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은 받침이 없는/일반/ㄴ/ㄹ/ x 중성 ㅏ유형/ㅐ유형/ㅗ유형/ㅜ유형/ㅘ유형/ㅙ유형/ㅟ유형/ㅞ유형
(4x8=32개)
----
중성은 일반 초성/ㄱ/ㄹ에 대해 x 종성이 없는/일반/ㄴ/ㄹ유형/ㅎ유형인 경우에 대해
(이렇게 하면 중성 벌수가 3x5=15가 되죠.)
----
비슷한 식으로 종성도 초성의 종류와 중성의 종류에 따라 11개정도로 추가되어있습니다.
다음 중성부분은 배열을 보면 ...fcon0이 종성없을시의초성기준분류, ...fcon1이 종성있을시의초성기준분류, ...fcon이 종성기준분류로 보입니다. 맞는지 모르겠네요. ;)
그런데 ...fcon1같은 경우 위에 종성 관련 주석이 붙어있어 헷갈립니다.
그리고 소스상으로는 3x5를 잘 알 수 없습니다.
fconN의 이름에만 의존하다보면, 종성없을시의 중성분류가 [ㄱㅋ], [ㅎ], [기타]이고,
종성있을시는 분류가 4가지 [ㄴ], [ㄹㅌ], [ㅊㅎ], [기타]로 나뉜다는 것인데...
/* 종성은 [일반] [ㄴ] [ㄹ,ㅌ][ㅊ,ㅎ] 네 그룹 */의 주석에 있는말이 '종성은'을 빼면
vow_by_lcon_fcon1과 vow_by_fcon 둘 모두에 적용되는데다가 vow_by_lcon_fcon1 위에 그 주석이 붙어있습니다.
제 해석은
1. 중성의 초성에 의한 분류는 ㄱㅋ, ㅎ, 기타 이다.
2. 중성의 종성에 의한 분류는 없음, ㄴ, ㄹㅌ, ㅊㅎ, 기타 이다.
가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종성부분은 fcon_by_vow_lcon의 값은 위의 주석으로 볼때 종성벌 결정에 초성의 개입여부를 중성기준으로 판단하는 부울값들 같은데, 여기서 만약 1인 경우 fcon_by_lcon의 값은 어떻게 적용되는 것입니까?
두서없는 질문 죄송합니다.
* 분석근거
lcon->초성 (leading consonant??)
vow->중성 (vowel??)
fcon->종성 (final consonant??)
(그냥 옛날에 http://en.wikipedia.org/wiki/Hangul 에서 읽었던듯 기억이나는 용어들이라서;;;)
그리고 ...fcon0, fcon1은 종성이 없다, 있다로 봤습니다...
근거 주석은 /* 받침이 없을 경우 초성 */, /* 받침이 있을 경우 초성 */이라는 말.
---
위 글의 스타일시트는 (물론 대충 디자인한거라 퍼가실 분은 없겠지만) 퍼가셔도 좋습니다.
제가 표준 문서 형식이 [?xml...?] 선언 안넣은 XHTML이라... 얼마전 대충 만들었다는...
원래것은 http://cppig1995.wo.tc/cppig1995.css 입니다.
Real programmers /* don't */ comment their code.
If it was hard to write, it should be /* hard to */ read.
32x15x11의 조합은 한양 굴림을 8x4x4와 비슷한 알고리즘으로 구현해보려고 했던 것인데, 초벌의 갯수도 늘려보고, 중성의 개수도 늘려보고.. 이런 식으로 하다가 32x11x11까지 늘렸고 최종적으로 35x15x11로 하면 충분히 한양 굴림을 표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알고리즘은 바뀌었는데도 주석을 그대로 두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만드는데에 급급해서(?) 알고리즘도 더 현명하게 바꿔야 할 가능성이 있고요.
-----
32x15x11은 35x11x11의 확장이므로 35x11x11의 주석도 참고해 주세요.
-----
> 종성있을시는 분류가 4가지 [ㄴ], [ㄹㅌ], [ㅊㅎ], [기타]로 나뉜다는 것인데...
> /* 종성은 [일반] [ㄴ] [ㄹ,ㅌ][ㅊ,ㅎ] 네 그룹 */의 주석에 있는말이 '종성은'을 빼면
*종성은*이라는 말을 빼도 있어도 상관 없겠습니다. :)
*종성은* => *종성의 종류에 따라 중성이 나뉘는데, 종성은*
-----
type3 = fcon_by_vow[중성] + ((fcon_by_vow_lcon[중성]) ? fcon_by_lcon[초성]:0);
=> 즉, 종성은 중성에 의해 분류되나, 몇몇 종성은 중성에 근거해 초성을 고려하되(fcon_by_vow_lcon) 종성에 따른 초성유형을(fcon_by_lcon) 고려한다.
오래 전이라
오래 전이라 머리속에는 별로 남아있는게 없지만 코드는 있습니다 ^^;;
http://chem.skku.ac.kr/~wkpark/baekmuk/johab/newjohab.c
이런 식입니다.
한양굴림체는 초/중/종이 가변 벌수인데 반해 32x15x11은 고정 벌수입니다.
초성은 받침이 없는/일반/ㄴ/ㄹ/ x 중성 ㅏ유형/ㅐ유형/ㅗ유형/ㅜ유형/ㅘ유형/ㅙ유형/ㅟ유형/ㅞ유형
(4x8=32개)
----
중성은 일반 초성/ㄱ/ㄹ에 대해 x 종성이 없는/일반/ㄴ/ㄹ유형/ㅎ유형인 경우에 대해
(이렇게 하면 중성 벌수가 3x5=15가 되죠.)
----
비슷한 식으로 종성도 초성의 종류와 중성의 종류에 따라 11개정도로 추가되어있습니다.
온갖 참된 삶은 만남이다 --Martin Buber
좀 이해가 안됩니다;;;
먼저 답변 감사드립니다.
정확한 문서가 딱히 없고, 제 자신도 이해를 못하는 상황이라 소스를 보고 문서를 만들고 있습니다.
그런데 몇가지 부분을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본 부분은 #ifdef JOHAB_32_15_11부터의 부분인데...
먼저 초성부분은 주석만 가지고 해석하다 보니 작업중인 문서처럼 생각할수밖에 없게 되었습니다.
솔직히 저도 저 아래 문서에 써 놓은 내용이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
-- 작업중인 문서: http://noriteo.myhome.tv/32x15x11.html (반쯤 이상하고, 반쯤 안 만듬)
다음 중성부분은 배열을 보면 ...fcon0이 종성없을시의초성기준분류, ...fcon1이 종성있을시의초성기준분류, ...fcon이 종성기준분류로 보입니다. 맞는지 모르겠네요. ;)
그런데 ...fcon1같은 경우 위에 종성 관련 주석이 붙어있어 헷갈립니다.
그리고 소스상으로는 3x5를 잘 알 수 없습니다.
fconN의 이름에만 의존하다보면, 종성없을시의 중성분류가 [ㄱㅋ], [ㅎ], [기타]이고,
종성있을시는 분류가 4가지 [ㄴ], [ㄹㅌ], [ㅊㅎ], [기타]로 나뉜다는 것인데...
/* 종성은 [일반] [ㄴ] [ㄹ,ㅌ][ㅊ,ㅎ] 네 그룹 */의 주석에 있는말이 '종성은'을 빼면
vow_by_lcon_fcon1과 vow_by_fcon 둘 모두에 적용되는데다가 vow_by_lcon_fcon1 위에 그 주석이 붙어있습니다.
제 해석은
1. 중성의 초성에 의한 분류는 ㄱㅋ, ㅎ, 기타 이다.
2. 중성의 종성에 의한 분류는 없음, ㄴ, ㄹㅌ, ㅊㅎ, 기타 이다.
가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종성부분은 fcon_by_vow_lcon의 값은 위의 주석으로 볼때 종성벌 결정에 초성의 개입여부를 중성기준으로 판단하는 부울값들 같은데, 여기서 만약 1인 경우 fcon_by_lcon의 값은 어떻게 적용되는 것입니까?
두서없는 질문 죄송합니다.
* 분석근거
lcon->초성 (leading consonant??)
vow->중성 (vowel??)
fcon->종성 (final consonant??)
(그냥 옛날에 http://en.wikipedia.org/wiki/Hangul 에서 읽었던듯 기억이나는 용어들이라서;;;)
그리고 ...fcon0, fcon1은 종성이 없다, 있다로 봤습니다...
근거 주석은 /* 받침이 없을 경우 초성 */, /* 받침이 있을 경우 초성 */이라는 말.
---
위 글의 스타일시트는 (물론 대충 디자인한거라 퍼가실 분은 없겠지만) 퍼가셔도 좋습니다.
제가 표준 문서 형식이 [?xml...?] 선언 안넣은 XHTML이라... 얼마전 대충 만들었다는...
원래것은 http://cppig1995.wo.tc/cppig1995.css 입니다.
Real programmers /* don't */ comment their code.
If it was hard to write, it should be /* hard to */ read.
주석이 맞지 않을
주석이 맞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32x15x11의 조합은 한양 굴림을 8x4x4와 비슷한 알고리즘으로 구현해보려고 했던 것인데, 초벌의 갯수도 늘려보고, 중성의 개수도 늘려보고.. 이런 식으로 하다가 32x11x11까지 늘렸고 최종적으로 35x15x11로 하면 충분히 한양 굴림을 표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알고리즘은 바뀌었는데도 주석을 그대로 두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만드는데에 급급해서(?) 알고리즘도 더 현명하게 바꿔야 할 가능성이 있고요.
-----
32x15x11은 35x11x11의 확장이므로 35x11x11의 주석도 참고해 주세요.
-----
> 종성있을시는 분류가 4가지 [ㄴ], [ㄹㅌ], [ㅊㅎ], [기타]로 나뉜다는 것인데...
> /* 종성은 [일반] [ㄴ] [ㄹ,ㅌ][ㅊ,ㅎ] 네 그룹 */의 주석에 있는말이 '종성은'을 빼면
*종성은*이라는 말을 빼도 있어도 상관 없겠습니다. :)
*종성은* => *종성의 종류에 따라 중성이 나뉘는데, 종성은*
-----
type3 = fcon_by_vow[중성] + ((fcon_by_vow_lcon[중성]) ? fcon_by_lcon[초성]:0);
=> 즉, 종성은 중성에 의해 분류되나, 몇몇 종성은 중성에 근거해 초성을 고려하되(fcon_by_vow_lcon) 종성에 따른 초성유형을(fcon_by_lcon) 고려한다.
여기서,
인덱스를 눈여겨 보시면, 중간 중간에 *비어있습니다.* 4,6,8이 없죠? 그러면 10-3=7개 유형의 종성입니다. 여기에, 초성이 일반이 아닌 ㄹ,ㅌ,ㅎ유형이면 중성을 고려하고요 (즉 인덱스에 1을 더함). 중성 유형 ㅗ,ㅛ유형/ㅝ,ㅟ유형/ㅙ,ㅞ유형/ㅜ,ㅠ,ㅡ유형 네개에 대해 한 세트가 추가됩니다.( => 7 + 4 = 11
종성이 좀 헷갈 ㅡㅡ;;
----
P.S.: 소스는 송재경님의 한텀에서 가져와 고친것입니다.
온갖 참된 삶은 만남이다 --Martin Buber
친절한 답변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
Real programmers /* don't */ comment their code.
If it was hard to write, it should be /* hard to */ read.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