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 Server는 제공자로서 동작을하고 Client는 의뢰를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반대의 경우를 생각하시다니...
이렇게 되면 각 Client에 ftp 데몬이나 rsync데몬이 떠있어서 효율적인 관리가 되지
않는것 아닌가 생각됩니다.
즉, 관리차원에서보면 각 Client에 데몬을 띄워놓는다는 것은 조금 위험한 발상이
아닐까요?
또한 각 Client가 동일 환경을 가져야한다는 것도 그렇고 말입니다.
보통의 경우에는 Server에 ftp데몬이나 rsync데몬을 실행시키고 한곳에 해당 데이터를
모아놓은 다음에 각 Client에서 Server로 접근을 하여 원하는 동작을 하도록합니다.
물론 각 Client는 cron데몬에 의해서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스크립트에의해서 동작
하도록하는게 대부분의 경우죠.
어떠한 이유로 Server가 각 Client에 값을 보내도록 해야하는지 이유를 쓰지 않았으니
잘 모르겠지만 그렇게 하는 경우라도 ftp나 rsync등을 이용하면 가능합니다.
음... Server는 제공자로서 동작을하고 Client는 의뢰를하는 것
음... Server는 제공자로서 동작을하고 Client는 의뢰를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반대의 경우를 생각하시다니...
이렇게 되면 각 Client에 ftp 데몬이나 rsync데몬이 떠있어서 효율적인 관리가 되지
않는것 아닌가 생각됩니다.
즉, 관리차원에서보면 각 Client에 데몬을 띄워놓는다는 것은 조금 위험한 발상이
아닐까요?
또한 각 Client가 동일 환경을 가져야한다는 것도 그렇고 말입니다.
보통의 경우에는 Server에 ftp데몬이나 rsync데몬을 실행시키고 한곳에 해당 데이터를
모아놓은 다음에 각 Client에서 Server로 접근을 하여 원하는 동작을 하도록합니다.
물론 각 Client는 cron데몬에 의해서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스크립트에의해서 동작
하도록하는게 대부분의 경우죠.
어떠한 이유로 Server가 각 Client에 값을 보내도록 해야하는지 이유를 쓰지 않았으니
잘 모르겠지만 그렇게 하는 경우라도 ftp나 rsync등을 이용하면 가능합니다.
------------------------------
좋은 하루 되세요.
조금 위험하기는 하지만... rdist를 사용하면 됩니다.
조금 위험하기는 하지만... rdist를 사용하면 됩니다.
--------------------------------
윈도위의 리눅스 윈도위의 윈도우 리눅스위의 익스플로러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