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팅 테이블 변경중입니다.
글쓴이: suh1978 / 작성시간: 화, 2005/07/05 - 6:23오후
아. 질문이긴 한데 윈도우 얘기라 이곳에 올렸습니다.
문제되면 바로 옮겨놓겠습니다.
요지는 윈도우에서 라우팅 테이블 변경을 시도하는데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나서요
c:\>route add 10.0.0.0 mask 255.255.255.0 10.10.10.1 metric 1 if 0x60002
라고 입력하면
The route addition failed: Either the interface index is wrong or the gateway does not lie on the same network as the interface. Check the IP Address Table for the machine.
라고 합니다. ^^;;
리눅스계열에서는 잘사용하고 있는데 유달리 윈도에서는 되지를 않네요..[/img]
File attachments:
첨부 | 파일 크기 |
---|---|
![]() | 95.66 KB |
![]() | 85.1 KB |
![]() | 14.33 KB |
Forums:
Re: 라우팅 테이블 변경중입니다.
이거 아닌가요??
인생의 무게를 느껴라. 아는 만큼 보이는게다.
Re: 라우팅 테이블 변경중입니다.
뒤에 if 0x60002 이거는 몬가요??
전 route add 0.0.0.0 mask 255.255.255.0 61.252.158.143 metric 1
해서 쓰고 있는데...0x60002 는 몬지 좀 갈쳐 주세요
Hmm.
에러내용에 대한 반론을 제시하시면 어떨런지..
Iface가 0x60002가 존재하는지...
0x60002에서 10.10.10.1로 접근이 가능한지..
route print로~
인터페이스 첨자값입니다. 라우팅하려는 랜카드를 지정한것입니다.
0x60002 값은 route print로 해서 나온 정보중에 상단에 보면
랜카드의 제품명칭과 함께 나오는 값을 입력하였습니다.
혹시 이게 아닌가요,
저의 경우는 랜카드 2개가 있는것인데, 이것을 지정해야만 원하는
라우팅이 되는것이라고 생각하고 있기는 합니다
(저만의 생각일수도 있지만요....)
열정은 남자의 미래다! - suki1978 style, free style
흠..
저는 주로 gateway까지만, 지정합니다만... (metric, if 는 지정하지 않고)
제가 말씀 드렸다시피, 0x60002가 존재하는지, 캡쳐해주시지 않으신다면, 존재 하지 않기 때문에 당연한 에러가 발생한다고 봅니다.
에러 내용이 틀렸다면, 에러의 내용을 반박하는 자료가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캡쳐화면입니다.
PC를 껐다 켜서 그런건지 IF 0x60002가 0x3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제가 시도하려는 라우팅 테이블 변경건도 함께 넣었습니다.
어떤 첨자값을 잘못주었는지 좀 막막하기만 합니다. ㅎㅎ;
열정은 남자의 미래다! - suki1978 style, free style
흠..
에러의 두번째 경우에 해당하는 에러인 것 같습니다.
즉, if 0x3이 10.10.10.0/24망에 접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즉, 10.0.0.0/24에 접근하기 이전에 10.10.10.1로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합니다.
..
dgkim님 제질문에 관심 가져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현재 ip관련 상태에서 랜을 하나씩 연결하면 내부망과 외부망이
물론 잘되는데 두개의 랜을 동시에 연결하여 목적지별로
GW를 구분해주려고 합니다.
아 이때 0x3에 해당하는 GW는 IP설정할때 공란으로 하였습니다.
이유는 default GW를 0x2에 해당하는 GW로 하기 위해서였습니다.
말씀하신 내용을 제가 잘 이해를 못하고 있어서...
10.10.10.0/24 망이라는것은 10.10.10.1 ~ 10.10.10.24까지를
말씀하시는건지요..
#. 제가 많이 허접해서 질문하려는 요지, 말씀해주시는 요지를
잘 파악하지 못하여 송구스럽습니다. ㅎㅎ
열정은 남자의 미래다! - suki1978 style, free style
흠..
if 0x3이 연결된 네트워크는 캡쳐된 이미지로 봐서..
10.10.80.0/24입니다.
(즉 10.10.80.1 ~ 10.10.80.254)
하지만 10.0.0.0으로 가기위한 게이트웨이로 지정된 10.10.10.1은 10.10.80.0/24에 존재 하지 않으므로 접근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망들을 정확하게 정의하신다면, 해결될 것입니다.
아래는 제가 파악한 것입니다.
그부분은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아래 그림은 제가 원하는 구성도 입니다.
(그림이 질문자가 더 성의없는것 같아서 질문드리기가 좀 죄송스럽습니다.)
GW가 완전히 다른 두개의 물리적인 네트워크 라인에서 기본GB인 172.27.80.1로 일반적인것들은 통신(IF 0x2)을 하고,
목적지 주소가 10으로 시작하는 패킷들만 GW 10.10.10.1 로 통신(IF 0x3)으로 시도하려고 합니다.
물론 각각의 라인을 하나씩만 연결해서 원하는 네트워크 구성은 잘 되었습니다. 10.10.10.1 의 게이트웨이를 이용해서 10.10.80.x 쪽으로도 연결이 되고요.
#. 감사합니다.
열정은 남자의 미래다! - suki1978 style, free style
흠..
10으로 시작한다는 것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제가, 구름을 그렸듯.. 이해가 필요한 것은 망입니다..
10.10.80.1/24와 10.10.10.1은 통신이 불가능합니다..
같은 허브에 물려있더라도 통신이 불가능합니다.(뻘짓해서 열어주는 방법은 있지만..)
게이트웨이는 원칙적으로 인터페이스가 연결된 망(네트워크)에 존재해야 합니다.
그래서, 10.10.80.1에서 211.32.117.74로 바로 갈 수 없는 것도 마찬가지 입니다.
다시한번 강조 해서.. 10.10.80.1에서 10.10.10.1로는 바로 갈 수 없습니다.
Re: ..
10.10.10.1 ~ 10.10.10.255 를 10.10.10.0/24로 표현하는거겠죠.
oldbell 님이 쓰셨듯이 netmask 부분을 수정해주면 되지 않나요?
Re: 그부분은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구성도를 참고해서 현재 적용하고 있는 명령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저는 시작 프로그램에 넣어서 씁니다.)
@echo off
route -p -f
route -p add 0.0.0.0 mask 0.0.0.0 172.27.80.1 metric 1
route -p add 10.0.0.0 mask 255.0.0.0 10.10.10.1 metric 1
인생의 무게를 느껴라. 아는 만큼 보이는게다.
흠..
만약 if 0x3에 연결된 망이 거대한(?) 망이라면, 해당 대역을 모두 if 0x3을 통해 가는 라우팅이 가능합니다.
즉, if 0x3가 연결된 네트워크는 10.10.80.0/24 뿐 아닌 10.0.0.0/ 8에 해당하는 모든 네트워크가 서로 연결 되어 있다는 상황이면..
route add에서 10.10.10.1이 아닌 10.10.80.0/24의 게이트웨이를 지정하면 됩니다.
ps. 위에서 10.0.0.0/8에 대한 네트워크 얘기를 다른 분들이 해주시네요.. 하지만 질문자께서는 10.0.0.0/24에 대하여 말씀하셨으므로, 그 정보가 정확하다는 가정이 있었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