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개 서브넷 통신 방법아시는분
글쓴이: kkuru / 작성시간: 목, 2006/01/26 - 5:18오전
공유기 A에 컴터두대, 외부인터넷 하나
공유기 B에 컴터두대, 외부인터넷 하나
그리고 랜카드 3개달린 리눅스
이렇게 있고
제가 잘 몰라서
공유기 A에는 192.168.1.2~30까지의 서브넷을 구성했고
마스크는 255.255.255.224
게트웨이는 192.168.1.1
공유기 B에는 192.168.1.34~62까지의 서브넷을 구성했고
마스크는 255.255.255.224
게트웨이는 192.168.1.33
리눅스가 중간에 껴서 두개의 서브넷을 공유할수 있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두개 공유기 재설정 해도 괜찮습니다.
맞는지는 모르겠는데.
A공유기의 1번 컴터에서 B공유기의 4번컴터로 가는 경로가
1번컴 > A공유기 > 리눅스 > B공유기 > 4번컴터
이런식으로 통신이 가능하게 만들어야 됩니다.
이리저리 검색 해보니 브릿지다 스위칭이다 라우팅이다 해서.
방법이 여러가지 있는데 잘 모르겠네요.^^
어기적어기적 하다 안되서;;;
Forums:
기존 구성을 가장 덜 건드리고 하자면 리눅스 장비를 두 공유기의 LAN에
기존 구성을 가장 덜 건드리고 하자면 리눅스 장비를 두 공유기의 LAN에 양다리를 걸치게 한 후 공유기에서 라우팅을 살짝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공유기에 라우팅 테이블 관리 기능이 있다고 가정합니다.
물리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연결해 주시면 됩니다.
리눅스의 eth0, eth1의 주소로 192.168.1.30 및 192.168.1.62를 사용한다고 하겠습니다.
공유기A(RouterA)에서...
1. 192.168.1.30을 DHCP 주소 범위에서 제외해 줍니다.
2. 192.168.1.32/255.255.255.255에 대한 라우팅을 추가해 줍니다. 게이트웨이(혹은 라우터, nexthop, ...)는 192.168.1.30으로 설정합니다. 혹 인터페이스를 설정해 줘야 하면 LAN으로 설정해 줍니다.
공유기B(RouterB)에서도 마찬가지로...
1. 192.168.1.62를 DHCP 주소 범위에서 제외해 줍니다.
2. 192.168.1.0/255.255.255.255에 대한 라우팅을 추가해 줍니다. 게이트웨이는 192.168.1.62로 설정합니다.
리눅스 장비(Linux)에서...
1. eth0를 192.168.1.30/255.255.255.224로 설정해 줍니다.
2. eth1을 192.168.1.62/255.255.255.224로 설정해 줍니다.
3. 기본 라우터를 취향에 따라 192.168.1.1 또는 192.168.1.33으로 설정해 줍니다.
4. 패킷 포워딩을 활성화시켜 줍니다.
5. 재부팅할 경우를 대비해 4의 명령을 /etc/rc.d/rc.local에 추가해 줍니다.
이상입니다. 요약하자면 1) 네트워크에 맞게 적당히 연결해 주고, 2) 공유기에게 이웃 네트워크로 패킷 보내는 경로를 가르쳐 주고, 3) 리눅스 장비에서 패킷 전달 가능하도록 하면 됩니다.
$PWD `date`
단순하게! 두 서브넷이 서로 라우팅이 되게 하는 게 목적이면랜카드가
단순하게! 두 서브넷이 서로 라우팅이 되게 하는 게 목적이면
랜카드가 세 개나 달린 리눅스를 중간에 위치시킬 필요가 없습니다.
공유기에 대부분 스태틱 라우팅 테이블이 있을 테고
랜카드 세개 달린 리눅스에 꽂을 두 가닥의 랜선 중 하나만
공유기 두대의 LAN포트에 서로 꽂아주면 서로 네트웍이 될 겁니다.
리눅스 박스는 둘 중의 아무 곳에나 연결 해주면 되겠네요~
(혹시 공유기 포트가 모자라서 리눅스가 중간에 들어가는 것인가요?)
여담으로 브리지는 같은 LAN이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을 경우 연결하기 위한 장비입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