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으로 device 백업한 거 같은데.. device는 umount하고 백업하는게 기본입니다.
write io가 적은 FS는 파일 몇개 손실보는 정도에 그칠 수 있지만,, write io가
많은 FS는 복구가 안될 수 도 있습니다.
물론 / file system에 대한 device백업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만,, 누구도 / FS를
device 백업하려고 시도하지는 않습니다. / FS는 대부분 file 단위 백업을 합니다.
find -xdev option과 cpio의 조합을 많이 사용하죠.
물론 백업 S/W가 있으면 더욱 좋겠지만..
위의 sda1이 / FS라면,, recover 시디로 부팅해서 한번 시도해보세요.
FS recovery후에 부트될수 있고, FS recovery가 안될 수도 있을 겁니다.
물론 파일의 일부 손실은 감수해야할 것이고,, 손실 파일의 중요도에 따라서..
또 부트가 될 수도 있고, 안될 수도 있습니다.
어찌보면 좀 무모한 일 같네요..
device백업은 cat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대신 dd를 사용하죠..
dd 명령에 대한 설명은 필요없겠지요.. ^^//
dd 명령으로 device 백업할 땐 umount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read only이거나,, 중요
하지 않은 FS일 경우에는 umount하지 않고 device백업을 할 수 있으나,, read only가
아닌 이상 write io 여부에 따라 파일 손실이 발생하는 것은 감수해야합니다.
cat으로 device 백업한
cat으로 device 백업한 거 같은데.. device는 umount하고 백업하는게 기본입니다.
write io가 적은 FS는 파일 몇개 손실보는 정도에 그칠 수 있지만,, write io가
많은 FS는 복구가 안될 수 도 있습니다.
물론 / file system에 대한 device백업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만,, 누구도 / FS를
device 백업하려고 시도하지는 않습니다. / FS는 대부분 file 단위 백업을 합니다.
find -xdev option과 cpio의 조합을 많이 사용하죠.
물론 백업 S/W가 있으면 더욱 좋겠지만..
위의 sda1이 / FS라면,, recover 시디로 부팅해서 한번 시도해보세요.
FS recovery후에 부트될수 있고, FS recovery가 안될 수도 있을 겁니다.
물론 파일의 일부 손실은 감수해야할 것이고,, 손실 파일의 중요도에 따라서..
또 부트가 될 수도 있고, 안될 수도 있습니다.
어찌보면 좀 무모한 일 같네요..
device백업은 cat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대신 dd를 사용하죠..
dd 명령에 대한 설명은 필요없겠지요.. ^^//
dd 명령으로 device 백업할 땐 umount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read only이거나,, 중요
하지 않은 FS일 경우에는 umount하지 않고 device백업을 할 수 있으나,, read only가
아닌 이상 write io 여부에 따라 파일 손실이 발생하는 것은 감수해야합니다.
상황을 정확히는 알 수 없으나.. / 이면 실행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
가능해보입니다.cat
가능해보입니다.
cat /dev/sda1 > /dev/sdb1
이짓은 시도 때도 없이 하는데 한번도 실패한 적이 없습니다.
좋은 정보입니다.
호호라 좋고,, 좋은 정보입니다..
사실 그러한 방법을 써 본 적이 없어서... 궁금했습니다.
다른 사항은 혹시 LVM에도 해보셨는지??
또 다른 건 다른 OS에서도 해보셨는지?? 해보셨다면,,
어떤 어떤 OS가 되던가요??
이건은 기억해 둘필요가 있을것 같아서요 ^^;;
cat을 이용한 백업..
cat을 이용해서 이미지를 만들수는 있습니다.
cat /dev/sda1 > sda.iso
이렇게 만들어진 이미지를 루프백 디바이스에 마운트해서 풀수는 있겠죠....
단, /dev/sda1은 umount 되어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시디 이미지 생성이 아닌이상 보통은 dd나 tar를 씁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