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가 지금처럼 발전하게된 것은 처음부터 지금까지 나눔과 자유를 실
천해왔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수요는 시장을 만들고 시장은 자본
을 부른다. '나눔과 자유'의 결실을 상품으로 하는 기업 자본은 어떠해
야 할까? 이건 좀 복잡하다. 자본은 양면을 가진다. 그로 인해 사용자의
편리와 유용성을 보태주는 능력도 있으며, 그로 인해 본질을 홰손하는 측
면도 있다.
자야 겠어염. ㅠ_ㅠ
몇일덩안 6시까디 노느라 잠을 못 잤더니...
옴 몸이 쑤시는게...
죽을 맛이네염...아이고... 내 허리...내 무릎... ㅡㅡ^
요즘 뜨개질 하는게 유행이 됐다네염.. ㅡㅡ^ 나 이거참...
여자친구한테 목도리 하나 떠 달라구 하세욤... ㅡㅡ^
설마 맞기야 하겠어요... ㅡㅡ^
아마더 저처럼...늑대목도리 넘 비싸서 뜨개질 하고 있는
여인네가 있을지더 멀라용...
목도리 3~4일이면 다 따요...
백조라면 2틀이면 끝...
그렇다구 너무 쉽게 생각하믄 절대 안됌~!
1. (주)유니워크에서도 제스트리눅스라는 이름으로
데비안리눅스를 판매하고 있는데 여기서 판매하
는 데비안리눅스 potato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커널 버전은 정확히 어떻게 되고 한글 지원은 어느
정도인지 한글 글꼴은 어느 정도 다양한지, 포함된
패키지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2. 외국에서도 데비안 공동체에서 데비안 CD 제작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