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window 에서 cannot open display 에러
글쓴이: yaru22 / 작성시간: 일, 2006/05/21 - 12:25오후
제가 가지고 있는 질문을 예로 들어서 설명할께요.
컴퓨터 두대 PC_LINUX 와 PC_WINDOW 가 있습니다.
PC_WINDOW 에다가는 cygwin 을 깔아놨구요, x도 실행시켰습니다.
이제 PC_WINDOW 에서 PC_LINUX 로 ssh를 통해서 접속한 다음에
DISPLAY=PC_WINDOW:0.0 으로 세팅해 놓은 다음에
xclock 이라고 쳐봤는데
ERROR: CANNOT OPEN DISPLAY: 라는 에러밖에 안뜨네요...
그런데 이상한건 제가 PC_LINUX에 원격 접속해서 xclock이라고 치는 대신에
PC_LINUX 컴퓨터 자체에서 제 리눅스 로긴으로 들어간 다음에
DISPLAY=PC_WINDOW:0.0 으로 세팅해주고
xclock 이라고 치면 그게 PC_WINDOW에서 뜨는겁니다.
이유가 뭔지 도대체 모르겠네요 ;;
아시는 분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
Forums:
엇! 우연히 고쳤습니다 ^^;
PuTTY에서 setting 할때
enable x11 forwarding 으로 해놓고
xdisplay location에다가는 아무것도 안쓰고 나서
제 리눅스 컴에 원격접속 해서 echo $DISPLAY 해보니
그 결과가 localhost:10.0 으로 나오더라고요
그리고 xclock 이나 xlogo 같은거 실행 시켜 봤더니 되네요 ^^
궁금해서 DISPLAY=localhost:0.0으로 바꿔놓고 다시 xlogo 해보니깐
cannot open display 에러 메시지가 또 나오더라고요 ㅋ
그래서 궁금한거 하나~
localhost:10.0 한거랑 localhost:0.0 한거랑 뭐가 다르죠?
10하고 0 차이가 어떤건지...
그리고 10과 0 말고 다른 숫자들도 들어갈 수 있나요?
네, 다른 숫자가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제가 알기론 10이나 0으로 들어간 부분은 X서버가 떠있는 콘솔번호로 알고
있습니다. 보통은 Display Number라고 표시하고요. 즉, 한 장비에서 여러개의
가상 콘솔([Alt]+[Ctrl]+ [F1]~[F6])이 있는 것 처럼 X도 [F7]부터 [F12]까지의
가상 콘솔창을 갖을 수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시스템의 리소스가 충분하다면...)
즉, 그 가상콘솔의 번호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 그 번호가 바뀌는 이유는 아래
조금 설명해 놓았습니다.
조금 찾다가 눈에 쉽게 띄지 않아서 예전에 대충읽었던 것을 되살려서 생각해보면...
XServer가 실행될때 X는 자신이 실행되고 있는 공간의 (Display Number)번호를 기억
하게 됩니다. 보통 Socket통신이나 파일의 입출력처럼 이 Display Number를 이용해서
XClient와 XServer가 서로 의사소통을 하게 되는 것이고요.(X가 C/S 구조이기때문에...
이것을 Port번호 정도로 생각하셔도 될겁니다.)
localhost:0.0 (or localhost:10.0)을 분석하면 domain을 나타내는 localhost가 있고
이 localhost대신에 해당 장비의 IP를 넣어주어도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에는 X가 표현하는 공간의 번호인 Display Number를 '.'다음에는 예전에
잠시 들어서 지금은 기억나지 않지만 무언가 의미있는 번호였는데 통상 '0'을 쓴다고
알고 있습니다.(집에가서 책을 다시 뒤져봐야겠네요.)
------------------------------
좋은 하루 되세요.
------------------------------
좋은 하루 되세요.
혹시 export를 안 하신
혹시 export를 안 하신 것 아닐까요?
export DISPLAY=PC_WINDOW:0.0 처럼 해야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