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injun000의 이미지

라즈베리파이 클러스터를 이용한 snort IDS/IPS 구현 어떻게 생각 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정보보안을 전공하는 학부 4학년생 입니다.

이번 전공연구 프로젝트로 라즈베리파이 클러스터를 이용한 snort IDS/IPS 구현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사진은 예시를 든것으로 아직 LVS라던지 세부 구성은 미정입니다.

이 프로젝트가 실용성이 있을만큼 성공한다면 약 40-~50만원 정도로(6노드) 저렴하게 보안장비를 구축할수 있지 않겠나 하는 망상을 해보고 있습니다.

제가 질문드리고자 하는것은 종합적으로 말하면 '과연 이것이 가능한가?' 입니다.

기본적인 파이 클러스터링 관련 자료는 구글에 정말 많이 나오는편입니다만 그 클러스터에 snort, bro, Suricata 등의 오픈소스 IDS를 올린 사례를 찾기가 너무 힘이 듭니다.

저는 기본적인 리눅스 제어와 시스템 프로그래밍, MPI의 개념이나 클러스터링의 개념, IPS.IDS의 개념 정도를 알고 있는 상태이며 오픈소스 IDS의 구성을 계속해서 보고 있으나

제가 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를 하다못해 비슷하게나마 진행한 사람이 없어 시작 전 자료 수집단계부터 많이 힘이 듭니다.

슈퍼공돌이의 이미지

인터넷 속도 문제

안녕하세요...

대학원에서 비디오 스트리밍으로 졸업논문을 쓰려는

컴알못 석사과정학생입니다.

학교가 기가비트 이더넷이 된다고해서 철썩같이 믿고 있었습니다.

우분투 명령어로 인터페이스 확인해도 기가비트 이더넷 나오고요.. 이게 좀실수였던것 같습니다.

어떤컴퓨터는 회선폭이 넓고 어떤 것은 좁고해서 너무 이상해서

iperf로 컴퓨터간 검사를 하니 학교 전산실은 기가 비트 이더넷이 확실하고

연구실 내에 컴퓨터는 몇대끼리는 기가비트 이더넷, 몇대는 100Mbps이네요..

일단은 구형 스위치를 모조리 바꿔볼생각인데

또 의심되는게 인터넷 케이블입니다.

연구실이 오래되서 CAT5 케이블이 있을수도 같은데

이걸 검사할수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요즘 연구환경떄문에 뒤통수 받으니 너무 울쩍하네요

param123의 이미지

arm cortex-a9과 관련해서 참고할 만한 책 추천해주세요~

인터넷으로 검색해서 공부하려니
한계가 있네요.

zybo보드에서 arm cortex-a9이 있는데
인터넷 검색만으로는 힘드네요~ㅠㅠ

alswlek의 이미지

'

'

leenowon97의 이미지

공학교육인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저는 올해 대학 신입생인데, 1학년부터 자동으로 공학교육인증이라는 것이 신청이 돼있네요. 이 공학교육인증에 대해서 검색을 해보니 설계과목을 수강하면서 깊이있게 공부할 수 있고, 국내 기업 취업시 도움이 된다고 하는데, 저는 사실 해외 취업에 관심이 있고, 대학교에서는 전공과목을 포함해서, 여러가지 교양과목들(예를 들어 사회나 음악쪽)을 공부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공학교육인증을 신청하게 되면, 개인 공부,그리고 교양 과목을 수강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해진다고 해서 포기할지 말아야 할지 걱정이 됩니다. 여러분은 공학교육인증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oddman621의 이미지

FPGA, 취미로써 어떻습니까?

본래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지향하고 있지만

최근 ATmega에 빠져 임베디드 분야를 공부하던 중

FPGA라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상당히 매력적인데, 그만큼 어려워보입니다.

소프트웨어 개발공부를 하면서 동시에 FPGA를 공부하는 게 꽤 무리로 보이는데

본격적인 진로로써가 아닌 흥미 위주로 하는, 말 그대로 취미정도의 FPGA 공부

말이 좀 이상하게 되었는데 FPGA 입문 난이도 많이 어렵나요?

param123의 이미지

fpga용 보드로 코딩을 하고 있습니다.

그냥 생각처럼 되질 않아 답답해서 글이나 써보겠습니다.

입력으로 들어온 펄스의 폭을 재기위해
타이머로 스타트, 스탑 기능으로 잴려고 하는데
마음처럼 되질 않네요.

그리고 예전에 같은 팀원이
술먹다가 하는말이
"형은 좋은 사람이네요. 프로그래머는 하지 마세요"
라는 말을 듣고 나서 더 힘이 빠지네요.

같은 팀원이라 괜히 시비 걸어봤자 팀 분위기만
좋지 않을뿐더러 저보다 잘하는 동생이라 따지지도 못하겠네요.

에휴~ 이런저런 넋두리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ㅠ

param123의 이미지

fpga용 보드로 코딩을 하고 있습니다.

그냥 생각처럼 되질 않아 답답해서 글이나 써보겠습니다.

입력으로 들어온 펄스의 폭을 재기위해
타이머로 스타트, 스탑 기능으로 잴려고 하는데
마음처럼 되질 않네요.

그리고 예전에 같은 팀원이
술먹다가 하는말이
"형은 좋은 사람이네요. 프로그래머는 하지 마세요"
라는 말을 듣고 나서 더 힘이 빠지네요.

같은 팀원이라 괜히 시비 걸어봤자 팀 분위기만
좋지 않을뿐더러 저보다 잘하는 동생이라 따지지도 못하겠네요.

에휴~ 이런저런 넋두리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ㅠ

steephumor의 이미지

삭제

삭제

jj4st13의 이미지

졸업작품 주제좀 봐주세요

지금 교수님이 추천한 주제랑 생각한거 다른 추천받은 주제가

교수님 침입탐지 시스템
추천 라즈베리파이 클러스터를 이용한 브루트포싱
생각 패킷조작 도구

이렇게 3개가 있는데..
침입탐지 시스템은 처음부터 구현하기는 시간상 힘들꺼 같고..snort를 이용해서 구축한 후 다른 부가기능들을 넣어야 할터인데 어떤걸 넣어야 할지 감이 안잡히고
클러스터를 이용한 브루트포싱은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는데 비용층면에서 ㅜㅜ
패킷조작도구는 만들기 어렵진 않을꺼 같은데 Raw 소켓으로 옵션넣어서 값만 넣으면 되니...

이 중에 졸작으로 어떤걸 해야 좋을까요.. 혹은 다른 추천할 것 있나요??
네트워크 보안쪽으로 주제를 잡고는 싶은데.. 마땅히 떠오르는 주제가 없네요 ㅜㅜ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