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snowall의 이미지

파이어폭스 17

저는 파이어폭스 Nightly빌드를 쓰는데 요새 버전 올라가는 속도가 정말 빠르네요. 최근의 경향이기도 한 몰래 업그레이드하기가 추가되어서 잠깐 신경 안썼더니 어느새 메인 버전이 두칸 올라가 있네요.

속도도 점점 빨라지는 느낌이고... 좋군요. 탭 표시줄 이외의 다른 것들을 모두 없애버릴 수 있는 것이 가장 마음에 듭니다. 심지어 창 최대화 상태에서는 검색창이나 주소창까지도 탭 표시줄로 밀어올려서 더 넓게 쓸 수 있죠.

크롬이 무섭게 성장하고 있지만, 저는 파폭이 정말 좋네요. 다들 웹 브라우저는 뭘 쓰시나요?

kelven의 이미지

우분투한국커뮤니티에서 7월 정기세미나를 개최합니다.

2012년 7월 한국우분투커뮤니티 정기세미나 행사 안내입니다.

장소 : 서울 마포구 상암동 누리꿈스퀘어 비즈니스타워 4층 대회의실
시간 : 2012년 7월 28일 토요일 오후 1:00 ~ 오후 5:30
참여대상자 : 제한없음(우분투 사용자 아니어도 전혀 상관없습니다)
행사기념품 : 지식, Cobuntu 12.04, eBuntu 12.04

진행순서
- 행사 소개 및 인사
- 첫번째 이야기 : 커맨드라인 유틸리티 소개와 eBuntu와 함께하는 임베디드 개발 이야기 - drake_kr님
- 두번째 이야기 : Proxmox, 가상머신에 대한 추억 - Readytoact님
- 세번째 이야기 : 우분투 부팅 과정에 대한 이야기 - 박진호님
- 네번째 이야기 : 여성 개발자로 살아온 인생 - 전수현님
- 다섯번째 이야기 : 웹 접근성에 대한 이야기 - 조채연님
- Give & Take : 집에서 안 쓰는 하드웨어나 책 또는 장난감 가져오시면 좋습니다.
- 마무리 인사

freezm7의 이미지

국내에서 해외 클라우드 EC2, Azure 쓰기.. 참 고민이네요...

국내에서 아마존 EC2 나 MS Azure에 서버를 구축했을 때

네트워크 속도가 가장 문제가 될것 같은데요...

경험해보신분 있으신가요???

아니면, 국내 클라우드 중에 제대로 된 클라우드 있으면 추천좀 부탁드릴께요...

ldh3013의 이미지

혹시 스마트폰에도 PC의 BIOS같은것이 존재하나요?

PC는 OS가 뜨기전에 먼저 BIOS가 로딩되어서 장치인식을 하고 부팅하듯이...
안드로이드나 윈도우폰 스마트폰도 전원을 켜면 먼저 BIOS를 로딩한다음 OS를 구동시키나요?

그리고 궁금한것중에 PC는 BIOS만 살아있으면 시스템 사양이 되는한 윈도우,리눅스,BSD,DOS 등
다양한 운영체제를 설치가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멀티부팅도 가능한데, 스마트폰은
예를들어보면 기존에 윈도우폰7이 기 설치되어있는 기기에서 윈도우폰7OS를 지우고
안드로이드같은 OS를 설치하는건 아주 불가능한것일가요?

ldh3013의 이미지

ARM AP는 x86이랑 비교하면 IPC성능이 어느정도 되나요?

요즘 나오는 스냅드래곤S4나 엑시노스 4xxx대, 오맵44xx대 CPU들은
거의 동클럭대의 코어2 듀오랑 비슷한 성능을 낸다고 하는데
테그라,오맵,엑시노스,스냅드래곤 등 ARM AP를 동 클럭 x86 CPU에 대응한다면
어느정도의 성능일까요?

아무리 못해도 동클럭 P6아키텍처 펜티엄M보다는 좋을것 같은데, 어느정도 성능일까요?

emptynote의 이미지

[푸념] 자바가 왜 자바 빈즈 어쩌구 했는지 이제서야 이해가 가네요.

개인 프로젝트 하면서 동적 클래스 로딩으로 IO 를 재 로딩 할려고 하는데,

동적 클래스 로딩 + 리플렉션 + 자바빈즈 가 몽땅 한 묶임임을 이제서야 알겠네요.

인터넷에 다 있지만 왜? ㅠ.ㅠ 따로 국밥식으로 이야기해서

사람 한 순간에 바보로 만드는가? 남탓만 하는 비겁한 변명을 해 봅니다.

자바는 하이브리드 언어로서 인터프린터 언어 특성도 가졌는데,

동적 클래스 로딩을 다루면서 편의성이라는 면에서 자바 스크립트 eval 이 정말로 부럽네요.

리플렉션으로 n 차원을 가지는 데이터 구조를 다루는것은 적당하지 않을것같아,

n 차원을 1차원으로 다루는 {key,value} map 으로 전환을 해야겠네요.

다만 제가 생각하는 map의 단점은 VO 연결성이 없다는것인데요.

이점은 기존 VO 처럼 작성을 하고 키값을 파싱해서 리플렉션으로 항목명 검증을 하면 어떻까 생각이 드네요.

리플렉션이 속도가 늦기때문에 개발 서버에서만 설정파일로 on 시켜주고 리얼 서버는 off 시켜주면 좋지 않을까 합니다.

지리즈의 이미지

지존 슴가

현금으로 석장에 팔렸다고 하더군요...

디이블로3 열풍이 지나갔는데

디이블로3 많이들 하셨나요?

저도 많이 하지는 않지만,

동창들하고 주말마다 틈틈히 같이 즐기는데

상당히 재미있네요.

shint의 이미지

hex 값으로 역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
아침에 이런게 생각나서 만들어봤습니다.
제가 머리가 좋은건지. 아니면. 누가 암시로 알려주는건지... ㅡ_ㅡ;;; 누구나 다 아는건지 모르겠지만.

이렇게 되면 압축이나 암호화와 복호화가 쉽게 가능하게 되는데요.
이런걸 무슨 방식이라고 하나요?

생각해보니. 제가 착각했네요. a b c 값을 모르는데 말이죠. ㅡ_ㅡ;;; 어쩐지...

hernian의 이미지

[질문] IT 재직자 교육 괜찮은거 없나요?

안녕하세요
개발자로 일하고있는 송호준 입니다.

혹시 IT 재직자 교육중에
무료나 좀 저렴한 50만원대 이하 괜찮은 교육센터 없나요?

서울 근교에

인터넷 처보니 죄다 광고네요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