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e 설치한 뒤에 터미널에서 한글이 안보여요....
글쓴이: ferteen / 작성시간: 일, 2006/03/19 - 8:03오후
우분투를 사용하거든요.. 그리고 그놈 터미널입니다..
wine으로 한글97를 돌릴려고 wine을 설치했거든요..
그런데 엉뚱하게도 wine을 설치한 뒤로 터미널에서 한글이 안보입니다..한글97은 잘되는데요...
wine hwpw를 실행할때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나옵니다
fixme:nls:get_env_lcid charset EUC-KR was not recognized
터미널 글자 코딩을 EUC-kr로 하든.. utf8로 하든 둘 다 깨져 나옵니다
/etc/environment 내용입니다
LANGUAGE="ko_KR:ko:en_GB:en"
export XMODIFIERS="@im=nabi"
LANG=ko_KR.UTF-8
도대체 왜 그러는지 아시는분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Forums:
gentoo 입니다만...
환경이 조금틀립니다만 제가 사용하는 Gentoo에서는 기본설정이 다음과 같이
잡혀있네요.
--- file /etc/profile.env -----
몇몇 변수이름이 틀릴지는 모르지만 한번 참고하시라고...
LANG처럼 그냥 변수명을 잡으면 해당 스크립트에서는 적용이 되지만 외부에서는
참조가 불가능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즉, export를 해주어야만 해당 변수가 전역
변수로 다른 프로그램에서 인식이 가능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저는 UTF-8이 아닌 eucKR을 사용하고 있어서 위와같이 지정했습니다.
위치 차이일지는 모르지만 LANG을 XMODIFIERS이전에 선언해보세요. :oops:
----------------------------
좋은 하루되세요.
------------------------------
좋은 하루 되세요.
gentoo 입니다만...
환경이 조금틀립니다만 제가 사용하는 Gentoo에서는 기본설정이 다음과 같이
잡혀있네요.
--- file /etc/profile.env -----
몇몇 변수이름이 틀릴지는 모르지만 한번 참고하시라고...
LANG처럼 그냥 변수명을 잡으면 해당 스크립트에서는 적용이 되지만 외부에서는
참조가 불가능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즉, export를 해주어야만 해당 변수가 전역
변수로 다른 프로그램에서 인식이 가능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저는 UTF-8이 아닌 eucKR을 사용하고 있어서 위와같이 지정했습니다.
위치 차이일지는 모르지만 LANG을 XMODIFIERS이전에 선언해보세요. :oops:
----------------------------
좋은 하루되세요.
------------------------------
좋은 하루 되세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