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공유기에 쓰이는 무선모듈(?)은 어떤것인가요?
글쓴이: 1day1 / 작성시간: 월, 2006/10/09 - 2:20오후
무선공유기에 쓰이는 무선모듈이라고 해야 하나, 이것의 정확한 명칭은 무엇인가요?
이 모듈은 구입가능한 부품인가요?(랜카드 같은...)
지금 공유기,방화벽으로 쓰는 리눅스박스에 무선공유기능도 넣어 볼까 하는데, 어떤 부품이 필요한지 모르겠네요.
일반 유선랜 처럼 랜카드 하나 추가하고 설정하면 되는 것은 아닌것 같고, 무선AP 같은 것이 필요할 것 같은데, PC 에 장착하는 형태로 있는 것인가요?
리눅스박스에 무선공유기능을 해 보신분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Forums:
Re: 무선 랜카드 한장.
무선 랜카드 한장 있으면 됩니다.
리눅스는 아닙니다만, 여러명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해야 할 일이 있었는데, (과제 프로젝트 -_- )
어찌어찌 장소를 간신히 섭외했는데, 유선 랜선이 달랑 한줄(...) 있더군요.
다들 노트북을 어찌어찌 공수해서 간 상태였기에, 한명이 희생해서 유선 랜을 연결해서 공유기 역할을 하고...(윈도우즈 내장 기능 이용)
다른 사람들은 무선 Peer-to-Peer 로 연결해서 잘 썼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유선 랜과는 틀리게 랜카드 한장에 여러 Peer 가 붙을 수 있더군요...몇개 Peer 까지 가능한지는 모르겠지만,
무선랜카드 채널수가 한계가 아닐까 추측만(...) 하고 있습니다.
그렇군요. 랜카드
그렇군요. 랜카드 하나로 가능한가 보군요.
실제로 무선공유기에도 그렇게 되어 있는지 모르겠지만,
1:n 의 접속이 가능해서 무선AP 같은 것이 있어야 하는 줄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LINUX에서 무선
LINUX에서 무선 랜카드를 설정하다보면 무선 랜카드의 종류를 설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AP로 설정할 것인지 그냥 말단으로 설정할 것인지...(지나가면서 대충 읽어서 정확한 뜻인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AP가 중계기가 맞을 겁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무선가능 공유기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유선랜이 연결되고 무선랜카드 하나를
심어 놓았죠. 즉, 이 무선 랜카드를 분리해서(분리가능한 모델도 있습니다.) PCMCIA에 꼿으면
무선 랜으로 이용가능한 것을 보았었죠.
연결 범위야 내부에서 설정이 가능할 것이고...
http://wiki.kldp.org/wiki.php/DocbookSgml/Example?action=highlight&value=%B9%AB%BC%B1
이 문서는 조금 오래되어서 그리 신뢰성을 주지는 못합니다만 참고할만 하고요.
저저번 CodeFest때 무선랜이 지원되지 않는 상황에서 몇몇 노트북에서 설정을 바꾸다가 AP로
지정되는 경우가 있었죠.(제 노트북도 한 두번 AP가 되었다 해지되곤 했죠. 설정 바꾸는 중이
어서... :-))
어쨌든 현재 시점에서 유선이 연결된 장비의 무선을 공유하는 건 어려운 일이 아닌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P.S. : 위에 쓰인 용어들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제가 기억하고 있는 단어들이기는 합니다만
잠시동안 읽고 지나간 용어들이라 정확한 표현에 맞는 단어인지는 저 자신도 헷갈리네요.
죄송합니다.
------------------------------
좋은 하루 되세요.
------------------------------
좋은 하루 되세요.
AP 라는 것이 별도의
AP 라는 것이 별도의 장치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랜카드를 설정할때 정할 수 있는 것인가 보네요.(개념을 잘 못 잡고 있었네요)
본격적인 시도를 해봐야 겠습니다.
.
리눅스에 공유기 환경을 구축해주는 도구가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구글아저씨한테 'hostap' 라고 한번 물어보세요. :)
http://janbyul.com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