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미널 창에서 한글이 깨집니다. (데비안 3.1)
글쓴이: semjase / 작성시간: 일, 2006/01/22 - 6:18오전
두가지 질문 드리겠습니다.
1.
첨부화일을 보시면 위쪽이 콘솔창이구요 밑에가 화일 브라우저입니다.
다른곳은 안깨지는데 콘솔창에서만 깨집니다.
kldp.wiki에 로케일 설정해서 해결하는 방법을 해보았지만 여전히
똑같습니다.
NTFS 하드를 마운트한다음 ls 해보면 한글은 모조리 다 깨져나오니
너무 답답하군요. 해결책이 있을까요?
2.
하드를 mount 한다음, 터미널에서는 글씨가 깨져나오니까 노틸러스로
볼려고 C 디렉토리를 클릭했더니 퍼미션 에러가 납니다.
아마도 su - 로 root로 전환했지만 노틸러스는 여전히 일반사용자로 실행되기때문에 그런것같습니다.
실행한 노틸러스를 root 권한을 가지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합니까?
Forums:
그거는 아마 리눅스가 UTF-8을 사용하고 윈도우즈가 EUC-KR을 사용
그거는 아마 리눅스가 UTF-8을 사용하고 윈도우즈가 EUC-KR을 사용하기 때문일 것 같은데 EUC-KR로 검색해 보시면 원하시는 답을 구할수 있을 겁니다.
터미널의 글자코딩을 EUC-KR, UTF-8 등으로 전환해봤지만모
터미널의 글자코딩을 EUC-KR, UTF-8 등으로 전환해봤지만
모두 깨집니다.
마운트는 이렇게 했습니다.
mount -t ntfs -o iocharset=utf8 /dev/hda1 /mnt/c
.
dpkg-reconfigure locales위 명령을 실행하셨을
dpkg-reconfigure locales
위 명령을 실행하셨을 때 ko_KR.UTF-8이 선택되어있고 기본 locale로 지정이 돼있나요?
# dpkg-reconfigure locales en_US ISO-
# dpkg-reconfigure locales
en_US ISO-8859-1
ko_KR.EUC-KR EUC-KR
두가지가 선택되어있습니다.
처음 데비안을 인스톨하면 ko_KR.UTF-8 이 기본값 아닌가요?
한글이 깨지길래 kldp.wiki 가보니까 위의 두가지를 선택하면 된다고
해서 바꿨거든요. 근데 여전히 깨집니다.
위에 손님이 저 입니다. 왜 손님이 된거지?
위에 손님이 저 입니다. 왜 손님이 된거지?
.
저라면 en_US.UTF-8, ko_KR.UTF-8을 선택하고, 다시 n
저라면 en_US.UTF-8, ko_KR.UTF-8을 선택하고, 다시 nls=utf8로 마운트하겠습니다.
검은해님 말씀대로 dpkg-reconfigure locales 한다음
검은해님 말씀대로
dpkg-reconfigure locales 한다음
en_US.UTF-8, ko_KR.UTF-8 선택하고 다음 화면에서 ko를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mount -t ntfs -o nls=utf8 /dev/hda1 /mnt/c
이렇게 mount 하니까 터미널에서만 깨져나오는 현상은 없어졌습니다.
감사합니다. 휴..어렵네요.
이제 하나 남았네요.. ntfs로 마운트했을때 깨지는현상..
.
저 검은혜님 말씀대로 하니까 한글 하나도 안깨지고 잘 나옵니다.바
저 검은혜님 말씀대로 하니까 한글 하나도 안깨지고 잘 나옵니다.
바로 위에 ntfs 마운트한 디렉토리 가보면 깨진다는건 제가 잘못안거구요..
안깨집니다.
단지 문제는...
일반 유저일때는 전혀 안깨집니다. 잘 보입니다.
근데 root 상태일때만 깨집니다.
root 상태일때는 왜 적용이 안돼는건가요?
.
root일때 locale도 일반 유저일때와 같은 작업을 해주면 되지 않을
root일때 locale도 일반 유저일때와 같은 작업을 해주면 되지 않을까요?
기본적으로 root의 경우 en이 Default로 지정되어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root의 경우 시스템 관리차원에서 사용하는 super user라서 일반적인 사용목적보다는
시스템관리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그리고 일반유저와 환경을 똑같이 맞춰주면
실수로 중요한 파일을 지울 수도 있기 때문에 en을 유지해 주는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만일 환경을 바꾸고 싶다면 root의 $HOME인 /root의 .bashrc나 .bash_profile을
수정해주면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다른 shell을 사용하면 해당 shell의 profile을
수정해주면 됩니다.)
각각의 유저는 서로다른 환경파일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 유저에 맞게 설정을
따로 해주어야할겁니다. 만일 공통적인 환경을 가지게 하고 싶다면 /etc/skel 디렉토리
아래의 파일들을 수정해주면 수정한 이후에 생성된 user에 대해서 공통적인 설정이
적용되어집니다.
------------------------------
좋은 하루 되세요.
확실히는 모르겠지만, 아마 root의 경우 en_US.UTF-8로 하시면
확실히는 모르겠지만, 아마 root의 경우 en_US.UTF-8로 하시면 UTF-8 환경의 한글도 잘 보일 것 같습니다.
현재 저의 상태가 이렇습니다.일반유저일때 -
현재 저의 상태가 이렇습니다.
일반유저일때 - 한글 잘보임
su - 로 root로 전환했을때 - 한글 깨짐
재부팅하고 root로 로그인했을때 - 한글 잘보임
한글이 깨지는것뿐만이 아니라 입력자체도 안됩니다.
시스템화일을 변경할때 한글로 주석을 붙이고 싶어도 안돼고있어서 너무
불편하거든요. 또 paste 할때도 한글이 포함돼어있다면 다 깨져버립니다.
어떻게 수정하라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bash_profile이라는 화일은 아예 없구요..
.
[quote="semjase"]한글이 깨지는것뿐만이 아니라 입력자체도
한글 입력의 경우 export(bash를 사용할 때기준입니다.)를 해주어서 IM을 활성화
시켜주어야합니다. IM을 활성시키는 방법은 shell의 리소스파일에 환경을 조성해주면
됩니다.
보통의 경우
위 코드에 나와있듯이 기본적으로 .bash_profile을 사용하게되는데 보통 .bash_profile에는
.bashrc를 읽어들이게 설정이되어있는 것이 보통입니다.
위의 파일이 없는 경우에는 /etc/skel의 .bash_profile과 .bashrc를 복사함으로써
사용이 가능합니다. 물론 /etc/passwd파일의 root 기본 shell이 /bin/bash로
지정되어있으면 다음 로그인때부터 .bash_profile사용이 가능합니다.
바로 적용을 원한다면
로 적용을 시켜주면 가능합니다.
IM을 설정하는 방법은 각 입력메소드별로 설정방법에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만일 한글입력메소드를 nabi를 사용한다면 .bashrc에
를 추가시켜주면 사용이 가능합니다.
(좀더 자세한 설명은 http://nabi.kldp.net/document.html 를 참조하세요.)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사실 root를 기본으로 사용한다는 것은 시스템을 유지하는데
커다란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잘못하면 시스템을 다시 설치해야하기 때문이죠.
시스템에 대한 변경사항이 아니라면 일반유저로 작업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그런면에서 유용하게 사용되어지는 명령어가 'su'명령어
입니다. 'sudo'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만 제 경우에는 단순 명령만을 내리는
상황이 별로없어서 거의 'su'를 사용합니다.
'su'의 '-'를 붙이는 것과 그렇지 않은경우가 있는데 현재 환경을 유지하면서 다른
유저로 변경을 하고 싶다면 'su userid'를 이용하고 그렇지 않은경우 'su - userid'를
이용하면됩니다.
userid가 생략되었을경우 root가 Default로 설정되어 root로 로그인을 하게됩니다.
자세한건 man페이지를 이용해보세요.
한글에 대해서 문의를 하셨는데 엉뚱한 답변만 늘어놓은 것 같네요. :)
------------------------------
좋은 하루 되세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