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소프트리눅스2005 와 슬렉웨어9 를 동시에 사용하고 싶은데...
저에게는 하드디스크가 두개가 있습니다.
hda1 hda2 hda3 -> 6GB
hdb1 hdb2 hdb3 hdb4 -> 20GB
위와 같이 파티션을 나눴더랬죠.
hda1 에 한소프트2005 의 / 로 잡고
hda2 에 swap 으로 잡고
hda3 에 한소프트2005의 /home 으로 잡고
모두 ext2 파일시스템으로 포맷했습니다.
잘 설치가 되었죠. 사용도 잘 했었습니다.(grub 사용시)
이번엔 슬렉웨어를 깔았죠.
hdb1 에 슬렉웨어의 / 로 잡고
hda2 를 swap 으로 잡고
hdb4 를 슬렉웨어의 /home 으로 잡고
모두 reiserfs 파일시스템으로 포맷했습니다.
물론 잘 설치가 되었고. 사용도 잘 했었습니다.(lilo 사용시)
부트로더는 한소프트2005에서 제공하는 grub 과 슬렉웨어에서
제공하는 lilo 를 각각 모두 사용해봤습니다.
문제는 슬렉웨어를 나중에 깔면 한소프트2005 로 부팅시
새 하드웨어 체크부분에서 랜카드가 사라졌다고 나오면서
X 를 띄우지 못합니다.(lilo 를 부트로더로 사용시)
분명 슬렉웨어를 깔기 전에는 잘 되던 X 가.....
/etc/X11/xorg.conf 를 확인해봐도 잘 돌아가던 때와 동일합니다.
그래서
한소프트2005에서 제공하는 grub 만 다시 설치했죠.
잘 됩니다. 한소프트2005로 잘 돌아갑니다.
그런데 슬렉웨어로는 13번 에러 메세지를 내면서 부팅이 되지 않습니다.
13 : Invalid or unsupported executable format
This error is returned if the kernel image being loaded is not recognized as Multiboot or one of the supported native formats (Linux zImage or bzImage, FreeBSD, or NetBSD).
grub.conf 내용중 슬렉웨어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title : Slackware9
rootnoverify (hd1,0)
chainloader +1
지금 제 상황은 한소프트2005와 슬렉웨어9를 번갈아 가면서
새로 하루에도 대략 2번씩 새로 깔고 지우고 하고 있는데....
manual 을 봐도 명확한 해답을 찾을 수 없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지금 생각같아서는 파일시스템이 달라서 그럴 것이다. 그래서 오늘 집에 가면 슬렉웨어도 ext2 로 바꾸어서 깔아볼까 생각중입니다.
문제점을 가르쳐 주세요~
LILO와 GRUB은 공존하지 못합니다.둘중의 하나를 선택해서 사용해
LILO와 GRUB은 공존하지 못합니다.
둘중의 하나를 선택해서 사용해야하는데...
해결방법이라고 하기에는 뭐하지만 저라면 이렇게 하겠습니다.
일단 하드의 설정을 바꾸고 파티션 설정부터...
20GB를 /dev/hda로 6GB는 /dev/hdb로...
/dev/hda1 (100M, ext3) /boot ---> 공유
/dev/hda2 (swap 크기, swap) swap ----> 공유
/dev/hda3 (/ 크기, reiserfs) /
/dev/hda4 (/home 크기, reiserfs) /home
/dev/hdb1 (/ 크기, ext3) /
/dev/hdb2 (/home 크기, ext3) /home
슬렉웨어 /dev/hda에 설치 한소프트 /dev/hdb에 설치
중요한점은 /boot를 양쪽다 /dev/hda1으로 해주고 swap은 /dev/hda2로
해준다는 점이죠.
설치가 끝나면 이젠 grub을 수정해주면 됩니다.
/boot/grub/grub.conf 를 열고(/boot는 다른 파티션이니 꼭 mount를 해줄것...)
즉, root값과 과 kernel을 잘 설정해주면 하나의 로더로 끝나겠죠.
코드중에 han_kernel-2.xxx와 slack_kernel-2.xxx는 제가 어떤 커널이
설치되는지 몰라서 임의로 넣은 부분입니다.
RedHat의 경우에는 vmlinuz-2.x.x.x 뭐 이런식으로 되던데 어쨌든 /boot에
있는 커널 이미지를 지정해주면 됩니다.
저라면 위와 같이 HDD바꾸고 하나의 /boot와 swap을 독립시키고 설치를
할거라고 생각이 드는군요.
각 배포판의 파일 시스템은 /boot만 같다면 나머지는 다르게 설정해도 상관없으니
그대로 간다고 생각했습니다.
ext2보다는 ext3를 사용하는게 어떨까하고 추천해봅니다.
(혹시 모르니 설정을 바꾸고 먼저 설치한 배포판의 경우 /boot안의 System.map,
config, initrd, kernel, module-info, vmlinuz... 등등의 파일은 다른곳에
복사를 해두는게 좋을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지워질 수도 있으니 복사한
파일만 다시 복구시키고 grub.conf를 수정해 주면 되니까요.)
LILO를 사용하고 싶다고해도 위 파티션을 그대로 이용하면 되니까 LILO설정
부분만 수정해주면 되겠네요.
------------------------------
좋은 하루 되세요.
답변 감사합니다....
충고 감사합니다.
한가지 궁금한게 있습니다.
생각을 해 보니까 옛날에 20GB 하드디스크에는 윈2000이 깔려 있었었죠.
그래서 20GB 의 0번 섹터에 윈2000 부트로더가 깔려있을 가능성이 있는지요?
그래서 grub 에서 13번 에러를 내는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만....
어제도 한번씩만 -_- 깔아주었죠....
/* How to Love Others */
while(GetDepth(Love) < Enough) DoLove();
댓글 달기