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320GB+500GB의 하드 파티션,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글쓴이: klara / 작성시간: 수, 2007/07/11 - 4:46오후
현재 320GB의 하드를 가지고 있는데, 최근 용량의 압박에 시달려 500GB를 추가로 구입하여 오늘 도착할 예정입니다.
320을 하나 더사서 RAID를 짤가 했는데, 귀찮아서...;
지금까지는 320GB에 순서대로
root용(ext3) 20GB
swab용 2GB
윈도용(ntfs) 30GB
자료 저장/백업(fat32) 나머지
이와같이 파티션을 나누고 썼었습니다.
여기에 500을 더 달때, 파티션을 어떻게 하는게 좋을지 모르겠네요.
일단 지금 생각하는 것은, 320쪽에 운영체제를, 500쪽은 순전히 자료 저장용으로 할려고 생각했는데요...
윈도랑 리눅스를 한 하드에 파티션 나눠 까는것보다는 다른 하드에 까는게 좋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어서 각각의 하드에 윈도와 리눅스를 깔까 하는 생각도 있는데요...그런데 이렇게 되면 500GB쪽에 자료를 다 밀어 넣는게 불가능해져서, 외장하드로 빼서 쓰거나 할수가 없게 되네요...
어떻게 파티션을 짜는게 좋을까요?
아, 그리고 우분투를 설치할때 root만 따로 지정해주면 나머지는 다 알아서 되던데, root, boot, home, usr, var, etc...등을 다 따로따로 파티션을 짜주는게 좋다는 이야기도 들은 적이 있는데, 한 파티션에 하는거랑 다 따로 하는거랑 어떤 차이가 있는 건지 모르겠네요..
혹시 가능하시면 이쪽도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Forums:
swap 2G?
왜 swap partition이 2G나 되는거죠?
물론 워낙 하드 용량 남아돌아서 2G 정도야 티도 안나겠지만..
굳이 서버 아닌이상 그냥 데스크탑으로 쓸꺼면, swap은 2G까지 필요가 없을텐데요..
이미 swap이 1G이상 쓰이고있다는거 자체가 (데스크탑 기준으로) 메모리 여분이
적어서 많은 속도 저하를 느끼고 있는 상황일텐데
swap 늘려봤자 그닥 속도 향상이 될것 같지도 않고, 차라리 메모리를 늘리시는게..
어쨋든 2G 스왑은..하드공간 낭비인거같은..
maximum 1G 면 충분하다고 생각하네요..
아...주워들은게
아...주워들은게 '스왑은 실제 메모리의 두배' 라는거라서 지금 메모리가 1기가니까, 2기가로 잡은 것인데...
1기가만 잡아도 되는 것이었군요-_-;
답변감사합니다.
파티션을 나누는
파티션을 나누는 이유는 만약 그 파티션이 망가져도 다른 파티션에는 영향이 없기 때문이죠.
예를 들면 하나의 파티션에 home, etc, var 등을 디렉토리로 만들었을경우
파티션 망가지면 모든 정보가 사라질 수도 있지만 각 파티션별로 나누었을 경우에
그 파티션이 망가져도 다른 파일시스템에는 영향이 없기 때문입니다.
물론 하드디스크가 망가지면 낭패;;
그렇군요. 딱히
그렇군요. 딱히 시스템 복구할줄도 몰르고 문제있음 포맷해버리는 저같은 경우는 그럼 딱히 파티션을 나누는데 큰 의미는 없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예전 경험상 root를
예전 경험상 root를 통짜로 썼었은데... 정전으로 /tmp, /var 쪽 파티션들이 자주 깨지는걸 봤습니다... 아마도 write를 빈번히 해서 그렇지 않나 생각하는데... 걔네들은 따로 만들어주는게 좋을듯 합니다.
tmp도
tmp도 있었군요-_-;;
아무래도 아직 전부 파티션 따로해서 관리할 만큼의 능력은 못되는 듯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데스크탑 용도로
데스크탑 용도로 사용하시는 것이라면 그냥 통짜로 쓰는게 편합니다.
var, home etc boot 등 나누면 다른 분 말씀처럼
파티션 망가져도 별 신경쓰지않고 처리할 수 있어 좋긴한데
설정에 익숙하지 않으시면 grub이나 mount등 작업하실 때
좀 귀찮죠...
굳이 나눈다면 /와 /home 정도?
설정에 익숙하거나
평소에 복구 및 설정을 출력해놓는다면야... 상관없지만...
---------------------------
Smashing Watermelons~!!
Whatever Nevermind~!!
Kim Do-Hyoung Keedi
----
use perl;
Keedi Kim
말씀하신대로 익숙치
말씀하신대로 익숙치 못합니다-_-;
그럼 그냥 지금까지 쓰던대로 스왑이랑 루트만 나눠쓰는게 간단하겠네요.
답변감사합니다.
몇가지를 고려해 볼
몇가지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1. 우선 OS와 백업은 따로 두는 것이 좋습니다.
2.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레이드가 좋습니다.
이런 연유로 제가 산다면 위의 상황에서는 320G 두개를 사겠습니다.
(320, 500은 조절하기가 귀찮겠습니다.)
하드디스크1:용량 하드디스트2:용량
hda1 : 30G(윈도우 ntfs) hdb1 : 30G(백업 fat32)
hda2 : 100M (레이드1) hdb2 : 100M(레이드 1) -> md0(/boot ext2)
hda3 : 1G(레이드0) hdb3 : 1G(레이드0)->md1(/ ext3)
hda4 : 나머지(extended) hdb4 :나머지(extended)
hda5: 20G(레이드0) hdb5:20G(레이드0) ->md2(/usr ext3)
hda6: 10G(레이드0) hdb6:10G(레이드0) ->md3(/var ext3)
hda7: 1G(레이드0) hdb7:1G(레이드0) ->md4(/tmp ext3)
hda8: 1G(레이드0) hdb8 :1G(레이드0)->md5(/usr/local ext3)
hda9: 나머지(레이드0) hdb9:나머지(레이드0)->md6(/home ext3)
소프트웨어 레이드가 IO 성능 개선에 매우 도움이 됩니다.
(저는 하드가 깨져서 지금은 풀어서 사용중입니다.)
home이 너무 크면, 적당히 두개를 쪼개서 레이드0로 묶고, 백업(/mnt/backup)으로 이용해도 좋겠습니다.
음-_- 보는게
음-_- 보는게 늦었네요; 다음에 다시 하드를 추가할 일이 생기면 참고로 하겠습니다.
상세한 답변감사합니다.
음..소프트웨어
음..소프트웨어 레이드 라는게 어떤것을 예기하는것인지?
혹 lvm 을 예기 하는건가요?
아니면 마더보드에 있는 그 레이드 기능을 이용하는 건가요?
저는 데스크탑인
저는 데스크탑인 경우엔 home만 따로 둡니다. 나머지는 해결 안되는 문제 있으면 그냥 포맷 -_-;
---------------------------
snowall의 블로그입니다.
http://snowall.tistory.com
피할 수 있을때 즐겨라! http://melotopia.net/b
저도 해결안되면
저도 해결안되면 포맷-_-;;
답변감사합니다.
깨지는 문제도 있지만...
파티션을 잘라서 쓰면 좋은점이 세가지 정도 있습니다.
1. 파티션이 깨져도 깨진 부분만 날라 간다. / 다른 종류의 파일 시스템을 쓸수 있다.
전자는 당연하고, 후자가 생각보다 성능에 도움이 됩니다. 쓰기가 자주 발생하는 파티션(tmp/var)은 저널링 파일 시스템으로 합니다. 읽기만 빈번하게 발생하는 파티션(bin)은 ext2같은 저널링이 없는 단순한 파티션을 쓰는 겁니다.
2. 보안에 도움이 됩니다. / 여러가지 마운트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 한다거나, NoSetUID같은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noatime 같은 옵션도 좋구요.
(엑서스 타임을 기록하는게 좋은 디렉토리도 있고, 필요없는 디렉토리가 있으면 고민하지 말고 나누어서 쓰면 되겠죠 ^^)
3. 파일이 덜 조각난다.
linux/unix 파일시스템에 조각 모음이 필요 없다고 다들 알고 계신데... 예들도 분명히 조각 납니다.
UFS같은 경우에는 동작 특성을 바꿀 수 있습니다. 파일이 조각나는 것을 방지 하게 위해서 파티션 전체를 무조건 탐색하고 파일을 쓰게 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더럽게 느려지겠지만... -_-)
어쨌든 파티션이 나누어져 있으면 물리적으로 다른 곳을 간주 하기 때문에 파티션을 경계로 파일들이 따로 저장이 되어서 조각 나는 현상이 현저하게 줄어 듭니다.
답변감사합니다. 파
답변감사합니다.
파티션에 따라 다른 파일 시스템을 쓴다는 건 생각치 못했네요.
사실 파일 시스템에 대한 지식이 없어서, 걍 윈도는 ntfs, 리눅스는 ext3, 자료보관은 둘다 읽기/쓰기 가능한 fat32로 하고 있는데...ext2가 ext3보다 좋을때도 있는 건가요...?
네 물론 있습니다.
네 물론 있습니다. 지금 제가 설명하는건 무리구요..
(한번 본건 잊어먹어버리는 스타일이라서.. ㅠ.ㅜ)
구글에서 파일시스템으로 검색해보시면 여러가지 유용한 답변이
나오리라 생각됩니다.그런데.. 역시나 그냥 데스크톱으로 쓰실때엔
암거나 별 문제 없는듯 합니다. ㅎㅎㅎ
집에서 사용하시는 PC
집에서 사용하시는 PC 라면저같으면 개발한 소스라던가 중요한 데이터 보관하시는
디렉토리 정도만 다른 파티션으로 잡아서 쓰겠네요.
"ext2가 ext3보다 좋을때도 있는 건가요...?"
아시겠지만 ext3 는 ext2 + JBD 입니다.
파일 시스템 일관성유지가 ext2 보다는 월등히 뛰어나죠.
만약 주로 저장하는 파일 사이즈가 기가 단위 이상이라면
XFS도 함 고려해보심이.
知之者 는 不如好之者 이고
好之者 는 不如樂之者 다
Dig it.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