청주 - 응용 프로그래머

//
근무지 : 청주 재택 근무
기간 : 프로젝트 하나당 3~ 6개월이상

//
단기 개발 하지 않습니다.
불법 음란 퇴폐 악업 개발 하지 않습니다.

//다뤄본 언어
- Visual C 중간
- ActionScript 2.0 중간
- PHP 조금
- Qt 조금

//연락처
네이트 shintx@nate.com
메일 shintx@naver.com
집전화 043-908-6046
엄마전화 010-4311-1025 으로 연락주세요.

nasu의 이미지

님들은 개인컴퓨터에서 윈도즈를 쓰나요?

드라마 유령 보다가 갑자기 궁금해졌어요 ㅎㅎ
윈도즈가 워낙 안전성이 강하진 않아서 지금 리눅스로 바꿀가 생각중인데
리눅스 소프트웨어가 넘 적더라구요 ㅠㅠ
님들은 어떤 플랫트폼 쓰시나요?

Stand Alone Complex의 이미지

오래된 글 내용을 지우려고 하다보니 도배를 해버렸네요. 죄송합니다.

많은 시간이 지나 의미없거나, 잘못 답변을 단 글의 내용등을 지우고 있었습니다.
새 글로 올라올지는 생각지 못했네요.
게시판을 도배해서 정말 죄송합니다.

cleansugar의 이미지

모니터 mtbf는 인증기관이 있나요?

한 회사의 모니터 중에 mtbf 5만시간이 있는 제품과 없는 게 있는데, 없는 건 5만시간이 안된다는 소리겠죠?

인증기관이 따로 있나요?

권순선의 이미지

KLDP 운영을 위한 상면 공간을 지원해 주실 곳을 찾습니다.

현재 KLDP 서버들은 네오위즈에서 제공받은 상면 공간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네오위즈에서 더이상 상면 공간을 지원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어 부득이하게 상면을 제공해 주실 곳을 찾습니다.

가장 이상적인 환경은 랙을 하나 통째로 빌려 주시는 것입니다만 1U 서버 혹은 2U 서버 4대 정도를 놓을 수 있어도 좋습니다.

현재 이용중인 상면 공간은 7월 말까지 이용할 수 있어 그 전에는 새로운 곳을 찾아야 합니다.

어떤 도움도 감사히 받겠습니다. 지원해 주실 수 있는 분이 계시다면 kss(at)kldp.org 와 oops(at)kldp.org 로 동시에 메일을 주시기를 부탁 드립니다.

그리고 이 기회를 빌어 오랜 기간 동안 귀중한 상면 공간을 제공해 주신 네오위즈 측에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태훈의 이미지

커널 프로젝트에 autotools 적용

오픈 소스 프로그램을 쓰다 보면 가장 많이 하는 작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configure
$ make
$ sudo make install

위와 같이 대다수의 오픈 소스 프로그램들이 autotools를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는대요.
그래서, 저도 지금 하고 있는 DINOS 커널 프로젝트에도 적용 시켜 보면 어떨까? 라고 종일 autotools 적용에
대한 득과 실을 고민했습니다. autotools tutorial을 보면서 toy project를 autotools 기반으로 만들어 보기도 했고요.

리눅스 커널과 비교하면 make menuconfig에 해당하는 작업을 대다수의 오픈 소스 프로그램처럼 ./configure 로
하게 되는 것이죠.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